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8

        83.
        200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cellulose digestibility using the transgenic pigs harboring cellulose degradation gene D (CelD). After delivered offsprings between normal pig and transgenic swine, DNA was isolated from piglets tail for PCR analysis. In first generation, five out of 65 piglets showed CelD positive. Unfortunately, four CelD-positive pigs were died during growing, but one survived pig was used as a transgenic founder to produce F₁ descendents. Among 3 F₁ transgenic pigs produced, one died and the remaining two pigs were used to test the fiber digest efficiency. An assorted feed was composite of 5% fiber with other ingredients. The feed of 3 kg per day was provided to the pigs including transgenic founders and littermate controls. The manure quantity was measured daily for a month, and all manures were dried for three days to analysis nitrogen, phosphate and fiber concentrations. The fiber digestion efficiencies of the transgenic F₁ pigs showed approximately 10%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pigs. Fiber digestion was not greatly improved in transgenic pigs as it had been expected approximately 30%. Nitrogen concentration of transgenic pig′s manure was slowly decreased compare to the control pigs. Because there were only two transgenic pigs tested, a large number of transgenic pigs may be necessary to obtain more reliable data. Breeding of animals to obtain sufficient transgenic pigs subjected for a further study is on progress. Taken together, this study demonstrated successful production of transgenic pigs with increase of cellulose digestibility in the porcine feed.
        4,000원
        84.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꽃사슴에 있어서 육림부산물 발효 사료 급여에 따른 체내 이용성과 행동양식을 시판 완전혼합사료와의 비교를 통해 육림부산물에 대한 사슴사료로서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물채식량은 숫성록의 경우 CMR구와 FPS구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고, 육성록의 경우 FPS구가 약간 낮았다. 2. 소화율은 CMR구의 경우 개체별로 평균 76.7%의 높은 건물 소화율을 나타냈으며 FPS구의 경우에도 CMR구에 비
        4,000원
        85.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볏짚에 사과박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조제한 사일리지(볏짚:사과박 = 100:0, 80:20, 60:40, 40:60) 혹은 옥수수 사일리지에 건초 및 시판사료의 혼합 비율을 각각 40:40:20로 조제하여 한국 재래산양에게 급여하였고, 이들에 의한 사료섭취량,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 등을 조사하여 농산 가공 부산물의 사료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사료의 화학적 조성분은 조단백질 함량이 6.3∼
        4,000원
        86.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ccess the feeding value of the herbage produced from the wildflower pasture, DM intake, digestibility and utilization of nitrogen and energy of herbages by Korean native goats were determined. The experimental herbage included two treatments: Conventi
        4,000원
        88.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iticale을 사료로서의 특성을 알기 위하여 밀(북견 66호, 월한1호, 치오쿠코무기), 호밀(Amilo, W Warko, Mardar), triticale(Moniko, Presto, Tewo)을 출수기, 유숙기, 호숙기, 황숙기에 수확하여, 건물 수량, 사료성분 및 IVDMD을 조사했다. 1. 재료의 건물수량은 어느 초종도 생육에 따라 증가했고, triticale은 다른 2종의 초종보다 수량성이 우수했다. 2. triticale의 사료성분은 대
        4,000원
        89.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으로 건물수량과 암이삭비율을 사일리지용 옥수수(Zea mays L.)의 생산성 비교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품종 비교에는 사초생산성 뿐만아니라 경엽의 품질도 중요하다. 그래서 본 시험은 정부장려 8품종을 한달 간격으로 파종하였을 때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부위별 사료가치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ADF, NDF, ADL, hemicellulose 및 cellulose 함량은 경엽, 암이삭 및 전식물체 모두에서 적기파종시가 만기파종시보다 낮았다(P<0.01). 공시 품종간에는 경엽과 전식물체에서 섬유소 함량의 차이가 있었다(P<0.01). 파종기간 TDN 및 N E 1 는 경엽 및 전식물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공시품종간 TDN 및 N E 1 는 경엽, 암이삭 및 전 식물체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전 식물체에서는 공시품종중 'G4624', 'P3352' 및 'P3394'의 TDN 및 N E 1 가 다른 품종보다 높았다(P<0.05). In vitro 건물 소화율은 적기파종이 만기파종보다 높았으며(P<0.05), 또한 공시품종간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ln vitro 건물소화율과 NDF, ADF, hemicellulose 및 cellulose의 상관계수는 각각 − 0.82 ∗ ∗ , − 0.7 ∗ ∗ , − 0.63 ∗ ∗ 및 − 0.69 ∗ ∗ 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사료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기파종이 옥수수의 사료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품종간 비교에서는, 특히, 경엽과 전식물체의 사료가치가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품종 선발에는 경엽과 전식물체의 사료가치도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4,300원
        90.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falfa의 급여수준이 산양의 섭취량, 소화율과 질소 및 에너지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고자 재래산양을 공시하여 orchardgrass 100% 급여구, orchardgrass 80%+alfalfa 20% 급여구 및 orchardgrass 60%+alfalfa 40% 급여구 등의 3 처리를 두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P 함량은 orchardgrass 100% 급여구에 비하여 alfalfa의 급여수준이 증가될수록 높아졌다(P<0.05). 그러나 NDF, ADF, hemicllulose 및 lignin 함량은 orchardgrass 100% 급여구에 비하여 alfalfa의 급여수준이 증가될수록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건물섭취량과 건물, 세포 내용물 및 섬유소 소화율은 orchardgrass 100% 급여구에 비하여 alfalfa의 급여수준이 증가될수록 높아지는 양상을 보여 orchardgrass 60%+alfalfa 40% 급여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가소화 및 대사질소의 축적율과 생물가는 orchardgrass 100% 급여구에 비하여 alfalfa의 급여수준이 증가될수록 높아졌다(P<0.05). 가소화에너지 및 대사에너지의 이용성은 alfalfa 급여구에서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처리 간에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OG 100% 급여구에 비하여 AA 급여구(AA 20, 40%)는 건물섭취량, 소화율 및 질소 이용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으나 에너지 이용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보아 에너지원을 추가 공급하는 것이 좋다고 하겠다.
        4,000원
        91.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우리나라의 조사료자원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대부분의 축산농가에서 조사료원으로 이용하고 있는 볏짚의 생육기별에 따른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8년 4월부터 동년 11월까지 우석대학교 부속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볏짚의 생육기별 섬유소와 조회분 함량은 벼의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조단백질과 조회분 함량은 감소하였다. NDF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황숙기 이후 hemicellulose 함량은 크게 감소하였고, cellulose 및 lignin 함량은 증가하였다. 2. 볏짚의 성숙기별 NDF의 반추위 분해율은 출수기때 가장 빨랐고, 유숙기부터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ADF의 반추위 분해율은 성숙기별에 따라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볏짚의 성숙에 따른 화학적 조성분의 변화와 반추위 분해율을 종합해 볼 때, 출수기까지의 볏짚은 아직 목질화가 완성되지 않아 섬유질의 반추위 분해속도도 빨랐고, 그 이후의 볏짚은 사료적 가치가 급속히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4,000원
        92.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chardgrass에 두과목초인 alfalfa와 탄닌을 함유한 birdsfoot trefoil을 혼합하여 급여하였을 때 산양에 의한 섭취량, 소화율과 질소 및 에너지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고자 재래산양을 공시하여 orchardgrass(OG) 100% 급여구(OG), OG 60%+alfalfa(AA) 40% 급여구(OG+AA) 및 OG 60%+birdsfoot trefoil(BT) 40% 급여구(OG+BT) 등의 3처리를 두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P 함량은 OG 급여구에 비하여 OG+AA 급여구나 OG+BT를 급여한 구에서 높았다(P<0.05). 그러나 NDF 함량은 OG 급여구에서 높았고(P<0.05), lignin 함량은 BT 급여구에서 높았으나(P<0.05), ADF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건물섭취량과 건물 및 세포 내용물 소화융은 OG 급여구에 비하여 OG+AA 급여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P<0.05), NDF 및 ADF 소화율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가소화질소의 축적율은 OG+AA 급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P<0.05), 대사질소 축적율 및 생물가는 OG+BT 급여구에서 가장 높았으나(P<0.05), OG+AA와 OG+BT 급여구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가소화 및 대사에너지의 이용율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OG급여구에 비하여 두과목초(AA, BT)를 급여함으로서 질소 및 에너지의 이용성이 개선되었으며, 두과 목초간에는 OG+AA 급여구에 비하여 OG+BT 급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질소 이용성이 다소 개선되는 결과를 얻었다.
        4,000원
        94.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values of roughages available in Korea on feed intake and digestibility of Korean native goats and consequently to apply its results to the feeding system of Korean goats as a basic information. The results are as f
        4,000원
        97.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alfalfa supplementation on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and energy utilization in Korean native goats fed oak brows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by total collection method in laboratory, 1994. Di
        4,000원
        99.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 실험은 林間草地의 改良과 管理 및 利用에 관한 基鍵資料를 얻고자 趣光程度를 0%區(無週光區), 25%, 50%, 75%로 인위적으로 조절하고. orchard grass, timothy, perennial ryegrass, ladino clover를 供試하여, 일반成分, 세포벽構成物質(CWC),,消化率, 可溶性탄수化物 (WSC) 함량 및 실산유실요 (NO, - N) 含量등을 分析하였으며 1985년도 축산시험장 草地시험포에서 수행되었다. 1. 一般成分과
        4,000원
        100.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도(水稻)의 양질(良質) 품종육성(品種育性)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벼 7개친(個親)과 이를 이면교배(二面交配)한 21조합(組合)의 에 있어서 심복백(心腹白), 알카리붕괴도(崩壞度)를 조사(調査)하고, 조합능력(組合能力)의 검정(檢定) 및 유전분석(遺傳分析)을 한 바,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분산분석결과(分散分析結果) 모든 형질(形質)에서 친간(親間) 및 간(間)에 유의차(有意差)가 있었으며 친대(親對) 간(間)에도 모든 형질(形質)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모든 형질(形質)에서 일반조합능력(一般組合能力)과 특정조합능력(特定組合能力)이 유의(有意)하였고, 12시간처리(時間處理)에서의 알카리붕괴도(崩壞度)는 비상가적유전분산(非相加的遺傳分散)이 상가적유전분산(相加的遺傳分散)보다 컸으며 타형질(他形質)은 상가적유전분산(相加的遺傳分散)이 비상가적유전분산(非相加的遺傳分散)보다 컸다. 12시간처리(時間處理)에서의 알카리붕괴도(崩壞度)는 완전우성(完全優性)을 나타내었으며 타형질(他形質)은 모두 부분우성(部分優性)을 나타내었다. 우성(優性)의 방향(方向)은 부(負)의 방향(方向)이었으며 전(全) 형질(形質)에서 광의(廣義) 및 협의(狹義)의 유전력(遺傳力)이 높게 추정(推定)되었다. 심백(心白)과 복백간(腹白間) 및 복백(腹白)과 알카리붕괴도간(崩壞度間)에 정(正)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