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3월부터 2000년 11월까지 공주시 근교의 리기다소나무림에서 계절별 버섯의 출현종과 종별 개체수, 생산량 및 영양염류 함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영구방형구 내에 출현한 종은 총 32종류이었다. 버섯은 6월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여 9월에 종다양성과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월별 우점종은 6월과 7월에는 밀버섯, 8월과 9월은 갈색털꾀꼬리버섯 이었으며, 10월에 젖버섯아재비버섯을 끝으로 더 이상 출현하지 않았다. 연중 가장 많은 개체수를 보인
환경악화에 따른 자연생리물질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목재를 열분해하여 만든 목초액에서 알코올, 목타르 등을 추출, 정제, 단리하여 토량개량, 식물의 생리활성 촉진, 병해충 발생억제 등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목초액을 임산버섯 연구에 활용함으로써 목초액 이용의 활용도를 높이고 무공해 임산버섯생산의 기틀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고버섯 재배시 골목의 목초액 처리에 따른 자실체 생산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표고버섯에 사용한 균주는 산림조합중앙회의 3균주(산조103호, 산조302호, 산조502호)로 서 목초액 농도별(무처리, 100배, 250배, 500배, 1,000배)로 처리된 침수조에 골목을 24시간 침수 후 자실체 발생을 유도하였다. 각 처리별 25반복하여 자실체는 갓이 2/3 정도 피었을때 수확하였고, 수확한 자실체의 골목직경 1cm당 자실체 평균갯수와 생중량, 건중량을 조사하였다. 자실체 발생유도는 4회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골목의 목초액 희석농도별 침수처리에 따른 결과는 발생갯수는 205배 희석액에서 최대 42, 무처리에서 최소 37개, 생중량은 최대 148.42g 최소 32.40g, 건중량은 최대 11.74g, 최소 2.00g로 나타났으며, 무처리 골목에 비하여 모든 희석액의 처리 골목에서 유의적 증가를 보였고, 250배 희석농도에서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가에서 표고재배시 골목은250배 희석액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침수에 따른 노동력이 과다 소요되므로 농산촌 인구의 노령화, 노동력 감소 등에 따른 다양한 연구방안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육상 오염원의 영향을 적게 받는 완도 해역에서 약 10년간의 월별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식물성플랑크톤의 증가에 의한 유기물의 증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DIN의 경우 겨울철인 2월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인 0.138mg/L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름철인 8월에는 0.052mg/L로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DIP의 경우도 DIN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겨울철인 2월의 농도가 가장 높은 0.015 mg/1이고 여름철인 8월이 가장 낮은 값인 0.011 mg/1를 나타내고 있다. 식물성플랑크톤의 제한영양염을 알아보기 위하여 Redfield ratio(N:P=16:1)를 이용하여 제한영양염을 평가하여 보면 완도해역은 질소가 제한 영양염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장 제한이 되고 있는 계절은 여름으로 N/P의 비가 10.5로 나타났다 Chl.-a는 겨울철인 2월에 비해 봄과 여름인 5월과 8월에 79%, 97%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의 농도는 COD로 나타내었으며 2월에는 0.84 mg/1로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8월인 여름철에 가장 높은 1.10 mg/1를 나타내었다. 영양염과 Chl.-a의 상관관계는 DIN과의 상관에서 r2M가 0.93, DIP과의 상관에서 r2M〈/TEX〉가 0.8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식물성플랑크톤의 증식이 영양염의 감소에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Chl.-a와 COD의 회귀분석에서 상관계수 r2M가 0.78로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유기물의 생산량은 겨울철에는 17%, 여름철에는 37%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완도의 해역에서 수온이 증가하는 여름철에 용존성 영양염의 농도는 감소하고 있으나 식물성플랑크톤의 지표가 되는 Chl.-a와 유기물의 지표가 되는 COD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에서는 보다 합리적으로 생산량을 결정함으로써 고객에 대한 납기 준수는 물론, 기업 내부의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 합리적인 생산량의 결정은 기업 내적으로는 낭비를 제거하고, 생산 흐름의 안정성을 유지하여 주며, 기업 외적으로는 공급사슬 전체의 자재흐름을 원활히 해주고 고객의 기호 변화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논문은 보다 높은 고객 만족도와 비용의 절감을 위해서 재고 유지비용과 생산준비비용만을 고려하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ing methods and rat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sorghum X 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L.) Moench, cv. Pioneer 988) grown under applica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herbage productivity and nutrient contents of corn (Suweon 19 and Kwanganok) and sweet sorghum (Ramiki sorgo and Silage sorgo) at the stage of maturity (10-DBS, silking, milky and dough stages) to identify the utility valu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sponse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rrata L.) varieties to grazing at the condition of monocultures and mixed pastures on the field of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at Suwon from Sep. 1989 to Oct. 1991. The
For simple estimation of pasture production and nutritive value in relation to height of orchardgrass (Ductylis glomumtu L.),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pasture mixture dominated by orchardgrass. The samples of grasses were harvested at the heigh
본 시험은 alfalfa파종시 겉뿌림 및 다른 파종방법들이 alfalfa의 생육. 건물수량.조단백질 생산량 및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겉뿌림, 겉뿌림+갈퀴질, 겉뿌림+갈퀴질+쇄압, 경운+산파+쇄압 및 경운+조파+쇄 등 5개 처매구를 두고, 1988년 9월부터 1989년 10월까지 축산시험장 초지시험포에서 수행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경운방법으로 6개월후에 토양산도와 토양의 매화학적 특성은 개선되었다. 2 알팔파의 정착개체
Planktonic crustaceans were collected monthly around Hamduck, northern part of Cheju Island from April 1989 to March 1990. Occurrence of mean individuals (244 rods. m^(-3)) from inner~ay stations was 2.4 times higher than that (102 rods. m^(-3)) in outer-bay stations. Mean biomass (wet weight, 18.6 mgm^(-3)) from inner-bay stations was 3.6 times higher than that(5.2 mgm^(-3)) in outer-bay ones. The estimated mean values (251.5 ㎍Cm^(-3)d^(-1)) of daily production from inner-bay, having 141.1 ㎍Cm^(-3)d^(-1) of annual mean, was 2.8 times higher than that (90 ㎍Cm^(-3)d^(-1)) in outer-bay. The ratio of daily production of biomass with average value 0.17 suggested a high turnover rate to maintain a temperate costal ecosystems, in spite of a low biomass around Cheju Island.
1987년 6월-1988년 4월까지 격월로 제주도 해안선주변 10개 정점에서 부유성 갑각류의 현존량과 생산량을 야간채집, 조사하였다. 계절별 평균개체수는 12월에 가장 낮고, 6월에 가장 높았는데, 이들 개체의 대부분(90% 이상)은 90μm 망목의 네트로 채집된 것으로 이뤄졌다. 계절별 평균 현존량의 범위는 6.6-55.0mgm^(-1)(평균 16mgm^(-3))이고, 여름에 높았다. 일일평균 생산량 역시 여름(369μgCm^(-3)d(-1))에 높고 겨울(112μgCm^(-1)d^(-1))에 낮았다. P/B의 비(평균 0.25)는, 수온이 높고 소형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가 많은 계절에 높은 값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