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1

        61.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자를 기반으로 하는 지구과학 용어의 이해정도를 살펴보고 활 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한자는 지구과학의 개념을 이해 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한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면 지구과학의 개념을 파악하는 데 오히려 장애가 된다.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과학교과서에 게재된 지구과학 관련 용어의 70%에서 80%는 한자에서 유래되었다. 9학년에서 한자기 반 지구과학 용어의 이해정도는 한글과 한자를 함께 제시할 때 보다 효과적이다. 10학년에서 한자기반 지구과학용어는 한자의 뜻과 음을 자세히 설명할 때 이해정 도가 향상되었다. 대학의 자연과학 전공 교육에서는 한자기반의 용어가 고등학교 에 비해 급격히 증가한다. 따라서 새로운 지구과학의 용어를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자에 대한 별도의 교육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한자는 대학교육에서 새로운 학술정보를 습득하는데 매우 유용하며, 외국어로 기술된 과학문서를 명확 히 번역하는데도 매우 효율적이다. 이 논문을 통해, 지구과학 용어를 효율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교과서 표기방법을 제안한다. 즉, 교과서에서 한자기반 용 어에 대해서는 한자를 병기하고, 한자의 의미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또한 교과서한쪽에 사전식 용어 풀이를 제공한다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6,100원
        62.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ed at analyzing of structural carpentry terminology for bracket structure in Yingzaofashi《營造法式》in the era of Song Dynasty and illuminating coin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Structural Carpentry Terminology for bracket Structure through graphonomy research and system and structure of these terms.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structural carpentry terminologies for structure were identified to be approximately 23 words, and terminology of bracket structure鋪作is largely categorized into 3 categories of Type鋪作次序, Structure, Place.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al carpentry terminologies for parts largely categorized into 2 categories of Bracket structure鋪作, Others. Bracket structure terminologies for parts were derived from the core of Dou枓, Gong栱, Ang昂, Fang方. The phenomena of derivation in structural carpentry terminology for bracket structure can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in the shape of subsidiary material and the location for usage of the subsidiary material and part of the subsidiary material and their functions.
        4,900원
        64.
        2011.0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on of understanding levels and utilities of the earth science educational term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Kim and Koh (2003)'s analysis of the earth science concerned vocabularies in science textbooks for 3rd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books, earth region vocabularies were derived from 70% to 80% words of Chinese, below 10% of pure Korean, and other languages. Jeong et al.(2007) analyzed 9th grade(middle school grade of the Korea)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earth science term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depending on their learning style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They selected the eight students, the students were judged middle level of science.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verbal-high attitude toward science, verbal-low attitude toward science, visual-high attitude toward science, and visual-low attitude toward science learners. Researchers had three types of questionnaires including Korean character type, picture type, and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type to how developing the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earth science term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s of data indicated that the 9th grades students' understand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different learning style, and yet demonstrated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type questionnaire rather than Korean characters type only or picture type.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students’ understanding both in Korean characters type and picture type was equal. In conclusion, it seems more effective learning earth science term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when they were provided with both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Jeong et al.(2007) analyzed 10th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level about earth science ter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ccording to learners’ characteristic. In older to investigate the responses followed their various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proper scientific terms were selected, and then corresponding questions about them were offered as subjects, which consisted of Korean characters type, picture type, and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type. During paper test and interview, the questions were given to fifteen students from general high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tudents in formal operation level and field independency answered very well and also the terms of Chinese characters type and picture type improved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memorization. Generally, Chinese characters have more positive influence on their learning than negative. Therefore, in general, it seems that more effective to explain the sound and meaning of terms in detail. In addition to give learners enough time to draw a picture about each terms by themselves when scientific terms are delivered to students in Chinese characters in class.Lee et al,(2002) investigated that whether 11th grades students with mor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 get higher academic adaptability in inquiry activities using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level of earth science terms than the students with less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 They analyze which relationship exist between two groups. The students with more Chinese Character knowledge show high understanding level and high corrected answer rate in inquiry questions. However, the students with little knowledge also high corrected answer rate in inquiry question, but there is only a little difference on the level of concept understanding for earth science education is linearly connected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In a prior study, researchers reported that Chinese Character learning will help understanding concept better but the lack of knowledge about Chinese Character will not be obstacle to understand the concepts in earth science, futhermore to do inquiry activities using the concept. Under the college education, however, science term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in science major tend to compare with the highschool abruptly. In order to get a complete concepts of new science terms, lear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is needed. In conclusion, Chinese Characters learning will help understand new knowledge in college education and is very efficient at translation of science literatures written by foreign language without confusion.
        6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구과학 불일치 용어를 조사하고 그 대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서 같은 의미를 지니면서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불일치 용어로 정의하였다. 불일치 용어를 참고문헌과 선행 연구의 용어와 비교한 후, 284명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불일치 용어는 고등학교 교과서는 물론 참고문헌에서도 다수 조사되었다. 선호도 조사 결과 의미가 쉽게 전달될 수 있는 용어, 이전에 학습한 용어, 외래어 표기법에 맞는 용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그리고 고유명의 표기가 다르거나 서로 다른 문헌과 배경 지식에 기반하고 있는 불일치 용어는 외래어 표기법과 학회 발간물에 근거하여 대안을 모색할 수 있다. 따라서 공인된 이론에 근거하고 의미 전달이 쉬운 지구과학 용어를 공유하여 사용함으로써 혼란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4,600원
        68.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scholarly terminology should have clear meanings as signs, Korean pagoda terminology has become jargon and is creating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meanings which are far from the originally intended meanings; this terminology is sometimes notated in dead language, meaning old Chinese characters, or Japanese styled Chinese characters. Nobody has asked questions on the terminology itself which has long been commonly used for a century, since the Japanese-ruling period.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is error is that the Indian Buddhist scriptures in Sanskrit has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with vague understanding of form and meaning of stupa since 3rd Century A.D. On the other hand, the English-language terminology, already built by Indology schola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consists of easier language and clearer meanings. This paper examines misunderstanding and mistranslation of the original Indian stupa terms and suggests new terminology in current, easier language.
        4,900원
        7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suggest a standardization of the logistics terminologies in Korean Standard to improve its consistency. To support this work, some principles for terminology selection and corrections are studied based on the guideline in international standard. The revised terminologies are summarized in Appendix for 20 logistics-related Korean Standards.
        4,800원
        71.
        200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73.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10학년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 용어들을 SWA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그 중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용어들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먼저 11종의 10학년 과학교과서에서 지구과학 용어들을 추출한 다음, 표준국어대사전을 기반으로 한 SWA 프로그램으로 과학 전문어와 비과학 전문어로 분류를 하였다. 분류된 과학전문어와 비과학 전문어에 대해 560명의 10학년 학생들에게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해 어휘의 수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등급 외의 과학 전문어 빈도가 모든 교과서에서 다른 등급에 비해 가장 높았다. 또한 학생들에게 설문한 결과, 어렵다고 하는 용어들의 대부분이 등급 외에 속해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학생들의 인지 수준을 고려해야 하며 어려운 용어는 과학적 의미의 변화가 없는 범위 내에서 쉬운 용어로 대체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4,000원
        74.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7차 고등학교 지구과학 II 교과서의 내용 중 화성암의 조직 개념에 대한 본문 진술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과학 교과서의 개념 진술이 정확하지 않아 학습자들에게 오개념을 유발하거나 재강화할 가능성이 있는 여러 진술문이 발견되었다. 화산암에 대하여 세립질, 유리질 또는 반상 조직을 기술하고 있으며, 심성암에 대하여 완정질, 입상, 조립질 및 등립질 조직 등 다양한 조직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은 화성암 조직 분류체계 기준의 혼란에 관련된 것들이었다. 화성암의 조직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전달하기 위한 화성암 분류 기준의 개선방안들을 제시하였다. 화성암을 구성광물의 입도, 상대적인 크기와 결정도에 따라 화산암에는 비현정질 또는 반상 조직을, 심성암에는 현정질 또는 완정질, 등립상 조직을 사용하여야 한다.
        4,000원
        75.
        200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76.
        200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77.
        200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78.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9학년 학생들의 학습 양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라 한자기반 지구과학용어에 대한 이해 수준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과학과 성취수준이 중간 순위 학생 8명을 선발하였으며, 이들을 시각적 학습자이자 과학에 대해 높은 태도를 가진 학생, 시각적 학습자이자 과학에 대하여 낮은 태도를 가진 학생, 언어적 학습자이자 과학에 대해 높은 태도를 가진 학생, 언어적 학습자이자 과학에 대해 낮은 태도를 가진 학생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들의 한자기반 과학용어에 대한 이해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한글 표기형, 그림 표현형, 한자 음 훈 병행 표기형의 형태로 세 가지 형태의 질문지가 개발되었다. 이 질문지들로 9학년 학생들의 응답 자료를 수집한 결과, 학습 양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한글 표기형이나 그림 표현형 보다는 한자 음 훈 병행 표기형에서 높은 이해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중학생들에게 한자기반 과학용어를 제시할 때 한자의 음과 훈을 동시에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과학용어 이해에 효과적일 것이다.
        4,200원
        79.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ushroom production reached to 1000 billion won in monetary value in Korea. We, however, do not have systematic terminology dictionary published yet. Recently new varieties of medicinal mushrooms in addition to culinary mushrooms are being introduced steadily through out the world. This makes the necessity of coordinated and consistent arrangement of terms involved in culture, cultivation and physiological aspects of mushrooms. Various components in relation to the medicinal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also poses ambiguity in terminology along with the terms used in breeding and genetic researches. Moreover, some of the scientific terms are being used erroneously. In order to help mushroom cultivators, students, and mushroom business personnel in understanding the terms on mushroom science and technology we intended to collect and organize all the terms related to mushroom morphology and cultivation, poison and medicinal functionality, processing and utilization, and so on. Thirteen professionals from each field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The fields included here are : 1) Genetics and breeding of mushrooms, 2) Cultivation and physiology of mushrooms, 3) Taxonomy and ecology of mushrooms, 4) Processing and functional components, 5) Blight and insects of mushrooms
        13,500원
        80.
        200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