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7

        6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선량 γ선 조사가 기내 유기한 대지와 수미 감자 소괴경의 맹아율과 식물체 생장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효과 등을 알아보고자 감자 소괴경의 저장기간별로 γ선을 0.5~30Gy 까지 조사하여 pot실험을 수행하였다. 감자 소괴경의 휴면과 생육에 대한 저선량 γ선 효과는 품종과 저장기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대지 품종의 경우 대체로 2,4,8Gy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맹아 출현율을 보였고,
        4,000원
        64.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식물조직배양 기법을 통하여 한란과 심비디움의 효율적인 증식을 위한 식물 생장조절물질의 적정 처리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한란의 rhizome 형성은 무처리 및 10 ppm kinetin + 2 ppm NAA, 심비디움의 protocorm 형성은 무처리 및 10 ppm kinetin + 0.05 ppm NAA에서 아주 양호하였다. Callus 유도의 적정 식물 생장조절물질의 농도는 구명하지 못했다. 한란 rhizome으로부터의 shoot 분화에는 10 ppm BA + 2 ppm NAA, 5 ppm BA + 2ppm NAA, 심비디움 protocorm으로부터의 shoot 분화는 10 ppm Kinetin + 0.05 ppm NAA, 1 ppm Kinetin + 2 ppm NAA에서 비교적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67.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양기의 환기횟수(0.1 h-1 또는 2.8 h-1), 광도(70, 150 또는 220μmol. m-2 . s-1), C O2 농도(400-500, 1000 또는 2000μmol.mo l-1)가 국화 소식물체의 기내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MS 배지에서 혼합영양배양 상태 하에서 번식시킨 줄기 마디 절편체를 채취하여 1.25meq. L-1의 H2S O4-가 추가로 첨가된 MS 기본배지가 담긴 3.7×10-4 m3의 배양기에 용기당 4개씩 치상하였다. 환기횟수(NAEH)를 0.1 h-1에서 2.8 h-1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양용기의 뚜껑에 직경 10mm의 구멍을 뚫어 통기성의 필터를 부착하였으며, 당과 생장조절제는 첨가하지 않았다. 배양실에 C O2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 순환통로에 C O2 가스 공급구를 설치하여 액화 C O2 가스를 명기 동안에만 공급해 주었다. 생체중과 건물중, 초장, 최대근장, 엽수, 엽면적은 광도(PPF)가 높은 처리구에서, 특히 C O2 농도가 높을 때 증가되었다. 그리고 환기횟수가 낮은 처리구에서보다 높은 처리구에서 더 컸으며, 처리효과는 배양후기로 갈수록 뚜렷이 증가되었다. 국화 소식물체의 기내생육은 환기횟수가 2.8 h-1, PPF가 220μmol. m-2 . s-1, 그리고 C O2 농도가 2000μmol.mo l-1일때 가장 빨랐다.
        4,200원
        68.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성장인자 EGF, IGF-1, EGF+IGF-1 이 소 난포란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소 난포란의 체외성숙 시 EGF를 농도별 (10, 50 및 100ng/m1)로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통계학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24시간 배양 후 성숙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소난포란의 체외성숙 시 EGF와 IGF-1을 병용 처리하여 실험한 결과, EGF 또는 IGF-1 단독처리 군에 비하여 병용처
        4,000원
        74.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vitro development of bovine embryos is affected by many factors such as energy substrates, amino acids, and some growth factors. It has been reported that mRNA of insulin, PDGF and their receptors are detected in cow embryos, and that some chelating agents such as EDTA and transferrin have beneficial role on mouse and bovine embryos. The author hypothesized that insulin, transferrin arid PDGF added to a culture medium increase in vitro development of bovine embryos by chelating toxic substance(s) or increasing cell growth and metabolism. Immature oocytes from slaughtered ovaries of Holstein cows and heifers were matured for 24 hours in a TCM199 containing 10% fetal calf serum, FSH, LH and estradiol with granulosa cells in vitro. Matured oocytes were coincubated with sperm for 30 hours in a modified Tyrode's medium (IVF). Embryos cleaved to 2- to 4-cell at 30 hours after IVF were selected and cultured in a 30-l drop of a synthetic oviduct fluid medium (SOFM) containing 0.8% BSA, Minimum Essential Medium essential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and insulin, transferrin or PDGF for 9 days. Supplementation of a SOFM with insulin, and /or transferrin did not increase develop-mental rate to expanding and hatching blastocyst of 2- to 4-cell bovine embryos compared with control. The highest developmental rate to hatching blastocyst was shown when PDGF was added at the concentration of 10 ng /ml among the supplementing doses tested in the present study (p<0.05). Addition of PDGF without insulin to a SOFM could not increase embrye development, but combined addition of PDGF with insulin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embryo development to hatching blastocyst (50%) compared with control (38%). In conclusion, insulin and PDGF supplemented to a SOFM may act synergistically and have beneficial effect on in vitro development of 2- to 4-cell bovine embryos matured and fertilized in vitro.
        4,000원
        75.
        199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요 약용작물중(藥用作物中)의 하나로 울릉도와 영양 등 경북 북부지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일천궁의 종근생산(種根生産)을 목적으로 경정배양(莖頂培養) 유묘(幼苗)에 있어서 단기간내의 기내발근(器內發根) 배지구명과 포장정식 시기에 따른 지상부 및 근경생육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정배양(莖頂培養)을 통해 생산된 유묘의 효과적인 발근배지(發根培地)는 IBA 1.0 mg/L와 BA 0.05 mg/L를 혼용처리한 것이 배양 30일 후 81%가 발근하여 가장 좋았으며 근수(根數)가 9개 이상인 배양묘를 기외이식하고 75% 차광하에 두었을때 생존율이 67%로 높았다. 포장 정식시기를 4월(月) 20일(日), 5월(月) 5일(日), 6월(月) 10일(日), 7월(月) 5일(日)로 하여 정식하였을 때 5월(月) 5일(日) 정식한 유묘(幼苗)가 생존율(生存率) 72%, 초장 33cm, 줄기수 47개로 지상부 생육이 가장 좋았고, 지하부의 근경생육은 5윌 5일 정수록 근경형성율(根莖形成率)은 높은 편이었으나 근경수(根莖數)와 무게는 다소 적었다.
        4,000원
        79.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culture cells and growth factors on in vitro culture of Korean native cattle(KNC) embryos fertilized in vitro. Two-eight cell embryos were cultured in vitro using 4 types of co-culture cells and 3 growth factors singly or in comb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co-culture of 2~8 cell embryos with bovine oviductal epithelial cell(BOEC), granulosa cell(BGC), uterine epithelial cell(BUEC) and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 monolayers,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with BUEC(32.1%) than with MEF(15.3%), BGC(13.2%) and non co-culture control(11.6%). When the morula co-cultured with BOEC for 5 days following in vitro fertilization were co-cultured with BOEC continuously or with BUEC, respectively,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higher with BUEC(73.9%) than with BOEC(56.0%).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wth factors on in vitro development of 2~8 cell embryos, epidermal growth factor(EGF), transforming growth factor-l(TGF-l)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IGF-1) were added singly or in combination to TCM 199 maturation medium with respective concentration. In a addition of each 10, 30 and SOng /rnl EGF,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the highest in lOng /ml EGF(25.3%). In addition of each 1, 2 and Sng /mi TGF-1,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the highest in lng /ml TGF-1(28.8%). In addition of each 50, 100ng/ml JGF-l,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higher in 100ng/ml IGF-l(16.5%) than in SOng/mi IGF-1(12.9%). When lOng /ml EGF and lng /ml TGF-l was added singly or in combination,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similar in groups added singly or in combination with EGF and TGF-l (23.l~24.6%), although higher than in control(16.7%). In the co-culture of 2~8 cell embryos Wth BOEC + each 10, 30 and 5Ong /rnl EGF,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BOEC + long /ml EGF(32.3%) than in BOEC + 3Ong /ml EGF(18.9%) and BOEC + song /ml EGF(9.7%). In the co-culture of 2~8 cell embryos with BOEC + each 1, 2, Sng /ml TGF-l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higher in BOEC + Sng/rnl TGF-l(28.2%) than in BOEC + lng /ml TGF-l(21.7%) and BOEC + 2ng/ml TGF-l(21.4%). In summary, higher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ere obtained with co-culture of BUEC for co-culture system, with addition of lOng /ml EGF or lng /ml TGF-l for growth factor culture system, and with co-culture of BOEC + lOng /ml EGF or BOEC + Sng /ml TGF-l for co-culture + growth factor culture system.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