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4

        81.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P(Fiver Glass Reinforced Plastic)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그러나, 대부분 전단강화 효과의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앵커리지의 거동과 설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 부착된 FRP 철근 콘크리트에서, FRP U-wrap의 모서리 폭에 대한 연구를 통해 U-wrap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82.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P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상에 있으나 대부분 전단강화 효과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FRP RC 요소에 외부적으로 FRP Uwrap의 고정 효과에 중점을 두고 Uwrap의 거동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83.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2 tests are performed to analyze the specific performance and pullout strength of an anchor bolt against which has a greater contact area with the concrete. In the case of unsymmetric nut, the pullout average strength at the side registers over 14% stronger in comparison with normal bolts.
        84.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apacity of post-installed anchor used in joining of new and old concretes structures is dominated by shear force of steels. Thus, too many anchors are required to demonstrate the reinforcement effects. In this study, a new ring anchor with high-shear resistance capacity is presented. This study evaluated that shear capacity by concrete strength and beam width through nonlinear analysis.
        85.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용 후설치 세트앵커는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설치되는 앵커이며 시공 장비의 발달과 시공의 유연성 및 용이성으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단하중을 받는 앵커는 강재 파괴, 콘크리트 파열파괴, 콘크리트 프라이아웃 파괴 등의 대표적인 파괴모드를 보 인다. 본 연구에서는 매입깊이, 연단거리 및 콘크리트 강도를 변수로 한 세트앵커의 실험 및 유한요소 해석 결과를 통하여 콘크리트에 매입 된 저하중용 후설치 세트앵커의 전단 파괴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매입깊이 변수의 실험 결과 매입깊이가 얕을수록 콘크리트 강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단거리 변수의 실험 결과 동일한 파괴모드를 보이면서 콘크리트 강도의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재 파괴가 발생한 실험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콘크리트 강도가 클수록 변위가 상대적으로 더 작게 나타났다.
        86.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해군 함정에서 운용하고 있는 묘의 파주력과 파주계수에 대한 계산이 단순하게 특정한 값만을 적용하고 있다는 한계를 인식하고,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문헌연구 자료와 묘 제작사, 연구기관, 학계의 여러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함정이 보유한 묘의 형태별 파주력과 파주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함정에서 사용 중인 대표적인 묘의 형태별 파주력 및 파주계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AC-14형 묘는 ASS형 묘나 U.S. Navy Standard형 묘에 비해 큰 파주력을 가지며 이는 묘의 경량화를 가능케 하여 조함의 용이성에 도움이 됨을 확인하였고, U.S. Navy Standard형 묘는 중량의 변화에 파주계수의 값이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Danforth형 묘는 파주계수가 중량에 반비례한 특징을 확인하였다. 또한 묘를 운용할 때 유의하고 보완할 사항을 알기쉽게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묘를 운용하는 함정 승조원에게 파주력과 파주계수와 관련하여 신뢰성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보다 안전하게 묘박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87.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지압식 앵커는 사면보강공사 또는 지중구조물의 부상방지를 위한 영구앵커에 관한 공법으로써 사면보강 또는 지중구조물의 부상방지를 위해 지반을 천공한 후 영구앵커를 설치시 기존기술은 통상 천공홀 내에 시멘트 그라우팅을 PS강연선 주변에 주입 및 양생 후 PS강연선 긴장시 천공홀 주변지반과의 마찰력에 의해 설계 앵커력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 이중쐐기형태의 내부 앵커체가 슬라이딩되면서 외주면 앵커체를 확장시켜 정착지반의 천공벽면에 지압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로써, 외주면 앵커체가 인장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는 지압력에 의해 설계앵커력이 유지되는 방식이다. 본 연구 수행결과 설계 앵커력도 공시체 균열 진전 상태와 공시체 해체 후 외주면 앵커체가 균등하게 확장되어 지압력이 발휘되므로 기존 기술인 인장마찰식 영구앵커의 단점인 진행성 파괴를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지압력 발생 양상이 FEM해석 결과와도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압식 영구 앵커는 사면붕괴시 신속한 사면의 급속복구, 급경사지 재해예방, 기존 옹벽의 변위 발생시 복구, 지중구조물의 부상방지 등의 분야에서 공기단축, 시공성, 경제성, 구조적 안전성등이 확보된 기술이므로 재해복구, 재해예방을 위한 기술 분야에 기술적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 생각된다.
        88.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박은 해상에서 정박시 앵커를 이용함으로써 선박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항하여 주묘를 방지하고 선박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 다. 선박의 안전한 투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앵커의 파주운동과 파주력 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앵커의 초기 투묘시 해 저에서의 앵커 자세에 따르는 파주운동과 파주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길이 6미터의 저질이 모래인 수조에서 앵커 모형의 예인 실험을 실 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앵커 모형은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ASS형과 AC-14형 앵커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앵커 형태와 관계 없이 앵커의 초기 위치가 예인 방향과 동일한 경우와 직각으로 놓여 진 상태에서는 앵커 플루크가 최대 깊이까지 파고 들어 가고, 이 최대 깊 이에서 일정한 심도를 유지한 채 파주운동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앵커가 예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초기 투묘된 경우 다른 초기 위치 상태에 비해서 파주력 계수 값이 작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므로 앵커 투묘시 특히 주의를 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89.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ound anchor method is one of the most popular reinforcing technology for slope in Korea. For the health monitoring of slope which is reinforced by permanent anchor for a long period, monitoring of the tension force of ground anchor is very important. Optical FBG sensors embedded tendon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strain of 7-wire strand by embedding FBG sensor into the center king cable of 7-wire strand. This FBG sensors embedded tendon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measure the reinforcing force of ground anchor during four seasons through temperature compensation of the FBG sensors embedded tendon.
        90.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case of Enlargement method using Post-installed Anchors, mechanical expansion anchors were resisting tensile and shear force of Modular extension structure in exist buil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yclic load shear strength of Post-installed Anchor on 16 MPa low strength Concrete under less than standard effective depth(hef). The fracture pattern of the specimens in cyclic load shear tests was steel failure of anchor and the strength showed 19% less than that of the design strength on test anchor manufacturer.
        91.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case of Enlargement method using Post-installed Anchors, mechanical expansion anchors were resisting tensile and shear force of Modular extension structure in exist buil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rength of Post-installed Anchor on 16 MPa low strength Concrete under less than standard effective depth(hef). The fracture pattern of the specimens in Pull-out tests was pull-out failure and concrete break out failure. In monotonic load shear tests the fracture pattern was steel failure of anchor and concrete break out failure.
        92.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지어지고 있는 건축물은 구조적인 안전성과 사용성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미려한 외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건물의 외장재로 석재 커튼월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석재마감공법은 건물의 중량화를 비롯한 시공성과 보수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시공시의 소음 진동 등에 의해 민원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공성,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보조 고정 홀을 통해 석재 패널의 부분보수가 가능한 언더컷 앵커 방식의 석재 커튼월 시공공법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시공성 및 경제성분석과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한 풍압 및 지진하중에 대한 구조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공법이 기존공법에 비해 향상된 시공성과 경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성능 평가결과 외장재로서 요구되는 성능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3.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case of Enlargement method using Post-installed Anchors, mechanical expansion anchors were resisting tensile and shear force of Modular extension structure in exist buil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rength of Post-installed Anchor on 16 MPa low strength Concrete under less than standard effective depth(hef). The fracture pattern of the specimens in Pull-out tests was pull-out failure and the strength showed 19% less than that of the design strength on test anchor manufacturer. In cyclic load shear tests the fracture pattern was steel failure of anchor and the strength showed 10% less value than that.
        94.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 aims to rapid construction and easy maintenance of the road system. As a part of the precast road construction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formations and stresses at the end of the precast slab and checked horizontal filler and vertical anchor bolt. Analysis cases selected by each boundary condition and choose proper boundary condition. as choose analytical model result, developed precise analytical models and checked performance of end tip connection.
        95.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friction-type anchor general, pull-out resistance is exhibited by only fixing length frictional resistance. In order to ensure sufficient pull-out resistance excessive length and number of anchor is required. Thereby, including pressure-type and hybrid-type anchor is required. However, the standards for friction-type anchor are established in most of the national standards but specific design method for pressure-type and hybrid-type anchor is not been established. In this paper, we review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hybrid-anchor body expanded in two stages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under the underground condition.
        96.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Korea, the anchor pull-out tests apply overseas standards because there are no suitable standards for domestic. Therefore, according to the standards, parameters of ground and anchor force appear differently. In this study, we've compared the field tests conducted in Korea with the field tests of Europe, Hong Kong and Japan and established a pull-test standards being suitable for domestic. Also, we've proposed a research plan using analysis results.
        9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그라운드 앵커는 토목이나 건축의 구조물을 지반에 정착 또는 안정시키기 위하여 고강도의 강재로 연결하고 그 강재에 높은 긴장력을 도입하여 구조물에 구속력 또는 선행 하중을 가하기 위한 효과적인 공법이다. 그라운드 앵커의 시험은 설계조건의 만족여부를 실증하거나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실시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시험은 인발적성시험(Performance Test)과 크리프시험(Extended Creep Test) 등이 있으며 이중 크리프시험은 앵커설치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하중감소를 예측할 수 있으며 장기거동에 대해 안전성 확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시험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구앵커를 지보공으로 하는 합벽식 옹벽 현장에서 영구앵커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여 풍화암 지반에서의 극한강도와 크리프 변형 등을 파악하고 단기 크리프를 분석하여 앵커 거동특성의 예측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인발적성시험은 하중단계별 변위 데이터 및 10분 이내의 크리프 변형량을 통해 정량적인 적부판단을 하고 있으나 정식적인 크리프시험을 시행하지 않고 있어 안정성에 대한 의심이 가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정상적인 크리프 시험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하루 이상의 시험시간과 인원 및 측정 장비가 필요하여 공기부담이 될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10분 이내 측정된 초기 변형량값을 추세값으로 300분 예측을 실시하고 실제 측정된 데이터를 비교분석한 결과 1.2DL에서 가장 근접한 크리프치를 얻을 수 있었다. 1.2DL은 현장에서 앵커력을 도입할 때 적용되는 설계 긴장력이므로 여러 현장에서 수행되는 인발적성시험에서 얻은 10분이내의 크리프 변형량을 토대로 크리프시험의 결과로 예측이 가능할 수 있는 발판이 되었다.
        98.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토목구조물의 보수. 보강 및 리모델링시 구조부재를 부착시키거나 고정하는데 있어서 시공의 유연성 및 용이성으로 후설치 앵커의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설계자와 시공자가 신뢰할 수 있는 명확한 설계기준이 없는 상태로서 외국의 설계기준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근콘크리트에 매입된 앵커에 인발하중이 작용할 때 앵커의 다양한 파괴모드는 콘크리트 파괴, 쪼갬파괴, 강재파괴, 뽑힘파괴 및 측면파괴가 발생한다. 이것은 강재의 인장 강도, 콘크리트 강도, 매입 깊이, 앵커 간격, 연단거리와 인접 앵커의존재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매입깊이, 앵커간격 및 연단거리를 변수로 한 후설치 콘크리트 세트앵커의 인발파괴실험을 통하여무근콘크리트에 매입된 후설치 세트앵커의 인발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99.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st-installed anchor is installed in non-cracked concrete after corrosion to investigate pullout strength of the anchor. Pullout test was conducted diameter, insertion depth of the anchor of a couple of variables. If it receive pullout load, performance of corroded anchor is degraded by the reduc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anchor body.
        100.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st-installed set anchors refer to the anchors are installed after the concrete hardened. The anchor in plain concrete loaded in tensile exhibits various failure modes such as concrete breakout, splitting, steel failure, pull-out and side-face blowout, that depending o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teel, the strength of concrete, embedment depth, interval, the edge distance and sleeve length, etc. In this study, the objectiv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variations like anchor embedment depth, anchor interval, edge distance, sleeve length and concrete strength on pullout behavior of post-installed concrete set anchor embedded in plain concrete. Regardless of concrete strength, embedment depth that less than 6 times appeared concrete failure mode. For 18MPa and 24MPa concrete strength has no much affection on anchor interval that more than 1 times of embedment depth. Edge distance that more than 1 time of embedment depth also has no much affectio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