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5

        6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8년 여름의 폭염은 기상관측을 시작(1907년 10월 1일)한 이래 111년 만에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하였는데, 서울은 39.6℃를 기록(2018년 8월 1일)하여 종전의 기록인 38.4℃(1994년 7월 24일)를 뛰어넘었다. 열섬현상으로 인해 도시의 온도가 상승하고 하절기 열쾌적성이 저하됨에 따라 하절기 열환경 개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경공 사 전·후의 온도저감 및 외부공간 이용자가 느끼는 열환경 개선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검증하여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미기후 실측에 의한 측점별 조경공사 전·후의 온도저감을 비교 분석한 결과, 오전 10 시 조경공사 전 평균온도는 34.5℃이며, 조경공사 후 평균온도는 32.5℃로 2.0℃온도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오후 2시 조경공사 전 평균온도는 37.5℃이며, 조경공사 후 평균 온도는 35.9℃로 1.6℃ 온도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후 5시 조경공사 전 평균온 도는 33.8℃이며, 조경공사 후 평균온도는 31.2℃로 2.6℃ 온도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으로 정량적인 연구방법과 결과는 디자이너의 직관적인 조경설계에 객관성을 부여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4,000원
        6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future-oriented high-rise buildings where the vehicle is parked at the top of the building. At the same time, the vehicle is used as a part of the building along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The suspended structure is proposed as a suitable structural system for architectural planning. This system is free to design because there are no limitations on column planning compared to conventional designs. In particular, the low-floor plan can be used as an open space because colums are not arranged in the lower-floors. Thereby opened low-floor plan has advantages that visual perception of the space is improved, noise problems along the side of the street is solved and planning underground parking spaces are easier. These advantages can solve the problem of overlapping columns with vehicle traffic in the building.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that the suspension structure is mainly a formal form and the usable area is small compared to the core area because it is a core-oriented structural system. In this regard, a new structural system was proposed by combining the concept of suspended structure and cable stayed column.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existing style of high-rise housing suspended Structure and proposes a new structural system and the concept of design for autonomous vehicles.
        4,000원
        64.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양전통의 오방색을 실내 건축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가족 구성원별 특징에 따라 바람직한 색채 구성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동양의 전통 술수학인 사주와 풍수의 오방색의 개념과 본질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실제 사례를 통해 실내 색채 디자인을 구성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전통적인 오방색 및 오정색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나아가 상생 오간색 및 상극 오간색으로 색채를 구체화하여 현대적 적용방안까지 고려하였다. 현대적 적용 방법으로 첫째, 24방위도를 24색상환으로 만들어 색상과 방위를 동시에 판단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24방위 색상환을 평면도에 접목하여 비보색상을 적용할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였다. 셋째, 판단한 위치와 색상을 실내재료 마감재 선택 및 소품 적용시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연구결과 향후 실내 색채구성에 있어 동양의 전통색의 적용이 가능하였고, 이를 응용한 현대적 색채 구성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9,900원
        7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Durand's architectural theory which provided reasonable architectural logic in the early 19th century, and architectural logic of the Modern Movement of Architecture led by avant-garde architects in the 1920’s. The system of thought in architecture proposed by Durand which clarified a architectural design method(composition) is very similar to the one of the International Style(Book), which summarizes commonalities in the flow of modern architecture. This approach has something in comm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ystems of thought, despite differences in external forms and time gap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systems of thought in three ways. It is to examine how the two systems of thought define architecture, what is the logic of building production, and finally the value of architecture (including aesthetic values) while eliminating classical aesthetics.
        4,300원
        73.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vered the features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which emerged in Silla around the late 7th century. In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Sumijwa was used as the seat of the Buddha. It was used as a stylobate of tower in the Sui Dynasty and as a stylobate of central buildings in the Tang Dynasty, raising the status of buildings. In the late 7th century, Silla faithfully embodied Buddhist view of the world under its architecture by accepting the latest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The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is believed to be the beginning of the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in Silla. Gradually, in the central buildings within the capital, the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became common. Starting with Bulguksa Temple's Daeungjeon Hall, the materials of stylobate and staircaes will be integrated from the late 8th century. Silla's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can be evaluated as a step-by-step leap in religious, political, technical and aesthetic's terms.
        4,800원
        74.
        201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gard to upgrading the teaching sylabus on Advance Training Program of Architecture courses, we would like think about what some of the main drivers of the effort were here: 1) to promote more research in the design studios (which also meant making them longer in duration, to accommodate the research phase); 2) integrate related analyses and syntheses by using diagrams and diagram models for analysis of precedents and synthesis of new work; 3) setting up concurrent related coursework, especially related to green design, but also across the curriculum, at every opportunity, so that lectures and studios can support each other more and 4) creating a portfolio review framework to identify and address problems individual students are having at the end of the 2nd year and the end of 4th year. If these ideas are applied to publish a new training program of architecture, they will bring out many advantages to both the university and the student. Furthermore, new university campuses in Vietnam will find suitable for applying to the new course.
        4,000원
        7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ajor performance stage carpenter, Jang Insang led performance stages from the 1719 Sukjong Royal Banquet and was confirmed by historical records to be the first craftsman. Lee Wandeuk led the Hwaseong Fortress performance stages of the Jeongjo period and Gichuk Jinchan performance stages of the Sunjo period. The carpenter techniques he used during the Jeongjo period were succeeded to the Sunjo period. Ahn Sungil was the head craftsman who led the performance stages of Jagyeongjeon Jinjak, Muja Jinjak, and Gichuk Jinchan of the Sujo period, under which the foundation for court palace performances was laid. The progression of major carpenters includes Jang Insang of the Sukjong period, Jeon Yoochu of the Yeongjo period, Ahn Sugil of the Sunjo period, Yoon Seoksin of the Heonjong period, Kim Yoonsik of the Gojong period, Lee Jongyoon, Kim Soongil, Seo Sangmook, and Han Sujoon. In addition, the Major Repair of Injeongjeon Hall (1857) of the Cheoljong period was the most important palace construction project for transferring the carpenters’skills. Through this project, Ahn Sungil of the Sunjo period, Kim Myeonggap, Yoon Seoksin of the Heonjong period, Kwon Deuknyang, and Kim Sungil of the Gojong period were abl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is major repair project of Injeongjeon Hall reflected the major carpenters’best techniques through performance stage construction, showing the progression of Ahn Sungil, Yoon Seokshin, and Kim Sungil, who led the constructions of Gichuk Jinchan of the Sunjo period (1829), Mushin Jinchan of the Heonjong period (1848), and Jeonghae Jinchan of the Gojong period (1887), the most impressive performance stages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carpenters of the court performance stages participated in important construction projects of the royal palace, reflecting the superior technical skills of the carpenters in the construction of court palace performance stages. The carpenters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onstruction of performance stages were able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transfer their excellent technical skills, providing the driving force that allowed court performance stages to blossom into splendid and high-quality court sta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4,900원
        7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목이나 건축공사와는 달리 조경분야의 프로젝트는 공정상의 특수성으로 인해 BIM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접 분야인 건축, 토목 공사에서 BIM은 보편화 되고 있으며, 이를 고려할 때 향후 조경분야에서도 BIM 환경구축 및 도입은 필수적일 것이다. 특히 조경 BIM의 공종 도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향후 조경분야 BIM 도입을 위해서는 조경 BIM 세부 공종 도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조경 BIM 도입 가능성의 검토와 세부 공종 도출을 통해 조경 BIM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경분야의 BIM 활용 방안 및 향후 발전 방향에 관한 내용이 도출되었다. 또한 대지분석 BIM, 공간계획 BIM, 조경요소계획 BIM의 3개 분야로 나뉜 조경 BIM 공종을 도출하였으며, 각 공종 분야는 다시 총 7개 부분의 31개 요소로 세분화되어 조경 BIM 세부 공종 내용이 도출되었다. 향후 본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조경 프로젝트에 BIM을 도입하여 효율적인 조경 프로젝트 수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77.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승용차의 아키텍처는 어떻게 진화해왔는가? 그간 승용차 아키텍처에 대한 논의는 통합형, 모듈형, 그리고 두 유형의 공존 등이 혼재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무역 자료를 활용하여 제품의 중층 구조를 반영한 모듈화의 진전 측정 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아키텍처 유형 프레임워크에 적용하여 승용차 아키텍처의 모듈화 진행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승용차 아키텍처는 지난 2000년 이후 모듈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 음을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모듈화 진행은 구성 모듈 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듈 중에는 프론트-엔드, 운전석 및 시트 모듈의 모듈화 진행이 뚜렷함을 확인된 반면, 차체‧도어‧ 천장 모듈은 소비자 니즈 충족을 위한 외부 디자인 차별화 및 완성차와 모듈업체 간 상호 조율 강화로 인해 모듈화가 더디게 진행됨을 관찰하였다. 또한 샤시, 엔진, 그리고 트랜스미션 모듈로 구성된 플랫폼은 모델 다양화, 생산 원가 절감, 신제품 개발 기간 단축을 위한 완성차 업계의 지속적인 노력에 따라 모듈화가 지속 진전됨을 확인하였다. 플랫폼 구성 모듈 중에서는 트랜스미션의 모듈화 진전이 가장 두드러진 반면 샤시와 엔진 모듈은 완성차 업체의 자체 혁신 노력으로 인해 비교적 통합형 아키텍처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품 아키텍처의 모듈화를 계량적으로 측정, 그 진행을 종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시 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모듈 별 상이한 모듈화 진전에 대한 고찰을 통해 관련 연구의 분석 수준의 세분화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승용차 산업 전반에서 일어나고 있는 아키텍처 모듈화 진전 현상을 규명함으로써 완성차 업체 뿐 아니라 모듈 업체의 아키텍처 선택과 그에 따른 전략 수립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다양한 제조업과 그 제품의 모듈화 진전을 규명하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8,300원
        78.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dern Joseon Architecture is North Korea's unique building style that interprets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a modern way, and its most distinctive design feature is the Paljak roof that decorates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s. This paper argues that continuous attempts at characterizing the nature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i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developed the theoretical rationale for the exclusive use of the Paljak roof in Modern Joseon Architecture. It also argues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Pyongyang Grand Theater and the Okryu Restaurant during this period became a decisive moment for the formalization of the Paljak roof. The double roof rafters and gables and the "cheerful yet solemn" roofline were considered as main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Korean roof and the Paljak roof perfectly fits this description. Particularly, in North Korean society where Kim Il Sung became idolized as an impersonalized deity, an anecdote in which Kim Il Sung fixed a prominent gabled roof in the Pyongyang Grand Theater into a Paljak roof has allowed for the roof to gain an exclusive status. Hence, almost all Modern Joseon Architecture since the 1960s accepted the Paljak roof’s monopoly position, rather than experimenting with other traditional roof types.
        4,300원
        80.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proper preservation and utilisation of Regional Modern Heritage Building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history of local modern architecture based on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region and also to architectural history. The aim of this study is expand the awareness and multi-faceted interpretation of modern architecture in Kwangju in the 1940’s to 1950’s, by exploring the origin of regional modern architecture from new perspectives. As a part of the discussions of the perspectives, this study will be therefore explained with the regional correlations between the architect Kim Han-seop’s works and activity, influential politicians, strong enthusiasm of educati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ain building of Chosun University, architecture schools and association in Kwangju. Then, it will be finalised that Kim Han-seop and the main building of Chosun University are directly and indirectly correlated and affected each other strongl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