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5

        6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논에서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수수류를 논 재배하여 생육특성과 수량에서 우수한 품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충남 천안 농가 포장에서 수행하였다. 도입품종인 수수류 10품종 중에서 ‘Sordan79’는 습해에 비교적 강하고 2차 재생이 잘되며 당도가 높고 병해와 충해에 강한 생육 특성을 보였고 수량 측면에서도 생초수량이 ha 당 92,492 kg, 건물수량이 21,090kg으로 가장 우수한 품종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중부지역에서 벼 대체 사료작물인 수수류를 논에 재배 할때는 배수가 양호한 논의 선정이 필요하고 수수류 품종 중에서는 ‘Sordan79’를 재배하는 것이 적응성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4,000원
        65.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남부지방에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옥수수를 파종하여 조사료를 생산하는데 논 재배에서 적응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에서 수행하였다. 국내육성 2품종과 도입품종 4품종 등 6품종 을 시험한 결과 광평옥 품종이 간장이 198cm 로 다른 품종들보다 크고 경직경이 굵으며 내습성 및 후기 녹체성이 좋고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수량 측면에서도 생초수량은 ha당 생초 수량
        4,000원
        66.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한 붉은색을 띤 ‘Tiny Ghost’를 교배모본으로 Oriental group, Longiflorum group 및 Martagon group을 부본으로 하여 효율적인 종간잡종 생산과 상 품성 있는 신품종을 획득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개 화당일 채취한 화분의 발아율은 Oriental hybrid인 ‘Sorbonne’이 64%로 가장 높았다. 주두수분법과 화주 절단수분법을 이용하여 수분한 결과, ‘Aktiva’를 부본 으로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주두수분법을 사용 한 교배에서 자방이 생성되었다. 또한 Longiflorum group 인 ‘Norina’와 ‘Gelria’ 중 화분발아율이 높은 ‘Norina’ 가 모두 수정에 실패하여 같은 group 내에서도 종간 의 유전적 친화성에 따라 수정률이 달랐다. ‘Aktiva’를 부본으로 한 교배에서 1개의 embryo sac을 적출하여 1개 의 구를 생성하였으며, ‘Sorbonne’을 부본으로 한 교배 에서는 4개의 ovule을 치상하여 1개의 구를 얻었다. ‘Gelria’를 부본으로 한 교배에서는 1개의 자방에서 embryo 5개, embryo sac 15개, ovule 7개를 얻었으며 그 중 18개체가 발아하여 66.7%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Martagon group인 L. hansonii를 부본으로 한 교배에 서는 5개의 ovule을 얻어 그 중 40%가 발아하였다.
        4,000원
        67.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 도입된 목초 Festulolium(Festuca pratensisLolium multiflorum) 3개 속간교잡종의 한해, 출수기, 도복, 재생력과 수량성 및 사료가치의 지역적응력과 생산력을 검정하여 국내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2005년 9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수원과 남원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교잡종의 내한성은 내한 다수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화산101호에 비하여 Perun은 다소 강한 편이었으며 Boxer와 Fleur
        4,000원
        68.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 도입되는 목초 Festulolium pratensis Lolium muitiforum의 속간 교잡종인 Festulolium braunii의 내한성, 출수기, 사료가치 및 수량 등을 구명하여 우리나라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 자, 2004년 9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수원 및 남원에 있는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시험포장에서 동시에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Festulolium braunii 교잡종 Fleurial, Boxer 및 Perun 등
        4,000원
        78.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화합성 및 불화합성 종간 체세포잡종을 얻었다. 화합성 종간인 Pleurotus ostreatus 와 P. florida 의 융합체는 이질핵체 (heterokaryon) 를 형성하였고, 불화합성 종간인 P. cornucopiae + P. florida , P. ostreatus + Ganoderma applanatum, P. florida + Ganoderma lucidum, 그리고 P. ostreatus + Flammulina velutipes 는 합핵체(synkaryon) 를 형성하였다. 이질이핵체는 동일한 양상의 자실체를 형성하는데 비해 합핵체는 유사분열상의 꺽쇠연결체 형성, 한쪽 친과 유사한 자실체 형성, 비정상적 유전형질 분리 및 유전자재조합 현상을 나타내었다. 화합성 및 불화합성 계통간 융합체의 RAPD 분석결과 화합성 종간 융합체는 동일한 DNA 패턴을 나타내었고, 불화합성 종간 융합체는 한쪽 친과 유사한 DNA 양상이면서 비양친 DNA 밴드도 형성하였다. 합핵체의 패턴은 microgenome insertion type 과 macrogenome insertion type 으로 구분되었다. 합핵체의 자실체 발생은 융합 모균주 양친의 자가임성에 의존하는데 이는 느타리의 동형핵체 자가임성과 유사한 양상이었고, 교배형 전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여기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논할 것이다.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