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

        44.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to study the tendency of the development of the urban comprehensive park in the modern history of China, and take the urban comprehensive park of Wuhan as an example to study the local research through the literature.. In 1928, Wuhan Urban Comprehensive Park starting stage characteristics to the ideological education of the government as the center, in 1977 the policy of reform and opening to the outside world to entertainment center, ecology design point of view, the introduction of open space and urban plaza, to human centered design, appl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5 in Wuhan Urban Garden Expo theme can be seen in green life as the goal, through the design of urban comprehensive park ecology and human centered design, the appl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45.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plores influenc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residents’ perception in a collective aspects, and also explores the differences of influence between two groups in 10 rural communities. This study conducts regression analysis with residents questionnaires,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among the latent factor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s, associational network and social trust factors of social capital are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quality of life and residents’ attitude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socio-cultural factor of quality of life and residents’ attitude between two groups are identified by compariso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groups, although the explanatory power of both groups is not high. To achieve a successful rural tourism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rural tourism should consider the region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occupations and education and so on. The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sidents’ perception would be different by regions in comparison with two groups, and it will be able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 for the rural tourism development in the future.
        47.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try to quantify resident's conflict by rural development project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bout community capacities required for residents and social networks in rural village for suggesting efficient project model. we analyzed conflict elements in six category such as 'conflict in residents', 'conflict in residents and leaders', 'conflict in leaders', 'conflict in villages', 'conflict in development fund', 'conflict in village by common income project'. These results also analyzed by personal background(age, role, education, income) of respondent in questionary survey. Results show that 'conflict in residents and leaders', 'conflict in leaders', 'conflict in development fund' are perceived differently by age, role, education, and income in 5% significance level. Especially, relatively young age(below 40 years old) expressed clearly about conflict and high scored in item of 'residents and leaders'. Regression model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F=39.807, P=0.000) in influence relation analysis of conflict, network, leadership, and project fund. In this model, network β=-0.237, leadership β=-0.375, project fund β=-0.000 show network and leadership have negative relation to conflict but project fund is difficult to find relation with conflict. In this study, we defined social vulnerability using conflict, network, and leadership and verified the vulnerability of rural village applying regional community capacity in analysis results; vulnerability increased by the size of region and show inverse correlation to future vision of residents.
        48.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그동안 백두산 화산재 피해에 대한 인식과 대비책 마련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정보통신분야에 관한 관리기준과 매뉴얼의 연구는 부족하였다. 특히, 해외 사례와 비교해보면 화산분화재난에 대한 위험성이 낮다고 판단되어 세부적인 관리기준이 미약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산분화로 발생한 화산재의 피해영향과 그에 따른 다각도의 대응방안의 연계가 미흡하고, 부처별 역할 및 업무도 개략적인 수준에서의 제시에 머물러 있다. 특히, 통신시설 분야는 미세먼지(황사/분진) 및 대설/폭우 등의 재난 시에도 통신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대비책이 강구되어 있으나, 화산재 재해에 대한 운용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리하여, 부처별 역할 및 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들을 제시하여 화산재의 낙하 및 확산 시에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 및 공조방안에 관한 관리기준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화산재의 퇴적량과 수분함유량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시설부분의 관리기준을 수립하였다. 왜냐하면 아직까지 국내에 실재로 발생하지 않은 사례이며, 대응 기준의 퇴적량이 비나 바람에 의해 정보통신 시설에 균등하게 쌓이지 않기 때문에 최대치의 퇴적량과 습윤 등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즉, 정보통신 시설 중에서 전송, 선로, 전원시설을 주요시설로 보고 관리기준을 화산재 피해정도(VAD, Volcanic Ash -Degree)에 따라 Ⅰ~Ⅳ단계로 구분하였으며, VADⅠ단계는 미미한 피해를 일으키는 단계, VADⅡ단계는 약한 피해를 일으키는 단계, VADⅢ단계는 심한 피해를 일으키는 단계, VADⅣ단계는 극심한 피해를 일으키는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다만, 본 연구가 제시한 관리기준은 실험값이 아니고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진행한 연구이기 때문에 퇴적량의 정량적 기준치 설정은 향후 지속적인 실험과 연구를 향후 과제로 남겨두었다.
        50.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공동체적 관점에서 조직의 변화와 개선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Change Laboratory Method(이하 CL)의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초등 사회과 교사발달 연구에서의 CL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분석 결과, CL은 모순적 상황에서 시작된다는 점, 질문하기 과정을 통해서 참여자들의 협력과 비판적 활동을 지원한다는 점, 참여자가 속한 공동체의 문화를 변화시키는 특징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교과의 특성상 사회 변화의 흐름을 반영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성이 요구되며, 특히 전 교과를 담당해야 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개인적인 노력으로 사회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는 것은 어려우므로, 초등 사회과 교사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의 탐색이 요청된다. 둘째, 협력과 상호작용이 중심이 되는 초등 사회과의 특징을 잘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를 지도하는 교사 스스로가 그러한 학습 과정을 경험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CL은 교사발달에 있어서 유용한 연구 방법이 된다.
        51.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거주시설에 입소한 장애유아의 사회 및 정서 발달 향상을 위한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북 익산시 위치한 M장애영유아거주시설에 거 주하고 있는 장애유아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2년 3월부 터 6월까지 주 1회 총 15회기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 전과 후에 사회성 및 정서 발달 척도 질 문지를 사용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원예치료에 참여한 장애 유아 16명은 사회성 및 정서 발달의 하위영역 중 교사와의 상호작 용과 독립성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결 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텃밭활동 및 꽃과 식물을 이용한 원예 치료 프로그램이 거주시설 장애유아의 사회 및 정서 발달에 긍정적 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앞으로 거주 시설 장애유아들에게 전문적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 공한다면 유아기에 습득해야 하는 사회 및 정서 발달 과정을 경험 하고 그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58.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방재 개념은 재해로부터 발생하게 되는 인명 및 재산피해 등의 1차적 피해 저감을 주요 목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재해위험을 근원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재해의 발생 원인을 제거하는 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해위험경감대책 수립 시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기후변화로 인해 가중되고 있는 피해 규모를 근원적으로 경감시키는 개념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개발 및 사회 각 분야의 계획 및 관리에 있어 방재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각종 개발 수립 시 계획단계에서부터 재해예방을 고려함으로써 재해 발생 요인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분야에 방재개념 적용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사회분야별로 재해저감을 위한 정보 및 기술이 공유될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과 재해위험경감에 대한 의식 향상 등 사회 및 문화적 접근 방법의 패러다임이 필요성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 및 문화의 주요 분야별로 재해 취약성을 분석하고 취약한 분야에 대한 재해경감 전략 수립 등 체계적인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