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1

        41.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of the information source all positively influence information recipients’ eWOM (Electronic Word-of-Mouth), acceptance of CSR messages, as well as their attitudes to the company.
        4,000원
        43.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increasing challenges like climate change, companies are confronted with rising expectations from stakeholders, especially consumers. The paper investigates consumers’ reactions towards CSR strategies using a case-study and focus-groups. Results imply that digitally-based strategies at the core of newly found fashion companies are perceived generally positive, although with mixed impressions.
        4,000원
        44.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외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 현지자회사의 CSR 활동의 유형과 동인을 살펴보고, 현지자회사의 CSR 활동이 자회사의 경영성과에 기여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제도이론, 이해관계자이론 및 자원기반이 론 등 기존 CSR 연구이론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조망하면서 현지자회사 CSR 활동을 반응적 CSR과 전략적 CSR로 유형화하고, 전략적 CSR을 중심으로 CSR 활동의 동인을 파악하였으며, 더 나아가 각각의 CSR 유형과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계하여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현지자회사의 CSR 활동을 반응적 CSR 과 전략적 CSR로 구분하였는데, 반응적 CSR 활동이 현지에서의 법, 규제에 대한 대응적 성격이 강한 반면, 전 략적 CSR 활동은 현지에서의 네트워크 구축, 경영자원 투자 및 가치사슬 혁신활동과 연계하여 보다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CSR의 동인에 관한 연구결과, 현지 ‘이해관계자의 영향력’ 및 자회사의 ‘현지화 수준’ 변수가 반응적 CSR보다 는 전략적 CSR에 보다 큰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SR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결과는 전략 적 CSR이 반응적 CSR보다 현지자회사의 재무 및 비재무성과 모두에 보다 큰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기업 해외자회사를 대상으로 해외자회사의 CSR 활동을 반응적 CSR과 전략적 CSR로 유형화하 고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탐색적 시도로써 전략적 CSR의 특 징을 정의하고 전략적 CSR의 동인 및 성과효과에 있어 반응적 CSR과의 상대적인 영향도를 분석해 봄으로써 기 존 CSR 문헌의 연구범위를 확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상 및 역할이 증가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해외자회사들이 현지 이해관계자 및 제도 특성은 물론 역량과 전략방향을 고려하여 현지에서의 지속가능 경영 관점에서 CSR 활동의 정책방향을 수립하고 세부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6,700원
        45.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는 대기업, 재벌에 대한 반기업정서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어 반기업정서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반기업정서와 기업 평판, 사회공헌 활동의 관계 및 영향력에 대해서 평상시와 위기시로 구분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실제 우리나라 유수 대기업들의 반기업정서 태도에 대하여 기업별 점수를 측정하여 삼성, SK, 현대, CJ가 반기업정서가 높은 기업임을 분석하였다. 둘째, 반기업정서들은(인지적 차원이건, 감정적 차원이건) 모두 조직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기 상황, 그것도 기업의 도덕적 위기 상황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반기업정서가 평판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더욱 높은 영향력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평상시 지속적인 사회적 책임 수행의 필요성에 대한 함의를 던진다.
        8,600원
        46.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fashion companies has become a crucial factor considering company image and awareness. Businesses have thus increased their CSR activities. However, few studies have shown clear and consistent result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CSR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evaluation of the direct effect of CSR on trust and corporate reputation including its moderation by consumer's perceived fit and motivation. A total of 284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adult consumers in the fashion market with promotional leaflets for CSR activities as stimu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s for CSR activitie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Social welfare responsibility, environment protection, economic responsibility, social regulation compliance, customer protection, and culture and arts support. Further social regulation compliance, and economic and social welfare responsibilities positively affected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Second, the main effect of perceived CSR activities and fit on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was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environment protection, and culture and arts support of CSR activities and fit were significant.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 of perceived CSR activities and motivation on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was not significant, but the main effect was significant. Implications of how to manage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SR activities are offered.
        5,100원
        47.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some fashion retailers have initiated sustainable actions in the form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to address consumers’ social concerns. This study intends to combine the concept of CSR motivation attributions with brand extension literature in order to examine how consumers’ trust of a parent brand affects their CSR motivation attributions and ultimately their attitudes towards parent-brand CSR activities and sustainable extension lines. A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scenarios describing a fast fashion retailer introducing a sustainable line. Data from 303 female U.S. consumers, aged between 18 and 34 year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for descriptiv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hypotheses were supported. The findings show that consumers’ trust of a parent brand has an indirect impact on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parent brand’s CSR activities as well as the sustainable extension product line, mediating positive evaluations of the brand’s social CSR motiv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consumers’ prior trust of the parent brand is a variable that affects consumers’ evaluation of CSR motivation sincerity. Marketing suggestions and though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provided.
        5,100원
        48.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조직의 커뮤니케이션에서 공중들이 중요하게 인식 및 평가하고 있는 진정성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들이 급증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개념적 정의와 측정으로 인하여 진정성 개념의 타당성과 다차원성에서 이론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편적으로 사용가능한 커뮤니케이션 진정성의 측정을 위한 다차원적 개념의 표준 척도를 개발하고 대표적인 PR 활동인 CSR과 위기관리 분야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도출한 21개의 측정항목들을 가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에서 진정성은 이성적(진실성), 감성적(진심성), 그리고 행동적(실천성) 3가지 차원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사전적 성향의 PR 활동인 CSR의 경우는 행동적 진정성이, 사후적 PR 활동인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에서는 감성적 진정성이 다른 차원들보다 더욱 크게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진정성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커뮤니케이션 진정성은 진심, 진실, 실천의 의미를 포함하는 이성적, 감성적, 행동적 차원으로 구성된 다차원적 구성개념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6,400원
        49.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otential of a scale to measure relationship authenticity in marketing is explored. A measure of this type is argued to be particular valuable when brands have a difficult time in partnering with charitable organizations. An exploratory study and a pilot study suggest that there is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a full scale.
        3,000원
        50.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alignment between fashion companies’ CSR policy, as communicated through company website, and CSR retail practices customers can actually observe or get information about when visiting company’s retail stores. The case study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the Mystery Shopping technique. The sample is made up of companies belonging to the top of the fashion luxury pyramid, whilst the visited stores are located in Ita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lassification of companies’ behaviours in deploying CRS policy at the retail level, and to highlight different levels of fit between companies’ CSR policy and CSR practices communicated at the retail-store level. Our results reveal that several companies show a mismatch between their CSR policy and CRS practices communicated in stores to customers.
        4,000원
        51.
        201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포털 기업의 사회적 책임 영역에 대한 공중 평가가 해당 포털 사이트의 신뢰도, 선호도 및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상위 포털 기업인 <네이버>, <다음>, <네이트>가 수행하는 CSR에 대한 영역별 공중 평가가 해당 사이트의 신뢰도, 선호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더불어 각 포털 사이트 신뢰도와 선호도가 해당 포털 사이트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258명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포털 기업 CSR에 대한 영역별 공중 평가는 해당 사이트의 신뢰도, 선호도, 및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특히, 인터넷 포털 기업의 CSR 영역별 평가 가운데, “법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 영역 평가는 공통적으로 연구대상 포털 사이트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경제적 책임” 영역 평가의 경우, 세 포털 사이트 선호도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각 인터넷 포털 기업별로 <네이버>의 경우, 포털 사이트 신뢰도와 선호도 모두 포털 사이트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에, <다음>과 <네이트>는 포털 사이트 선호도만이 포털 사이트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8,000원
        52.
        201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포털 기업의 사회적 책임 영역에 대한 공중 평가가 해당 포털 사이트의 신뢰도, 선호도 및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상위 포털 기업인 <네이버>, <다음>, <네이트>가 수행하는 CSR에 대한 영역별 공중 평가가 해당 사이트의 신뢰도, 선호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더불어 각 포털 사이트 신뢰도와 선호도가 해당 포털 사이트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258명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포털 기업 CSR에 대한 영역별 공중 평가는 해당 사이트의 신뢰도, 선호도, 및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특히, 인터넷 포털 기업의 CSR 영역별 평가 가운데, “법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 영역 평가는 공통적으로 연구대상 포털 사이트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경제적 책임” 영역 평가의 경우, 세 포털 사이트 선호도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각 인터넷 포털 기업별로 <네이버>의 경우, 포털 사이트 신뢰도와 선호도 모두 포털 사이트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에, <다음>과 <네이트>는 포털 사이트 선호도만이 포털 사이트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8,000원
        53.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d on the credibility and image of a food corporation by analyzing the purchasing intention and food purchases of consumers. This analysis was undertaken in an attempt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hat meets consumer demand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CSR activities undertaken by the food corpo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iability and image of the corporation and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thical aspect of the CSR activities had the greatest effect while their charitable aspect had the least effect on the reli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of the customers regarding the food corporation. Thus, it appears that establishing of suitable ethical doctrines and guidelines for corporate management by food corporation is effective in emphasizing the ethical aspects of their policies through transparent management by means of fair trade.
        4,500원
        54.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ceptual model for marketers’ contributions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programs. Thus, this study could possibly reveal synergies between Marketing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ograms (CSR). Customers have expectations that firms need to carry out CSR activities and hence customers have various responses towards companies’ CSR actions. This implies that marketers’ contributions seem necessary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SR programs. This research provides a conceptual model to examine possible synergies between marketing and CSR. Based on the resource based theory of firms, it can be argued that marketers need to contribute to CSR initi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return on investments on CSR activities, CSR programs can be viewed as being philanthropic or strategic in nature. Customers tend to respond to both of these CSR types. Hence we propose that contribution of marketers seems important to both kinds of CSR, which in turn would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about CSR programs. Consequently, companies’ performance can be enhanced. A mix method is proposed for this study. It is envisaged that in near future, this conceptual model would be empirically tested by collecting data from customers and marketing managers of the Sri Lankan financial institutions.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4,200원
        55.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is much evidence in literature supporting the advantageous benefits resulted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itiatives (Luo and Bhattacharya, 2006). Among others, consumers’ favorable reactions (e.g., enhanced produce evaluation, purchase intention, brand attitude and relationship) (Brown and Dacin 1997; Klein and Dawar 2004) were widely documented. Importantly, consumers tend to use their perceptions on a company’s CSR performance to infer the characteristics of relevant persons (e.g., self and other consumers) due to the meaning-transferring mechanism (Currás-Pérez et al., 2009; Yoon et al., 2006). Although literature suggests that people do good things in order to feel themselves in a positive light, there is a lack of explicit discussion on the impact of consumers’ participation in CSR programs on their perceptions of self. This is an important issue for designing effective CSR programs which can enhance consumer feelings as well. To bridge the academic gap, this research is aimed to address this question. As brands can be viewed as extended self and brand associations can be transferred into self-definition, good associations related with CSR practices will enhance consumers’ self-perceptions and self-esteem once they engage in CSR-related consumptions. However, many company-specific factors (e.g., product quality) and individual specific factors (e.g., CSR support and beliefs) will vary consumers’ responses to CSR efforts (Sen and Bhattacharya 2001). Similarly, CSR’s impact on self-perceptions may be moderated by significant factor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underlying differential customer response to CSR is consumers’ attribution of corporate motives. Consumers may attribute a company’s motivation for engaging in CSR simply as self-serving (e.g., high profit) or other-serving (e.g., engagement in social causes) (Becker-Olsen et al. 2006; Yoon et al. 2006), or further differentiate self-serving motives into strategic and egoistic ones and other-serving motives into value-driven and stakeholders-driven ones (Ellen et al., 2006). We examine the effect of self-serving motive vs. other-serving motive on the linkage of CSR and consumers’ self-perceptions and self-esteem in this research. Further we predict that the relevance of a CSR program with an individual consumer (i.e., self-CSR relevance) interacts with specific corporate motives in enhancing the CSR’s effect on consumers’ self-perceptions and self-esteem. A pilot study was first conducted to examine how CSR performance influences consumers’ perceptions (as well as consumers’ believes on their reference group’s perceptions) on a company’s typical customers’ image and then their purchase intention. In this study, we let respondents play judgers’ role and ask them about the relation of CSR and others’ image. A paper-and-pencil survey on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Three hundred and twenty one copies of questionnaires are sent out and collected in total. After deleting the incomplete ones, 302 valid data points constitute the final sample. The number of female and male respondents is comparable (Male: 49%) with average age of 21.4 year-old. We tested the hypothesized relations through structure equation modeling following Anderson and Gerbing’s (1988) two-step approach. The measurement model has good convergent and discrimiant validity. The structural model testing results indicate that CSR has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eople’s perceptions on the image of a company’s typical customers (r=.227, P<.001) and on beliefs of reference group’s perceptions on the image of a company’s typical customers (r=.234, P<.001), which subsequently enhance purchase intention (r=.607, P<.001; r=.149, P<.01). As such, the hypothesized relations are supported. Although consumers’ perceptions on others rather than self-perceptions and self-esteem a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indings provide preliminary support on the notion that a company’s CSR behaviors will be used as significant information to evaluate relevant persons (here are typical customers). In the main experiment study, we ask subjects play actors’ role and further examine the connection of CSR and self-perceptions.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between corporate motive and self-relevance. High self-relevance enlarges the difference of self-evaluations after participation in self-entered CSR programs vs. participation in other-centered CSR programs. This study explicitly examines the impact of consumer participation in CSR-related program on consumer self-perceptions and self-esteem. The findings deepen our understanding on the impact of corporate CSR initiatives on consumer responses, particularly the impact on consumer self-perceptions. It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management to provide more effective CSR programs with consumers’ welfare considered.
        3,000원
        56.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sponsor motive and event-self congr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ent-sponsor congruence and attitude toward sponsor in CSR advertisingcampaigns. A scenario based 2 (event-sponsor congruence: high/low) ⅹ 2 (perceived sponsor motive: selfish/altruistic) ⅹ 2 (event-self congruence: high/low) between-subjects design experiments are conducted for the test of hypothe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COVA, consumers' perceived sponsor motive and event-self congruence are shown to moderate the effect of event-sponsor congruence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sponsor. And, when the consumer perceives sponsor motive as ‘altruistic’ and event-self congruence as ‘high’, the difference of attitude toward sponsor between the high group and low group of event-sponsor congruence perception is the lowest.
        4,900원
        57.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SR rule was defined by IACS as the unified rule for a commercial ship like a bulk carrier and a tanker. It have been required more strict conditions for various parts like loading conditions, the local and girder strength, fatigue strength, FEM for the ship rule. It was changed in many parts of the ship rules. In this paper, the mid-parts of 17.5K DWT bulk carrier were optimized by the CSR rule. On the other hand, the modified artificial life algorithms with multi-object functions were developed for optimizing the scantling. It is possible to find multi-global optimum solutions in the multi-object functions. And it is faster and efficient than the artificial life algorithm. First, to be optimizing the scantling and the weight by CSR rule, that is calculated by the CSR rule. The next, the result is re-calculated by the modified artificial life algorithm with multi-object functions. The optimized results which are satisfied with the CSR rule like the minimum size and the thickness of stiffener and the minimum cost have been searched by the optimizing algorithm. And the results have been compared with the non-optimizing results.
        4,000원
        59.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전략적 CSR의 개념을 검토하고 전략적 CSR활동이 기업성과에 대해 갖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 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CSR 활동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전략적 CSR 활동이 전통적 CSR 활동보다 기업성과에 더 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셋째, CSR 활동의 일차적 성과라 할 수 있는 사회적 성과가 CSR활동과 재무적 성과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상위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회수된 216부(한국 115부, 일본 101부)의 설문을 AMOS와 STATA를 사용하여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CSR 활동이 기업성과에 대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갖는다는 사실은 한·일 모두 확인되었다. 둘째, 전략적 CSR 활동이 전통적 CSR 활동보다 기업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는 한국기업의 경우 사회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 모두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일본기업의 경우는 전략적 CSR 활동이 사회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 모두에서 전통적 CSR 활동 보다 더 큰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전략적 CSR 활동이 사회적,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매개효과에 있어 한국과 일본기업 모두 법·윤리적 책임활동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익창출 책임활동, 사회공헌 책임활동, 사회혁신 책임활동은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6,700원
        60.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들어 기업도 사회적 책임투자를 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책임투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이념의 실천으로 보이며, 향후 우리 기업도 이에 대하여 적극 대비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입법의 형식으로도 점차 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 2010. 7. 1일 박선숙 의원이 발의한(의안번호 1808785)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의 일부 개정안」(동법 제159조 제2항)을 보면, 이러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보 공시를 의무화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따라서 본 논문은 CSR 이념에 우리의 법제도 속으로 들어올 때 어떠한 영향이 미칠 것인지에 대하여 검토하여 보고자 하였다.검토의 결과 CSR이념이 기업 관련법 속에 도입될 때에는 기업이 CSR의 이념을 실천에 따른 기업의 의무, 특히 기업 이사 등의 의무와 책임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예로 기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업의 기부가 과연 어디까지 허용될 것인가와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제기되었지만 CSR 이념을 도입할 경우 이 문제를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었다. 다만, 이사의 의무와 책임과 관련하여 지나치게 범위가 확대된 것이 아닌가하는 의문 또한 제기되었다. 향후 CSR를 도입할 때 이사의 의무와 관련해서 그 판단기준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