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6

        64.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과의 유통에서 내 외부 품질특성 및 외부 오염원으로부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사과에 감마선 조사를 실시하여 각각 와 에 저장하면서 사과의 생리화학적 및 물리적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영양 성분 및 기능성 성분의 손실이나 품질저하는 보존 온도에 의하여 결정되었고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중량변화와 기계적 물성 특성 또한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색도와 관능특성은 상온 보관
        65.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기재배법이 배추의 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유기와 일반 재배 배추의 영양 및 기능성성분의 함량을 각각 비교분석 하였다. 일반성분 중 수분은 유기농 배추보다 일반배추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조단백질, 조지방, 탄수화물 및 조회분은 일반배추보다 유기농배추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용성 및 불용성식이섬유, ascorbic acid 및 dehydroascorbic acid, chlorophyll a 및 b, caro
        66.
        200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산 건조녹차를 에서 15분간 추출하여 여과한 다음 PET병에 밀봉하여 저온과 실내 및 실외에 각각 보관하면서 보존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라 L값은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a값이 감소하고 b값이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색깔이 짙어졌으며, 실내에서 저장한 경우가 실외저장이나 저온저장보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더 짙어졌다. 녹차추출물 중의 주요 카테킨류로는(-)-epi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
        67.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심층수의 처리에서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대조구보다 작물의 생육이 떨어짐으로 과실의 생육과 수량은 감소한다. 평균 생체중은 전체적으로 양액 내 해양심층수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1화방에 비하여 2화방의 생계중이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현저히 감소하였다. 과실의 고형물 함량은 심층수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제 1화방의 경우 10mM과 20mM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나, 제 2화방의 경우 30mM과 40mM 처리구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토마토 과실을 구성하는 당은 glucose와 fructose가 대부분이었고 sucrose는 미량만 검출되었다. 과실 내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이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줄어드는 이유는 심층수에 의해 생긴 염 스트레스에 의해 잎의 생육이 저하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실험에서는 20mM 처리구의 라이코펜 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처리구와 나머지 처리구의 함량은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수 처리는 염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에틸렌 형성을 유도 및 촉진시켜 과실의 성숙이 빨라진 것으로 생각되었다. 해양심층수의 처리는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lycopene 함량을 높임으로써 토마토 과실의 품질에 효과가 있으나 생체중의 감소로 인한 생산량 감소가 생긴다. 이에 적정처리 농도인 20mM로 처리하였을 때 고품질의 과실 생산이 가능함과 동시에 생산량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체 ginsenosides 중 Re의 농도가 전 처리구에서 모두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으며, ginsenosides의 총함량은 EC 8 처리구를 제외한 전 처리구에서 대조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PT/PD의 값은 EC 8 처리구가 1.31로 가장 낮았고, EC 6 처리구가 2.52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처리구는 큰 차이가 없었다.
        69.
        200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식 제조공정 중 주요공정인 건조방법에서 효율적인 방법을 찾기 위하여 건조방법에 따른 생식 원료 곡류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쌀, 현미, 찹쌀, 보리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식이섬유 등 성분의 함량은 열풍건조(50, 55, 60)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서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중의 b값이 열풍건조를 실시한 시료가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료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niacin의 함량은 6
        71.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umber of natural products obtained from plants has now reached over 100,000 and new chemical compounds are being discovered ever year.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and their extracts have been used for centuries to relieve pain, aid healing, kill bacteria and insects are important as the antifungal and anti-herbivore agents with further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symbiotic associations. Although their functions in plants have not been fully established, it is Known that some substances have growth regulatory properties while others are involved in pollination and seed dispersal. The complex nature of these chemicals are usually produced in various types of secretory structures which is an important character of a plant family and also influenced and controlled by genetic and ecological factors. Detailed anatomical description of these structures ave relevant to the market value of the plants, the verification of authenticity of a given species and for the detection of substitution or adulteration. Volatile oils are used for their therapeutic action for flavoring of lemon, in perfumery of rose or as starting materials for the synthesis of other compounds of turpentine. For therapeutic purposes they are administered as inhalations of eucalyptus oil, peppermint oil, as gargles and mouthwashes of thymol and transdermally many essential oils including those of lavender, etc. With these current trend for using volatile components in essential oil will be increasing in the future in Korea and in the world as well.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