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6

        41.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the thermo-hydraulic-mechanical-chemical coupled processes is increasing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A) of the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In the case of mechanical behavior, it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an affect fluid flow and radionuclide transport by changing the porosity and permeability of the medium. In particular, Excavation Damaged Zone (EDZ) should be considered essential in PA because the migration of radionuclide is affected by the enhanced hydraulic transmissivity and altered geomechanical behavior of EDZ. Furthermore, due to various thermo-hydraulic behaviors such as decay heat generated from radioactive waste, pore water pressure increase, and swelling pressure of bentonite buffer material, mechanical evolution is occurred which may change the size and physical properties of EDZ.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analysis of coupled thermal-hydraulic-mechanical (THM) processes with the effect of long-term evolution of EDZ due to the mechanical behavior should be accompanied. In this study, numerical model for the long-term evolution due to mechanical behavior considering EDZ using the Adaptive Process-based total system performance analysis framework for a geological disposal system (APro) proposed by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In the case of EDZ, the concept of Mazars’ damage evolution model was applied to simulate the behavior using the continuum model, and the change in hydraulic propert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mage was consider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mechanical behavior in PA, the results were compared by performing nume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chanical analysis. Finally, numerical analysis considering the mechanical evolution of EDZ was conducted using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Z.
        43.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ut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levant provisions differ, and the views expressed on them still leave ample room to be unilaterally interpreted and applied. So, it is undeniable that conflicts over ocean waters among the concerned countries are serious and difficult to overcome. To solve these problems, the UNCLOS calls for the countries concerned to make every effort to enter into provisional arrangements of a practical nature. Korea and Japan have maritime boundary problems in the water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so,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both nations established a joint development zone (JDZ) in the East China Sea in 1974. The zone can be terminated in 2028.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impact of the JDZ agreement between Korea and Japan over the East China Sea as to the delimitations of the continental shelf/EEZ
        6,100원
        46.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역사지진과 계기지진 기록에 따르면 한반도 남동부는 우리나라에서 지진활성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는 곳으로, 최근에 양산단층대와 울산단층대를 따라 제4기 단층이 다수 보고되어 고지진학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 히 울산단층대의 중부지역에 해당하는 경북 경주시 외동읍 말방리 일원은 울산단층대 내에서 가장 많은 활성단층이 보고된 지역이다. 따라서 이 지역에 대한 고지진학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LiDAR 영상 및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형 및 선형구조 분석을 실시하여 단층에 의한 기복으로 추정되는 지형인자를 확인하고, 야외답사와 물리탐사를 통해 단층을 추적하여 기 보고된 말방단층 지점에서 약 300 m 북서쪽에 위치한 곳에서 길이 20 m, 너비 5 m, 깊이 5 m의 굴착조사를 실시하였다. 굴착단면을 통해 분석된 제4기 퇴적층의 특징을 바탕으로 단층의 기하학적·운동학적 특성을 해석하여 고지진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번 굴착단면에서 확인된 역단층의 기하를 보이는 단층의 자세는 N26oW/33oNE로 울산단층대를 따라 분포하는 기 보고된 단층들과 유사하다. 약 40 cm의 단일 겉보기 변위가 인지되었 으나 단층조선의 부재로 실변위는 산출할 수 없었다.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극저온구조층의 연대결과 값을 토대로 단층 의 최후기 운동시기는 후기 뷔름빙기 이전으로 추정하였다. 기 보고된 연구결과와 본 굴착단면에서 획득한 단층기하를 종합하여 이 지역에 발달하는 단층계를 인편상구조로 해석하였고, 단층특성을 반영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말방리 일원 에서 수 회의 굴착조사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단층변수에 대한 정보가 미진 하고 각 지점들 간의 상관성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것은 역단층의 복잡한 운동학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 다. 추후 고지진학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된다면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종합적인 단층의 형태와 운동사가 규 명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600원
        47.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s are the ultimate consequences of increased CO2 volume in the air. Physical activation was used to prepare high-throughput activated carbon from a low-cost date stone. The adsorption performance of activated carbon using fixed bed for CO2 separation was studied. The reliance of temperature, flow rate, and initial CO2 concentration levels on breakthrough behaviour was analysed. The adsorption response was explored in terms of breakthrough and saturation points, adsorption capacity, temperature profiles, utilization factor, and length of mass-transfer zone. Increased temperatures lead to vary the breakthrough periods notably. The vastly steep breakthrough curves reveal satisfactory utilization of bed capacity. LMTZ is varied positively with increased feed rates and temperatures. The high utilization factor of 0.9738 with 1.66 mmol/g CO2 uptake was acquired at 298 K and 0.25 bars. The findings recommend that the carbon prepared from date stone is encouraging to capture CO2 from CO2/ N2 mixture.
        4,300원
        48.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free-living marine nematode species of the genus Pseudosteineria Wieser, 1956 affiliated with the family Xyalidae is described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sediment of a subtidal benthic environmental habitat in the East Sea, Korea. Pseudosteineria varisetis sp. nov differed from its congeners by the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 relatively long body (1,628-1,691 μm long in males), a circular amphideal fovea situated behind the subcephalic setae, the presence of lateral cuticular alae starting from behind the nerve ring, the presence of eight groups of long subcephalic setae, the presence of irregularly distributed variable lengths of somatic setae on the body, solid spicules (43.2-43.9 μm long) with a cephalated proximal end, a long tubular shaped gubernaculum with dorsal swelling, and a conico-cylindrical tail with two to four terminal setae. In this report, we provide a taxonomic description and illustrations of a new species of the genus Pseudosteineria by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microscopy.
        4,000원
        49.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dmirandus multicavus Belogurov and Belogurova, 1979, a new record of free-living marine nematode species belonging to family Oncholaimidae is reported based on the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intertidal sediments of Korea. Admirandus multicavus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unique characteristics: cephalic setae (1-2 μm long), spicules (71-126 μm long) and gubernaculum (15-31 μm long), midventral preanal supplementary organ, three glandular duct openings of the Demanian system, and stoma length measuring twice the widt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iogeograph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mirandus species is presented. DIC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photomicrographs of the species are also provided herein. This report represents the first taxonomic analysis of the genus Admirandus Belogurov and Belogurova, 1979 discovered from the Korean seawaters.
        4,000원
        5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근권부 온도를 20 ̊C와 25 ̊C로 설정하였을 때 파프리카의 출아 및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출아율은 25 ̊C처리구가 파종 후 3일째에 먼저 출아하였고, 발아기(50%발아)에 도달한 시간도 짧았다. 2. 두 처리간 초장과 엽수의 차이는 없었다. 3.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묘 생육기간 전반에 걸쳐 25 ̊C처리구에서 더 증가하였다. 4. 지하부의 생체중, 건물중, 그리고 엽면적은 묘 생육기간 전반에 걸쳐 25 ̊C처리구에서 더 증가하였는데 묘 생육 후반에 증가폭이 더 커졌다. 5. 국부냉방기술 개발을 통해 온실 냉방 효율을 높여 파프리카 묘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재배기술확립에 도 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56.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변구역 매수토지의 복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여 매수토지의 실질적 회복력을 분석하기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관련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34개의 회복탄력성 예비항목을 추출하였으며, 관련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생태적 대응력 7개, 물리적 대응력 6개, 관리적 대응력 4개 인자를 도출하였다. 둘째, 확정된 주요인자에 대한 신뢰도 분석, 계층적 의사결정법(AHP)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수토지에 복원된 식생의 구조적 안정성, 야생동물 종다양도, 야생동물 구조적 안정성, 토지매수 후 복원시 습지의 규모, 출현 식물 종수, 매수토지와 인접한 주변 토지피복 현황이 중요인자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수변구역의 토지매수, 복원, 관리단계별 회복탄력성 강화인자를 고려한 생태적 복원과 관리계획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200원
        59.
        2021.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ptimal conditions of the friction coefficient using a discrete element method (DEM) simulation with various friction coefficient conditions and three different grinding media with various ball sizes in a traditional ball mill (TBM). Using ball motion of the DEM simulation are obtained using the optimal friction coefficient compared with actual motion; photographs are taken by the digital camera and the snapshot images are analyzed. In the simulation, the rotation speed of the mill, the materials and velocity of the grinding media, and the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the balls and the wall of the pot are fixed as the actual experimental conditions. We observe the velocity according to the friction coefficient from the DEM simulation. The friction coefficient is found to increase with the velocity. Milling experiments using a traditional ball mill with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as those of the DEM simulation are conducted to verify the simulated results. In addition, particle morphology change of copper powder is investigated and analyz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for the milling experiment.
        4,000원
        60.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무장지대는 한반도 동-서 248km를 횡단하는 군사분계선을 기준으로 남, 북 각각 2㎞씩 무장이 금지된 지역이다. 그 중 남쪽으로 2㎞ 떨어진 경계를 남방한계선이라고 한다. 비무장지대는 정전협정 이후 자연천이과정을 거치며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한 지역으로 보전가치가 높다. 그러나 남방한계선 철책주변과 일부 지역은 군작전수행을 위한 각종 시설이용과 제초작업으로 인한 훼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훼손된 불모지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불모지 식생구조 파악을 위해 지표종을 중심으로 식생군락을 분류한 결과 뱀딸기군락, 비비추군락, 기린초-돌나물군락, 가락지 나물군락, 양지꽃군락, 꿀풀군락, 구절초-그늘사초군락, 산구절초군락, 질경이-토끼풀군락, 좀씀바귀-매듭풀군락 등 10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남방한계선 내 불모지는 군사적 활동으로 인한 토양침식, 지형변화, 산불 등 인위적인 교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교란된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높은 종을 중심으로 식생이 발달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분류된 군락 내 우점종은 대부분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하는 종으로 길 또는 길가, 나지, 훼손지, 초지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비무장지대 불모지 식생은 나지에서 초본식생으로 발달하는 천이 초기의 형태를 보인다. 불모지 내 분포하는 우점종은 특별한 유지·관리 없이도 자생할 수 있으므로 향후 복원소재 개발에 활용하거나 복원 종 선정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5,4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