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

        61.
        200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urbulence is a crucial component of dynamics of astrophysical fluids dynamics, including those of ISM, clusters of galaxies and circumstellar regions. Doppler shifted spectral lines provide a unique source of information on turbulent velocities. We discuss Velocity-Channel Analysis (VCA) and its offspring Velocity Coordinate Spectrum (VCS) that are based on the analytical description of the spectral line statistics. Those techniques are well suited for studies of supersonic turbulence. We stress that a great advantage of VCS is that it does not necessary require good spatial resolution. Addressing the studies of mildly supersonic and subsonic turbulence we discuss the criterion that allows to determine whether Velocity Centroids are dominated by density or velocity. We briefly discuss ways of going beyond power spectra by using of higher order correlations as well as genus analysis. We outline the relation between Spectral Correlation Functions and the statistics available through VCA and VCS.
        4,000원
        6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restaurant industry during 1979~2001, and to review Korean restaurant industry related by statistics. Finally, to predict the Korean restaurant industry, major restaurant industry was categorized into fast food restaurants, family restaurants, pizza restaurants and ice cream restaurants. A contents analysis used to review Korea food industry yearly statistics and monthly magazine 'restaurant'.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yearly statistics have been published since 1980, the magazine 'Restaurant' has been published since 1985, but the statistics was recorded from 1995.
        4,500원
        64.
        200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mmittee has, for the 9th consecutive year, compiled statistics of embryos collected and transferred worldwide. Geographically, all regions have participated in the survey;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places where it has been impossible to retrieve such data (particularly in Asia). The statistics, therefore, are partially underestimated. By contrast, in other areas, the system has proven to be more efficient than before, particularly in North and South America. This has resulted in the present report, which gives a somewhat more satisfactory picture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T industry. For the second year, it has also been possible to collect data for several species other than cattle. In cattle, the number of in vivo-derived embryos collected and transferred has once again increased with more than half a million embryos trans-ferred in 1999(520,712), a new record. The number of bovine in vitro-produced embryos has remained stable this year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approximately 30,000 embryos transferred). However, there are still teams that have not Yet reported their data. More than 10,000 embryos in each of the ovine and caprine species and close to 2,000 cervid embryos were reported transferred in 1999. Some 500 embryos of the equine species and a few thousand in the porcine and rabbit species have also been transferred in 1999. It is concluded that the ET industry continues to be very active, and, in many species, it encompasses a larger segment of the livestock population overall, which is to the farmer s benefit.
        4,000원
        67.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ared to last decade, body size of children has been changed because of many factors such as caloric intake, hereditary evolution, individual exercise, and so on. Naturally, children will grow up and they will become teenagers, college students as time goes by. Also, all children will enter into appropriate educational institutes according to 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ata of body size of children for saf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data are measured by some parts on body such as stature, height, weight, circumferences, length, width, and depth. The samples for this study are randomly chosen from kindergartens in. Seoul and Kangnung during three months (2000. 3 ∼ 2000. 5).
        4,000원
        68.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보 검색 분야의 문서 분류에 기계 학습 기법을 적용할 때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는 문서를 패턴으로 표현할 때, 하나의 패턴이 가지는 특징의 수가 기계 학습 기법에서 처리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징 선택 기법은 패턴을 구성하고 있는 특징 중에서 실제 문서 분류에 많은 영향을 주는 특징만을 선택하여, 기계 학습 기법에서 쉽게 처리할 수 있을 정도의 패턴을 구성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징 선택 기법 중에서 IG(Information Gain), Gini index, Relief-F, DF(Document Frequency)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문서들에 포함된 모든 고유 단어를 특징의 길이로 하여 패턴을 구성했을 때보다 특징 선택 기법을 적용하여 고유 단어 중 일부를 특징으로 패턴을 구성할 때 기계학습에서 더 향상된 분류 성능을 보였다
        4,000원
        70.
        1996.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xamine the effect of neighboring galaxies on the gravitational lensing statistics, we performed numerical simulations of lensing by many galaxies. The models consist of a galaxy in the rich cluster like Coma, or a galaxy surrounded by field galaxies in Ω0 = 1 universe with Ωgal = 0.1, Ωgal = 0.3 or Ωgal=1.0, Ωgal is the total mass in galaxies. Field galaxies either have the same mass or follow Schechter luminosity function and luminosity-velocity relation. Each lensing galaxy is assumed to be singular isothermal sphere (SIS) with finite cutoff radius. In most simulations, the lensing is mainly due to the single galaxy. But in Ωgal = 0.3 universe, one out of five simulations have 'collective lensing' event in which more than two galaxies collectively produce multiple images. These cases cannot be incorporated into the simple 'standard' lensing statistics calculations. In cases where 'collective lensing' does not occur, distribution of image separation changes from delta function to bimodal distribution due to shear induced by the surrounding galaxies. The amount of spread in the distribution is from a few % up to ~50% of the mean image separation in case when the galaxy is in the Coma-like cluster or when the galaxy is in the field with Ωgal = 0.1 or Ωgal=0.3. The mean of the image separation changes less than 5% compared with a single lens case. Cross section for multiple image lensing turns out to be relatively insensitive to the presence of the neighboring galaxies, changing less than 5% for Coma-like cluster and Ωgal=0.1, 0.3 universe cases. So we conclude that Coma-like cluster or field galaxies whose total mass density Ωgal < 0.3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robability of multiple image lensing if we exclude the 'collective lensing' cases. However, the distribution of the image separations can be significantly affected especially if the 'collective lensing' cases are included. Therefore, the effects of surrounding galaxies may not be negligible when statistics of lensing is used to deduce the cosmological informations.
        5,200원
        73.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onlinear stochastic behavior of chaotic infl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scaling' effect. Using a simple criterion for the appearance of scaling behavior in the λϕ4 λϕ4 inflation model, we show explicitly that in this limit the onset of the scaling regime does not require any special initial conditions and that it is independent of the self-coupling constant λ λ . Non-Gaussian statistics in adiabatic fluctuations are important only for super-horizon scales and the scaling regime does not lead to any significant statistical properties on currently observable scales. However, the scaling effect gives some cosmological consequences very different from what we expect in the naive diffusion approximation for quantum fluctuations. The classical (deterministic) treatment of the inflation field (essentially a quantum mechanical object.) becomes valid towards the end of inflation.
        4,200원
        74.
        198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바구미 생명표 통계량을 정온 조건과 실온 조건에서 산출하였다. 온일도를 단위로 하였을 때 ~ 범위내 정온 조건에서의 통계량은 실온 조건에서의 통계량과 유사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온도간의 변이는 실온에서의 간 변이와 유사하였다. 이 결과는 온일도를 시간단위로 할 때 쌀바구미의 생화사가 표준화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쌀바구미는 41.2DD에서 산란을 시작하여 38.7DD에서 멈추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외적 자연회가졸 밀도 음가 기간과 평균세대 기간은 각각0.0006/DD, 15.0 DD 그리고 53.6 DD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4,000원
        75.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특수교육 관련 지표를 선정하고, 국내외 특수교육 관련 통계자료를 수집 및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가별 특수교육 현황과 한국 특수교육이 나아가야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 미국, 일본, 독일, 호주 총 5개국에 대한 특수교육 통계 자료를 각 국가별 교육부 또는 특수교육 관련 기관에서 보고한 통계자료를 수집하였고, 분석 지표를 기준으로 국가별 통계 자료 제시 및 통계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별로 특수교육대상자 배치 및 통합교육에 대한 통계 결과를 제시하였다. 둘째, 특수교육대 상자 현황, 특수학교 현황, 통합교육 현황, 특수교육교원 현황에 대해 한국, 미국, 일본, 독일, 호주 의 통계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특수교육 정책 및 통계조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76.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술 및 산업의 발달로 매년 많은 양의 전기, 전자제품이 생산 및 소비, 폐기되고 있다. UNU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세계 전기, 전자 폐기물의 발생량은 44,700,000톤이며, 연간 발생 원단위는 6.1kg/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44.7 백만톤의 전체 전기, 전자 폐기물 중 약 20% 수준인 8.9 백만톤의 전기, 전자 폐기물만이 적정한 방법을 통하여 재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폐 전기, 전자제품에 대한 규제를 적용받고 있는 인구의 수는 66% 수준이며, 폐 전기, 전자제품 관련 통계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는 41개국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폐 전기, 전자제품에 대한 명확한 통계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발생 현황 등을 파악하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 폐 전기, 전자제품 관리제도 및 통계 사례를 분석하고 국내 통계 작성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사된 전 세계 지역별 전기, 전자 폐기물 규제 현황은 다음과 같다. 오세아니아 지역의 전기, 전자 폐기물 관련 법률은 호주에서 시행하고 있는 ‘전국 텔레비전 및 컴퓨터 재활용 계획’ 하나이며,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미국에서만 주별로 상이한 전기, 전자 폐기물 관련 정책을 시행중에 있다. 아시아 지역의 경우 일본, 중국, 인도, 한국 정도만이 전기, 전자 폐기물 관련 정책을 시행중에 있으며, 아프리카의 경우 관리 제도가 시행되고 있는 나라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계적으로 가장 전기, 전자 폐기물 관련 규제가 강력하게 시행되고 있는 지역은 유럽 지역이며 WEEE, RoHS 등을 비롯한 제도들이 시행중에 있다. 또한 유럽지역은 유일하게 국제 규격의 전기, 전자제품 관련 통계를 작성, 보유하고 있는 지역이다. 국제 통계 자료 및 전기, 전자 폐기물 관련 제도 현황 분석 결과 현재 가장 관련 제도 및 통계 작성이 국제 기준에 적합하고, 우수한 지역은 유럽 지역이며, 이에 따라 국내 전기, 전자 폐기물 관련 통계 또한 EU의 제도 및 통계 작성 방법을 벤치마킹 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시행중인 환경성 보장제의 제품 구분은 그대로 유지하되, 품목별 통계 데이터 작성 및 자료 공표 시에는 EU의 WEEE 품목 구분에 맞추어 제공함으로써 국제 통계 자료와의 일치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EU 및 UN의 국제 통계 작성 시 사용되는 추정방법으로써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방법인 수명 분포 함수를 이용한 발생량 추정을 적용하기 위하여 출고량 및 제품 품목별 수명 데이터 등의 데이터 확보가 필수적이다.
        7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frequency and period of earthquakes are increasing compared to the past, interest in the safety of rescue facilities including bridges a lo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tistical index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analyzed by using the seismic acceleration measurement data of the bridge.
        78.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국폐기물 통계조사’는 폐기물 관리법 제 11조에 의거 매 5년 단위로 수행되고 있으며, 폐기물의 종류별 발생 및 처리현황과 폐기물 발생원에 따른 발생 원단위 등의 조사가 이루어진다. 본 통계조사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등 폐기물관련 계획수립에 필요한 자료와 관리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통계조사는 크게 생활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로 구분되며, 사업장 폐기물은 배출시설계 폐기물, 지정폐기물, 의료폐기물, 건설폐기물로 나누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폐기물에 대한 분석연구를 실시하였다. 통계조사는 현재 4차 조사까지 완료되었고, 5차 조사가 진행 중에 있으며, 1차, 2차, 4차(3차는 발생원단위를 산정하지 않아 제외)조사를 비교 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였고 5차 조사에 반영하였다. 조사방법을 보면, 1차와 2차는 우편을 통한 표본조사 방식이고, 4차와 5차는 ‘한국환경공단’에서 운영하는 “올바로시스템”을 통해 실적보고 자료를 전수조사하고 경제데이터는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임의수집 하는 방식이다. 경제데이터가 의무가 아닌 임의적으로 확보가 되었기 때문에 확보된 사업체 데이터를 표본으로 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추가적인 통계적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무응답 조정 가중치 등 통계적 객관성을 높이는 작업을 하도록 제시하였다. 또한 변동계수(CV)와 관측치를 산출표에 별도로 표기하여 사용자들이 데이터의 신뢰도를 판단,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산업단지 관련, 환경영향평가서를 작성하는 실제 이용자들로부터 4차 조사의 배출시설계폐기물 발생원단위가 과대평가되었다는 의견이 있었다. 따라서 배출시설계 폐기물의 경우 산업단지와 일반 사업체를 구분하여 원단위를 산정하여야 하고 규모별 원단위를 구해 환경영향평가 등에 활용됨에 있어 오류를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건설폐기물의 경우 다년도 공사와 단 년도 공사를 구분하고, 현재 건설폐기물 원단위 이용 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건설표준품셈의 폐기물 분류기준을 적용한다면 보다 좀 더 활용도 높은 원단위 산정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실적보고를 통해 배출량은 의무적으로 전체 사업체가 제출하고 있지만 종사자 수, 면적 등의 경제데이터는 의무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원단위 값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 추가확보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실적보고 제출 시 종사자 수, 면적 등을 의무적으로 기입하도록 법이 개선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79.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가 통계(National Statistics)는 국가의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기반이다. 국가 통계의 정확성, 시의성, 접근성 등 통계품질이 좋아야 국제적으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수행한 이전 연구에서는 국가 폐기물통계에 담긴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과 접근성을 살펴보고 기후변화 대응과 자원순환사회 구축을 위한 정책을 펼치는데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과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국제연합(UN)에서는 국가통계의 기본원칙에 국제기준 사용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국제기준 사용은 각 국가 통계기관이 국제적인 개념, 분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은 국가기관 모든 수준의 통계 체계에 대한 정합성(일관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킨다고 명시하고 있다. 물론 권고사항이기에 반드시 국내에서도 OECD등과 같은 국제기구 통계와 정합성을 맞추기 위한 의무는 없다. 하지만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나 앞으로 펼쳐질 자원순환 기본법과 기후변화협약 시행이 예정되어 있어 국가가 발행하는 폐기물통계에 대한 중요성이 조명 받는 점을 고려하면 국제기준과 정합(整合)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대표적으로 OECD통계와의 정합성 부문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OECD통계에서는 폐기물처리를 회수(Recovery)와 처분(Disposal)으로 구분하고 있다. 회수는 물질재활용, 퇴비화・혐기성소화, 소각(에너지회수 ○), 기타로 구분하고, 처분은 매립과 소각(에너지회수 ×), 기타로 구분한다. 반면 국내 폐기물통계는 재활용(Recycle), 소각(Incineration), 매립(Landfill)으로 구분하고 있다. 국내와 OECD통계상 구분하는 체계는 다르지만 이것만을 가지고 정합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없다. 다만 국내에서는 재활용에 폐기물고형연료(SRF)를 집계하는 점과 소각시설에서 에너지 회수하는 기준도 시설을 설치하고 있는지 여부만 가지고 평가하고 있는 점은 OECD 주요 회원국인 EU나 미국 그리고 일본의 통계와 정합성이 다르다. OECD통계와 정합성을 이루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폐기물처리 용어 정의나 에너지회수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한다.
        80.
        2017.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ccessibility and accuracy of the data for the advancement of national waste statistics in South Korea were examined in this study and then compared to those of the European Unio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ccessibility and accuracy were each examined by three indices, which revealed that accessibility was generally lacking, except that Korea processed and provided a key summary. Regarding accuracy, the recycling calculation method, about which some concerns have recently been rAised, was review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tallying of recycled waste volume in South Korea has not been carried out scientifical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data that should be used in the future to determine whether resource recycling objectives have been met and to calculate the greenhouse gas inventory are inaccurate. Furthermore, the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in the standards us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incinerated waste and energy recycling in completing the greenhouse gas inventory were verified in this study. Complying with ever-changing waste policies requires establishing measures for advancing the accessibility and accuracy of national waste statistic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