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

        45.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쥐똥밀까지벌레(Ericerus pela Chavannes)의 지역별 분포 및 월동, 산란 등 몇가지 생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본 종의 분포는 증평지역이 조사가지 대비 10.8%의 밀도율을 보여 가장 높았고 영월과 평택지역에서는 각각 1.1%로 가장 낮았다. 암컷성충의 월동후 생종율은 평균 85.3%로 비교적 높은 경향이었고, 월동직후에서 산란직전까지 암컷성충은 약 3.5배의 성장률을 보였다. 암컷 1개체당 평균 산란수는 7,783.5개로서 조사개체의 36.7%가 7,000~10,000개의 범위내에서 산란하였으며 난의 크기는 장경 및 단경이 각각 0.40mm, 0.21mm. 1령유충은 0.52mm, 0.29mm, 2령유충은 0.97mm 0.60mm이었다. 난의 부화율은에서 66.8%로 가장 높았고 용화율은 조사온도 모두 50.0%미만으로 낮았으며 우화율은 에서 67.3%fg 가장 높았다. 본 종의 총 발육기간은 , ,에서 각각 93.27일, 76.83일, 65.42일로서 고온하에서 발육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한편 난을 일정기간 저온으로 보존한 후 부화율을 조사한 결과 에서 최대 50일간 보존이 가능함을 알수 있었다.
        4,000원
        46.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꿀벌부채명나방 종령유충의 whole body에서 gel filtration 방법으로 유약호르몬 결합 단백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은 column chromatography법과 전기영동법에 의해 등가성을 확인하였다. 이 결합단백질은 전기 영동법에 의해 32K, gel filtration 에 의해 28K의 상대적 분자량을 나타냈다. 또한, JH III에 대한 해리도는 3.9M로 확인되었다.
        4,000원
        47.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지방의 소귀나무 자생지 분포조사와 방법을 구명하기 위한 삽목 번식 및 종자 번식에 대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생지 분포는 서귀포시 영천동과 남제주군 남원읍 하례 2리를 경계하고 있는 효돈천 및 동홍천을 중심으로 해발 100~400m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2. 삽목에서 발근을 촉진하기 위하여 BA, IBA, Kinetin, IAA, GA3 등을 처리하였으나 발근 발아가 되지 않았다. 3. 발근저해물질인 탄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AgNO3를 처리한 다음 BA, lBA, Kinetin 처리에서도 역시 발근은 되지 않았다. 4. 종자를 40℃에서 30일간 처리한 것이 39%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5. 소귀나무 어린묘의 잎의 형태와 성목의 잎의 형태가 완전히 다르게 전개되는 특성을 보였다.
        4,000원
        48.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ocedure to prepare an acrylic emulsion water repellents by blending of arcylic copolymer, activated polyethylene, wax, and emulsifiers was published in the previous paper. After the treatment of the prepared water repellents on a cotton fabrics with and without textile finishing resin, washability, contact angle, tearing strength, and crease recovery were tested. As the result, there were remarkable improvements in physical properties. Proper curing temperature of the synthesized water repellents impellents was 150℃ : proper using concentration was 5wt% : sodium acetate was the best catalyst for water repellents among the used, and proper concentration was 1.0wt%.
        4,000원
        49.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able softening water repellents such as PODCWs were prepared by blending cationized compound of poly(octadecyl methacrylate-co-2-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of which synthetic methods were reported in the previous paper, activated polythylene, waxes, and emulsifiers. Water repellency of prepared PODCWs was measured by performing water repellent finish to various fabrics, PODCWs showed a good water repellency for P/C blended fabrics and their repelling tendency was in the order of P/C blended fabrics〉cotton fabrics〉nylon taffeta. The initial water repellencies of PODCW-1 and PODCW-2 were 100 and 100- points, respectively, for P/C blended fabrics. And also, PODCW-1 and PODCW-2 were confirmed as durable water repellents with the results of making little difference of water repellency as ±5 point after and before washing.
        4,000원
        50.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epare a durable softening water repellent, quaternized octadecyl methacrylate-2-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as a mother resin and quaternized 1, 3-dioctadecyl-2, 7-dioxy-6, 8-di(2-hydroxyethyl)-1, 3, 6, 8-tetraazacyclodecane which increase the softening effect and the hydrostatic pressure blended with waxes and their emulsifier in various proportions to give water repellent PADWC. As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water repellency, washable, tear strength and crease recovery to polyestercotton(P/C) blended fabrics treated with PADWC only or addition of textile finishing resin,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in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lowering effect in water repellency when PADWC was treated the antistatic agent by the one-bath method, and the effect of water repellency by the adding the catalyst was studied. PADWC was confirmed as durable water repellent with the results of making little difference of water repellency as ±5 point after and before washing.
        4,000원
        51.
        199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able softening water repellents for nylon fiber were synthesized, using two compounds: quaternized octadecyl methacrylate-2-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as a mother resin of water repellent and quaternized fatty carbamide for improving softness and hydrostatic pressure, of which syntheses were studied in the previous papers. They were blended with waxes and emulsifiers in a variety of ratios and synthesized into water repellent PADWC, and it was nylon taffeta treated with and without textile finishing resin. The synthesized water repellents can be used either or without resin. The optimum curing temperature was 150 to 160℃ and the optimum concentration was 3 to 5wt%. In the independent and conjunct treatment, the water repellency of nylon taffeta samples have no remarkable changes between initial value and that after three times washing, so these prove that the synthesized compounds are durable water repellent. The water repellency of PADWC-3 and -4 were around 90. Also, comparison of crease recovery and tear strength after repelling treatment showed that the synthesized water repellents have a very high softening effect.
        4,000원
        52.
        198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rrelation among the wax-pigment composites which is base vehicles for the crepas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fadeness. The base wax synthesized and pigments are compounded with petroleum lubricant and exposed under carbon arc individually. The yellowing phenomenon was appeared on the reference papers coated with the spindle oil which was then exposed. The papers were again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nd pH of them were ranged between 6.2-6.5. Color difference from Adam-Nickerson equation, △E of base wax is 0.15 and that of spindle oil are varied from 0.66 to 15.62. Since the main components of the petroleum lubricant are aromatic hydrocarbons which have absorptions characteric of UV ranging from 240 to 280 nm, fadeness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s are largely depend upon the change of molecular structure of spindle oil by absorbing UV. Thus the spindle oil having the following physical properties has the better resistance of fadness and is recommended to use in compounding the base wax-pigment composites: · main component: paraffinic hydrocarbon · pour point: below - 15℃ · UV absorption characteristics: λmax. : 268-290nm · absorbancy: below 0.1(0.03ml of sample/50ml of CHCl3)
        4,000원
        54.
        196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문은 1963-1964년 사이에 감나무에 기생하는 Ceroplastes floridensis Comstock의 생태학적연구와 여기에 기행하는 parasite 2종의 생태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수록하였다. 1. C. floridensis는 대구시내 시가 중심부에 집중적으로 감나무에 기생해 있고 본충의 유력한 기생기봉인 M. clauseni의 기생율은 최고 이고 시가 중심에 비교적 기생율이 적다. 2. 본 충의 란의 발육은 성숙란이 5월 중순 - 7월초에 나타나고 5월말-6월초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그리고 1필의 장란수는 평균 개이다. 3. 본 충은 6월초-7월초에 부화하여 6월 중순에 최고를 이루며 male은 8월 14-9월 7일에 용화하여 성충은 8월 20일-9월 8일 사이에 나타난다. 또 adult male의 수명은 8월에는 3일간, 9월에는 4일간이다. 4. 본 충의 host plant 중 persimmon, platanus, trifoliate orange의 3종에 기생한 본 충의 체장에는 상호간에 차이가 있으며 persimmon에 기생한 것의 체장이 가장 길고 다음이 platanus이며 trifoliate orange에 기생한 것이 체장이 가장 작았다. 5. C. floridensis에 기생하는 M. clauseni는 1년에 5회 발생하며 유충내로 host 체내에서 월동하여 4월 중순에 제1회의 성충이 나타난다. 에서 1세대를 완료하는데 15일을 요하며 이 parasite의 female 1필이 가지고 있는 ovariole 수는 6개이고 장란수는 평균 개였다. 6. C. floridensis 1필에 기생하는 M. clauseni의 기생충수는 1필이 가장 많았고 2필 또는 이례적으로 4필이 기생한 것도 있었다. 7. Coccophagus spp.는 C. floridensis에 있어서 male에만 기생하고 그 기생율은 였다.
        4,000원
        55.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 우리는 유기자외선차단제와 왁스를 함유하고 Tween 80과 Span 80의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한 o/w 나노에멀젼에서 자외선 흡광도의 상승에 대해 연구하였다. Tween 80/Span 80 유화시스템에서 칸데릴라 왁스를 함유하고 PIC (Phase Inversion Composition)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입자는 50 nm 이하였다. Tween 80/Span 80/칸데릴라 왁스/유기자외선차단제의 농도를 4.5:0.5/3.0/2.0 wt%로 고정하고 다양한 유기자외선차단제를 각각 첨가하여 에멀젼을 제조한 결과, Parsol MCX와 Escalol 587에서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었다. 또한 동일 시스템에서 Parsol MCX와 칸데릴라 왁스의 비율은 2.0 미만일 때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었다. 자외선 흡수 효과는 Parsol MCX와 칸데릴라 왁스를 혼용하였을 때 높은 상승효과를 보였다.
        56.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왁스 또는 긴사슬을 가지는 탄화수소는 동물, 식물, 광물 또는 합성에 의해 만들어 진다. 오일-왁스 겔은 립스틱과 같은 다양한 화장품 분야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립스틱의 사용감촉은 오일-왁스 겔의 광택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여러 논문에서 단일 용매 또는 혼합된 용매에서의 왁스 구조에 대해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왁스 구조에 대한 연구 논문은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세레신 왁스와 또 다른 왁스를 사용하여 오일-왁스겔에서의 광택과 왁스 구조에 대한 관계를 연구하였다. 최근 들어 입술피부에서의 광택 효과는 아름다움의 척도로 알려지고 있다. 광택효과는 오일-왁스 메트릭스가 형성될 때 메트릭스 구조의 변화와 오일의 성질에 의해 좌우된다. 최근 연구에서는 세레신 왁스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로부터 얻어진 오일-왁스 겔에서의 왁스 구조변화와 그에 따른 광택에 대한 영향을 보고하고 있다.
        58.
        199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owage effects of Satsuma mandarin(Citrus unshiu Marc. var. miyagawa) were investigated by selecting various pretreatmnents; non-tested, wax-coating, paper packaging, 0.02mm cryovac film packaging. Weight loss of film packaging was the lowest among that of others, but decay radio was increased highly at late stages of storage. Soluble solids, moisture content of peel and total sugar were maintained almost constant, but acid content, vitamin C and firmness were reduced gradually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For 100 days storage, losses from weight and decay of ton-treated, paper packaging, wax-coating and film packaging were 15.9%, 18.5%, 17.4% and 12.9%, respectively. Acid content was decreased loom 1.28% to 0.81∼0.91% after 100 days storage. Ethylene evolution was increased in a degree after 65 days storage, and the amount was increased repidly afer 115 days. it seemed to be derived from decayed frui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CO2 content of inner part of fruits was increased between 40∼100 days after storage. Optimum storage period of early variety of Satuma mandarin was regarded for 100days on the basis of appeareance and taste.
        60.
        199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엽표면 특성 및 유전적 특성이 현저히 다른 벼 품종들의 엽표면 wax의 양과 화학적 조성을 밝히고자 수행 되었다. 벼품종은 엽의 형태적 특성면에서 glabrous한 것, long-hairy한 것, pubescent한 것, water-wettable한 것을 선정했고 이들 각각에 대한 일본형 품종과 통일형(Indica Japonica) 품종을 1개씩 공시하였으며, 공시품종들의 분얼기 및 출수기에 엽표면 wax를 chloroform으로 추출하고 그 양 및 화학적 조성을 TLC, GLC 및 FTIR로 분석했으며,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의 엽표면 wax는 chloroform을 용매로 추출할 때 대체로 엽표면 wax 전체에 대해 균등하게 작용하며 wax 소편의 일부 및 첨예한 부분을 많이 용해시키나 상온에서 chloroform이 엽전면에 균일하게 접촉하고 wax 이외 물질을 유출하지 않기 위해서 벼 잎을 5분이내 침지함이 적당했지만 5분간 추출로도 엽면적 wax 전량을 추출하지는 못하였다. 2. 공시 품종들의 엽표면 wax는 대부분 소편장(platelet)으로 엽표면에 축적되어 있고 품종에 따라 wax축적의 조밀성이 달랐는데 Glabrous 품종이 제일 치밀했고 Long-hairy 품종, Pubescent 품종들이 그 다음으로 치밀했으며, Water-wettable 품종들은 wax 소편들이 적고 엉성하여 큐티클층 노출이 많았다. 또한 잎의 전면과 이면간 wax 축적은 품종에 관계없이 이면보다 전면이 더 치밀하였다. 3. Chloroform으로 5분씩 2회 침출한 엽표면 wax의 양은 벼품종간 차이보다 생육시기간 차이가 컸는데, 분얼기는 0.8~1.8 mg / g f.w. 수준, 출수기에는 1.7~3.6 mg / g. f.w. 수준으로 출수기에 불얼기보다 2~3배 정도 더 많았다. 4. 벼 엽표면 wax의 화학조성은 TLC상에서 크게 7성분으로 분리 동정되었는데 ketone류는 확인할 수 없었고 diol류, fatty alcohol류, fatty acid류, fatty aldehyde류, fatty ester류, 포화와 불포화 hydrocarbon류 등이 확인되었다. 5. 엽표면 wax의 TLC상의 화학조성은 벼품종간보다 생육시기별로 달랐는데 분얼기는 극성 성분인 diol, fatty acid, fatty alcohol류들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출수기에는 이들과 비극성 성분인 fatty aldehyde, fatty ester, 포화 및 불포화 hydrocarbon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6. 벼 엽표면 wax를 이루고 있는 조성을 화학성분별로 탄소수면에서 보면 diol류는 C30 단일물질로, fatty alcohol류중 primary인 경우 C13과 C32가 주종이었고 secondary는 C14, C16, C30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aldehyde류는 C29-C34까지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분포되어 있었다. Fatty ester중 acid 부위는 aldehyde 부위보다 저탄소수분포를 보였고 주로 C22, C23이었고, alcohol류는 C13, C22, C24, C26 등으로 품종에 따라 다른 구성을 보였다. Hydrocarbon류는 품종과 생육시기에 관계없이 탄소수가 홀수인 물질이었으며 주로 C29와 C31이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