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8

        64.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과 국내 육성 품종인 ‘홍로’의 형질전환 체계를 확립하고 칼슘이 강화된 ‘홍로’ 형질전환체를 육성하기 위하여 CAX1 유전자 전환을 실시하였다. 접종에 사용되는 절편체는 기내에서 증식 배양 중인 신초의 유엽을 사용하는 경우가 생육기 수체의 유엽을 사용하는 것보다 높은 재분화율을 보여 효과적이었다. 항생제가 첨가된 재분화 선발 배지에서 재분화된 신초들을 대상으로 PCR을 실시한 결과 5개체에서 유전자 도입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들을 Southern b
        6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ntil now many strategies have been used to produce marker-free transgenic plants such as co-transformation with negative selectable markers, site-specific recombination system, transposable elements mediated transformation, and etc. In this research, embryogenic calli induced from japonica rices, Ilmibyeo and Dongjinbyeo, were tranformed with the vector which simultaneously constructed with cre/loxP and argE genes in T-DNA. Transformation efficiencies were comparably lower than those of our previous studies, since the constructed genome size was relatively big (>10Kb). For eliminate the transformed tissues which contained positive selectable marker gene, tunicamycin was treated at regeneration and selection stages, since cre recombinase gene is expressed under the presence of this antibiotics. The plants were selected first under 50 mg․L-1 hygromycin at 28℃ for 2 weeks after the Agrobacterium-infection at 25℃ for 7 days. And then, the regeneration plants were successfully obtained on MS basal regeneration medium containing 0.1 mg․L-1 tunicamycin. The regenerated plants are now acclimatizing in greenhouse and molecular analysis are currently accomplished with these plants.
        7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s one of important forage crop grass widely cultivated in Korea. The genetic manipulation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necessitates a reliable and efficient, genotype-independent method of transformation. We are interested in developing molecular breeding methods to improve its nutritional quality and abiotic stress resistance. Development of a rapid and efficient transformation system is the basis for genetic manipulation of Italian ryegrass. In order to establish an efficient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system was applied to transfer genes into seven genotypes of Italian ryegress, namely cv. 'Kogreen', 'Kopeed', 'Kowinearly', 'Kowinmaster', 'Hwasan 101', 'Hwasan104' and 'Kowinner.' The transform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Agrobacterium-mediated genetic transformation of Italian ryegrass plants with genes of agronomic importance.
        7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developed an efficient protocol for transformation of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cultures by using cotyledon leaf explants that were infected by Agrobacterium rhizogenes. We found that four different strains of A. rhizogenes differed in their ability to transform P. grandiflorum hairy root cultures. We also found correct antibiotics concentration for selection after transformation by Agrobacterium.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use of suitable strain of A. rhizogenes and correct level of antibiotics for the hairy root culture, and may allow to study and apply of valuable metabolites like phenolic compounds from P. grandiflorum hairy root culture.
        72.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osmarinic acid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5계통의 strain (13333, 15834, R1000, R1200, R1601)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A. rhizogenes R1601이 가장 높은 72.9%의 모상근 유도율을 보였다. 모상근 유도시 모상근 발생 수와 길이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도 A. rhizogenes R1601으로 감염시킨 잎 조직에서 평균 5.4개의 모상근이 발생하였으며, 평균 2.0 cm의 길이 신장으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다섯 계통의 A. rhizogenes감염으로부터 유도된 각각의 모상근의 생육은 서러 다른 양상을 보였으나 경향은 모상근유도 결과와 유사하였다. A. rhizogenes R1601 감염으로 유도된 모상근의 생육은 배양 2주후 건물중을 조사한 결과 13.5 g/l로 다른 계통에서 유도된 모상근 보다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Rosmarinic acid 생산량도 22.6 mg/g D.W.로 다른 계통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A. rhizogenes R1601이 배초향 모상근 유도, 생육과 rosmarinic acid 생산에 가장 좋은 적합한 계통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73.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과식물의 뿌리혹 형성을 조절하는 신호물질의 확인을 위해 신팔달콩2호의 줄기 수액 단백질 중에서 B. japonicum USDA110의 접종 후 2.5일(DAI)에 20 kDa의 SKTI 단백질이 증가하였다가 7 DAI에는 감소되면서 6 kDa의 작은 크기의 단백질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단백질의 차등발현은 조사한 3종의 콩에서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대원콩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Western 분석으로 7 DAI에서 증가하는 6 kDa 단백질이 SKTI 항체와 특이적 반응을 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SKTI가 절단되어 생긴 펩타이드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20 KDa의 SKTI단백질이 콩의 뿌리혹 착생 초기단계인 2.5 DAI에 영향을 주고, 7 DAI로 진행되면서 6 kDa의 작은 크기의 단백질로 분해되어 그 양이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RNAi를 이용하여 유전자 기능이 억제된 형질전환된 모상근의 뿌리혹을 실제 형질전환이 확인된 모상근에 착생된 뿌리혹의 수를 비교한 결과 비재조합 A. rhizogenes을 접종시킨 대조구에 비해 SKTI RNAi 유전자를 형질전환한 모상근에서 모상근 당 착생된 뿌리혹 수가 감소되었다. 실시간 PCR 방법으로 형질전환된 모상근의 SKTI 전사체 수준에서도 상응하는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에 정확한 기작을 알 수 없지만 SKTI유전자가 뿌리혹 형성 초기에 뿌리혹 형성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관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Sesbania rostrata의 뿌리혹 발생과정의 Protease 저해제와 같이 뿌리 혹 내의 감염세포 대 비감염세포의 비율을 조절하는 SKTI 발현 억제는 이러한 균형을 교란하여 뿌리혹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77.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rbicide resistance is the most common trait being tested and thus herbicide‐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plants are now the most widely cultivated worldwide. Here we developed herbicide‐resistant transgenic Agrostis mongolica Roshev. by employing an efficient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procedure with 25.2% of transformation efficiency. The identification and employment of regenerable and reproducible type of callus wa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to ensure success in this study. PC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bar transgene was integrated into the genome of transgenic plants. The expression of 35S‐bar gene was confirmed by Northern blot analysis. The transgenic plants showed complete resistance to herbicide, indicating that the bar gene is functional in transgenic plant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