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9

        4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rnyard millet is a short-lived tropical, short-term C4 plant and has superior vitality in humid conditions owing to its freshwater habitat. It shows strong adaptability to soils with poor drainage and low fertility, and efficiently competes with rice in paddy fields. Barnyard millet grain is used as feed in the Indian region and is a great source of dietary fiber, proteins, fats, vitamins, and some essential amino acids. Considering its high nutritional value and its potential as a food resource and fodder crop, various countries are showing interest in cultivating barnyard millet. However, in Korea, farm households have not yet recognized the benefits of cultivating barnyard millet, and research regarding this is scarce. In this review, the features of forage barnyard millet and its related research trends are discussed, with the aim of improving interest in this crop and promoting its cultivation.
        4,000원
        4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대 운서의 반절 주음(注音)은 음가가 아닌 음 범주를 반영한 것으로, 반절의 표 음방식은 반절 상·하자 음운 자질에 근거하여 분석해야 한다. 음운 자질에 근거해 반 절 상·하자의 성모와 주요모음, 운미의 자질 대응 관계를 분석했고, 반절 상·하자가 피절자와 일정한 대응 관계를 이루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절 상·하자는 각 성모의 조 음자가 대응하며, 주요모음의 개구도가 대응하고, 운미는 V-C(Vocal-Cords), Lab(La bial), Cor(Coronal), Dor(Dorsal)의 자질이 다양하게 대응했다. 이러한 분석으로 반절 상·하자가 각 성모와 운모를 나타내면서도 서로 대응 관계를 이루는 유사 음운이 되 도록 고려했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으며, 반절 상·하자는 피절자의 음을 표기하기 위 해 선별된 최적의 쌍으로 정교하고 치밀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1,400원
        44.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 Chinese international trade correspondence belongs to the teaching field of "Special purpose language". It takes various communicative contexts as the premise, and the communicative context is based on the communicative process under the specific working environment of language users. Therefore, it needs appropriate communicative functions to achieve the communicative purpose. In order to achieve the communicative function, the use of specific sentence types obviously contains some convention. The characteristics of high-frequency sentence types in international trade letters have a certain tendency. This paper takes the Chinese E-mail actually generated by the Korean staff of a Korean trading company in their trade with China as the research object, investigates and analyzes its sentence function, and provides empirical data for business Chinese teaching. Compared with the teaching of traditional lingua franca, according to the various social attributes of Korean Chinese international trade exchanges, it is not only the cognitive background of learners and staff, but also the communicative context required by professional work. The core content of teaching should give priority to the specific sentence patterns of communicative function words closely related to work in the actual corpus, and apply them in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To enable learners to acquire the required language communicative competence as soon as possible, it does not emphasize the comprehensive mastery of learning, but can save time and selectively improve communication efficiency.
        6,600원
        46.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부여 송국리유적에서 조사된 청동기시대 석관묘의 주요 특징과 기능 및 성격에 관한 문제를 재검토한 것으로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변지역의 사례와 비교되는 송국리유적 석관묘의 특수성은 대형화된 묘실 개석과 매장주체부, 그리고 벽석부의 보축시설 및 부장품의 문화적 상이성 등으로 요약된다. 둘째, 동검 부장묘로서의 1호 석관묘와 묘역내 중심적 입지에 자리한 5호묘간의 어색한 배치관계에 미뤄 볼 때, 그간 묘역내 중심묘적 기능을 가진 것으로 인식되어온 송국리 1호 석관묘의 시간성과 성격문제는 재고될 필요가 있다. 셋째, 송국리 5호 석관묘는, 유구 자체의 제반 특징과 주변 지역 유사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비교한 결과 고인돌적 특성이 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아울러 5호묘(추정 고인돌) 출토 이중구연 단사 선문토기를 시간성의 문제가 아닌 문화 성격적 측면에 보다 집중할 경우, 그것을 축조한 사람들의 성격을 이해하기가 한결 수월해진다. 넷째, 묘역의 형성과정은 구릉 정상부 방대상의 돌출부 중심에 자리한 5호묘와 그 서북쪽 4호 석관묘 및 미조사된 6호 석관묘 등의 관계가 성립된 이후(先), 중심묘적 기능을 가진 5호묘의 축선을 기준 삼아 1호 석관묘 및 그 사이의 2·3호 석개토광묘가 들어서면서 (후), 최종적으로 하나의 성토부가 구획되어 묘역화 되었을 것으로 본다. 다섯째, 송국리문화권내에서 고인돌적 전통이 수용되는 과정에는 송국리집단의 주도적 역할이 예상된다. 아마도 고인돌문화 속에 내재된 신앙과 의례풍습 등을 존중해주는 한편 서로 공유함으로써 두 집단간의 정신문화적 측면에서의 동화를 모색한 듯하다. 결론적으로 송국리 1호 석관묘와 5호묘의 관계는 고인돌 축조집단의 신앙체계나 문화적 관습 등을 수용한 송국리집단의 배려로 볼 수 있을 듯하다.
        6,700원
        47.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check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interviews from the humidifier disinfectant victims, the research compared the interviews with the modern spoken corpus and analyzed them in respect of vocabulary and gramma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ommon point was deduced by the lexical metaphor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nts and their companion animals, the victims of the case, is as close as a family member. The result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is very rare that the materials of the lexical metaphor provide and predic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companion animals. Second, the actuality of the semi-formal talk was well revealed by the grammatical feature, in terms of many fragmentary sentences and frequent uses of the ‘-haeyo’ style. However, certain types of conclusive endings such as ‘-keodeunyo’, ‘-jyo’, or ‘-jahnayo’, which are used by the speaker's assumption on the state of hearer's knowledge, were frequently used compared to the modern spoken corpus. The features of these conclusive endings assuming hearer's knowledge and ignorance show that the linguistic materials of informants implicate their intent to inform the society of the case and to get recognition from the society.
        6,400원
        48.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석명』에 수록된 글자 중에서 유가철학적 인식의 특징이 보이는 글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아본 것이다. 漢朝의 신유학은 정치의 시녀로 전락 하였다는 점과 도가와 법가 등 여러 사상이 혼재되었다는 점 등에서 非儒라고 비판 하기도 한다. 하지만 漢朝의 유학과 사상, 문화 등은 이후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직접적인 문화적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우리는 반드시 다양한 각도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시기라고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석명』의 字釋은 그 당시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대한 작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석명』의 仁· 誼·禮와 德에 대한 관념, 그리고 선악과 시비에 대한 유희의 해석에는 선진유학의 전통적인 유가철학적 관점과 더불어 동중서의 신유학적 관점도 함께 공존하고 있어서 동중서의 유학관이 유희가 살았던 漢朝 말기까지 널리 퍼져 있었고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5,800원
        49.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hanbok design method in response to recent changes in consumption trends that emphasize new aesthetic and cultural values, which contrast with the existing cultural order and repetitive normative styles in fashion designing. With this in mind, our study explores the main features of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as a theoretical guide for developing a methodology for deconstruction hanbok design, on the basis of which new, experimental and creative hanbok design works can be produced. To do this, we first investigate current trends in hanbok design and changing concepts of Korean fashion design through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Secondly, we explore deconstructionism and analyze its features to lay down the foundation for a post-modern approach in hanbok design.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 main features of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non-finishing, 2) decomposing and recomposing, 3) recycling, 4) transparent, 5) grunge, 6) flattening, and 7) exaggeration. Based on the identified core features of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we develop a creative method of hanbok design in the context of modern Korean fashion design. Finally, we show five design outputs via a 3D digital fashion design process using the CLO3D software program.
        5,800원
        50.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선박용 공기압축기의 상태기반보전 시스템에 필요한 이상치 탐지 알고리즘 적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로서 고장모사 실험을 통해 시계열 전류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탐지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고장 유형 10개에 대해 실험실 규모의 고장 모사 실험을 수행하여 정상 운전데이터와 고장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실험 결과 구축된 이상탐지 모델은 시계열 데이터의 주기에 변화를 유발하는 이상은 잘 탐지하는 반면 미세한 부하 변동에 대한 탐지 성능은 떨어졌다. 또한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시계열 이상탐지 모델은 입력 시 퀀스의 길이와 초모수 조정에 따라 이상 탐지 성능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1.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업생산생태계 내 경관의 구조와 구성은 해충과 천적을 비롯한 생물다양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는 경남 거창군 80개 사과원 을 대상으로 경관 구조가 나비목 해충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과수원의 지정학적 특징, 농약 사용패턴과 과원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정보는 설문 조사를 통해 추가로 분석하였다. 과수원 주변 경관 구조는 인공위성자료에 바탕하여 추출하였다. 복숭아순나방 발생량이 가장 많았고, 사과굴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잎말이나방 순으로 발생하였다. 농가에서는 살균제와 살충제를 각 12.4회, 살비제는 2.4회 살포하였다. 대부분 사과원 주변 식생은 사과 또는 논이었으며, 자두, 복숭아, 포도 또는 폐과원이 있을 경우 복숭아순나방 밀도가 특히 높았다. 복숭아심식나방 역시 주변에 복숭아나 포도가 있을 경우 그 발생량이 더 높았다. 사과굴나방은 복숭아, 포도, 폐과원 그리고 대추가 있는 지역에서 발생량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 지역에서 경관 관리는 농촌 어메니티 개선뿐 아니라 병해충 관리의 차원에서 기능적 다양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4,300원
        5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ckel nanopowders are obtained by the spark discharge method, which is based on the evaporation of the electrode surface under the action of the discharge current, followed by vapor condensation and the formation of nanoparticles. Nickel electrodes with a purity of 99.99% are used to synthesize the nickel nanoparticles in the setup. Nitrogen is used as the carrier gas with a purity of 99.998%. XRD, TEM, and EDX analyses of the nanopowders are performed. Moreover, HRTEM images with measured interplanar spacings are obtained. In the nickel nanopowder samples, a phase of approximately 90 wt% with an expanded crystal lattice of 6.5% on average is found. The results indicate an unusual process of nickel nanoparticle formation when the spark discharge method is employed.
        3,000원
        53.
        202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avitational lensing of point sources located inside the lens caustic is known to produce four images in a con guration closely related to the source position. We study this relation in the particular case of a sample of quadruply-imaged quasars observed by the Hubble Space Telescop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parameters de ning the image con guration are revealed. The relation between the image con guration and the source position is studied. Some simple features of the selected data sample are exposed and commented upon. In particular, evidence is found for the selected sample to be biased in favor of large magni cation systems. While having no direct impact on practical analyses of speci c systems, our results have pedagogical value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gravitational lensing.
        4,200원
        5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밭 경작지는 다른 유형의 경작지보다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고 있으며, 이모작 등 영농활동에 의한 교란 정도가 상대적으로 크며 건조한 환경조건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밭 경작지에 출현하는 식물종의 종조성 및 생활형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전국을 대상으로 36개 지역에서 2015년 6월과 8월 두 시기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우리나라 밭 경작지에 출현하는 관속식물은 100과 322속 483종 9아종 37변종 1품종 2잡종으로 총 532분 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과별 분포현황은 국화과가 가장 많은 75분류군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벼과 68분류군, 콩과 34분류군, 마디풀과 21분류군, 장미과 19분류군, 백합과 1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종별 출현빈도는 깨풀과 쑥이 10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환삼덩굴, 속속이풀, 망초, 개망초, 왕고들빼기, 닭의장풀, 바랭이, 돌피, 금방동사니, 괭이밥, 쇠비름, 명아주, 개비름, 콩, 주름잎, 왕바랭이 등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논 경작지에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일년생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직립형 (Th- R5-D4-e)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로는 주목, 목련, 할미밀망, 쥐방울덩굴, 벼룩아재비, 개지치, 애기담배풀, 두메부추, 물잔디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 식물은 환삼덩굴, 애기수영, 가시박,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양미역취, 미국쑥부쟁이 등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24과 68속 97종 1변종으로 총 98분류 군이 확인되었고, 도시화지수는 30.5%, 귀화율은 18.4%를 나타냈다.
        6,4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