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0

        81.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2-year neld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nfluence of harvesting datrs on agronomie characteristlcs, forage yield and quality of four winter rye (fecafe cereofe L.) cultivars at the experi-mental fold of Livestock Farm, College of Agriculture, Seo
        4,000원
        82.
        199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입(導入) 마늘인 상해조생(上海早生)과 스페인계(系)를 대상으로 1990년산(年産)을 시장(市場)에서 구입(購入)하여 구중(球重)의 크기별로 나누어 구(球)의 해부적(解剖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였고 이들을 포장(圃場)에서 재배(栽培)하여 수확후(收穫後) 역시 구중(球重)을 크기별로 나누어 구(球)의 해부적(解剖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1. 구형(球型)은 두 계통(系統) 다같이 구(球)가 큰것 일수록 편평형(扁平形)을 나타내었다. 2. 구당(球當) 인편수(鱗片數)는 구(球)가 큰것 일수록 인편수(鱗片數)는 증가(增加)하였으며 동일(同一) 크기의 구(球)에서도 스페인계(系)는 상해조생(上海早生)에 비하여 구(球)당 인편수(鱗片數)가 많았다. 3. 외층(外層)과 내층(內層)의 인편수(鱗片數)의 비교(比較)에서는 상해조생(上海早生)은 1990년산(年産)의 외층(外層)에 착생(着生)된 인편(鱗片)이 많았으나 1991년산(年産)의 구중(球重) 35g 이하에서는 내층(內層)의 인편수(鱗片數)가 많았다. 스페인계(系)에서는 1990년산(年産)의 구중(球重) 40g 이상에서는 내층(內層)의 인편수(鱗片數)가 많았으나 1991년산(年産)에서는 구(球)의 크기에 관계없이 외층(外層)의 인편수(鱗片數)가 많았다. 공시(供試) 두계통(系統) 다같이 구(球)가 큰것일수록 외층(外層)에서나 내층(內層)에서 착생(着生)된 인편(鱗片)의 수(數)가 증가(增加)하였다. 4. 일차인편수(一次鱗片數)와 총인편수(總鱗片數)의 차이(差異)는 두 계통(系統) 다같이 매우 적어 이차생장(二次生長)은 매우 적었으나 상해조생(上海早生)은 스페인계(系)보다 이차생장(二次生長)이 많은편 이었다. 5. 스페인계(系)와 상해조생(上海早生)의 1990년산(年産)에서는 외층(外層)의 인편중(鱗片重)이 내층(內層)의 그것보다 뚜렷이 무거웠으나 상해조생(上海早生)의 1991년산(年産)에서는 이러한 경향(傾向)이 뚜렷하지 않았다. 6. 두 계통(系統) 다같이 소구(小球)에서는 인편(鱗片)의 크기의 범위가 좁고 대구(大球)에서는 인편(鱗片)의 크기의 범위가 넓었다. 구(球)당 인편(鱗片)의 크기별 수의 빈도(頻度)는 구(球)의 크기에 관계없이 중간 크기의 인편(鱗片)에서는 그 빈도(頻度)가 많았으며 대구(大球)일수록 큰 인편의 수가 많았다. 동일(同一) 크기의 구(球)에서는 상해조생(上海早生)이 스페인계(系)보다 인편(鱗片)이 컸다.
        4,000원
        84.
        198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미종(甘味種) 고추의 육종재료(育種材料)로 사용(使用)하고저 미국(美國)과 일본(日本)으로 부터 도입(導入)한 피만계와 기타의 고추 품종(品種)을 포장(圃場)에 재식(栽植)하여 그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수량(收量)에 있어서는 대사자(大獅子), 기옥조생(埼玉早生), 평안영광(平安榮光), 시장(市場) 등 일본(日本)에서 도입(導入)된 품종(品種)들이 상위(上位)에 있고 다음으로 Keystone Resistant Giant #3, Emerald Giant 등의 순으로 수량(收量)이 많았다. 일본(日本)에서 도입(導入)된 품종(品種)들은 수량(收量)이 많고 착과성(着果性)이 양호(良好)하였으나 과실(果實)은 비교적(比較的) 작았다. 미국(美國)에서 도입(導入)된 품종(品鍾)들은 수량(收量)과 초세(草勢)에서 일본(日本) 품종(品種)보다 떨어지나 대과(大果)를 생산(生産)하였다. 그중에서도 Keystone Resistant Giant #3, Yolo Wonder 계, Emerald Giant, Mercury 등의 과실(果實)이 가장 대과(大果)이었다. 피만계와 함께 재배한 Cubanelle, Sweet Banana, Anaheim, Cheny Sweet 등의 특성(特性)도 조사(調査)하고 그 용도(用途)에 대하여도 논(論)하였다.
        4,000원
        85.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의 16개(個) 도입계통(導入系統)에 대(對)해서 내건성(耐乾性)을 알기 위(爲)하여 발식(鉢植)한 고추를 단수처리(斷水處理)하고 일정기간후(一定期間後)에 엽(葉)의 WSD치(値)를 측정(測定)해서 내건성(耐乾性)을 평가(評價)하였으며 성숙엽(成熟葉)의 기공밀도(氣孔密度)를 조사(調査)하여 WSD치(値)와의 상관(相關)을 구(求)하였다. WSD치(値)로부터 내건성(耐乾性)이 강한 계통(系統)의 순위(順位)는 No.3446, C. chaconce, Gogoshari, 팔방(八房)이였다. 성숙엽(成熟葉)의 기공밀도(氣孔密度)와 WSD치(値)와의 상관(相關)(r=0.581)이 인정(認定)되었다.
        4,000원
        86.
        198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the upland of Livestock Farm,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eon to determine the growth characteristics, winter-hardiness and forage yield of selected southern and northern-types of winter rye (Secale cereale L.) in com
        4,000원
        90.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6년 환경부가 한반도 미유입 환경위해우려종으로 고시한 41분류군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종을 동정하 는 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자생지의 분포 및 환경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외의 여러 표본관에 소장된 건조표본을 확인하였으며, 미국 서부 지역인 캘리포니아주, 오레곤주 및 워싱턴주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우선, 조사 결과의 일부로 미국 서부 농업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Carduus acanthoides L. (국화과), Carduus tenuiflorus W. Curtis (국화과), Onopordum acanthium L. (국화과), Chromolaena odorata (L.) R.M. King & H. Rob. (국화과), Hydrocotyle ranunculoides L.f. (산형과), Oenanthe pimpinelloides L. (산형과), Ehrharta erecta Lam. (벼과), Paspalum conjugatum P.J. Bergius (벼과)의 8종에 대하여 위해성 검토, 잡초위험평가, 분류학적 특징 및 국내외 유사종과의 비교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91.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well-being and health food products. Foreign special and medicinal crops which were not cultivated in Korea before are widely introduced and cultivated in Korea.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stable cultivation of the introduced crops,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cultivation of farms and sought to suggest future work. Methods and Results : The survey was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local rural organizations in the year 2015 based on cultivation area, number of farms, and cultivation scale. In thes case of Lepdium meyenii and Asimina triloba, we surveyed the status of management technology by stage of cultivation through the field case study of farms. As a result, 14 crops were cultivated in 1,015 farms in 329.9 ha area including, Allium hookeri, Amaranthus blitum, Annona muricata, Asimina triloba, Chenopodium quinoa, Curcuma longa, Glycyrrhiza uralensis, Gynura procumbens, Lepdium meyenii, Moringa oleifera, Ocimum americanum, Psidium guajava, Silybum marianum, and Stachys japonica. The cultivation scale decreased in the order of C. longa, G. uralensis, A. hookeri, P. guajava, L. meyenii, M. oleifera, and A. triloba. Generally, L. meyenii seeds were sown generally in September and the roots were harvested from mid April to early May in the following year after wintering. A. triloba was cultivated using emerged seedlings or grafted seedlings. The emerged seedlings were more 5 years, and the grafted seedlings were more 4 years so that the fruit can be harvested. Conclusion : In order to stabilize the cultivation of special and medicinal crops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it should be safe and economical in terms of cultivation environment based on domestic cultivation adaptability test, and the use of products and sales channels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lso, national support and countermeasures for benefit sharing under the Nagoya protocol are needed.
        9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풍’은 1999년에 대립이며 황색 종피이며 다수성인 ‘수 원191호’를 모본으로 하고 경장이 짧고 조생종인‘수원196호’ 를 부본으로 교배되었다. 2000년도에 F1을 양성하고, 2001년 도에 F2는 집단선발을, 2002년 ~ 2004년도에 F3 ~ F5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HS982-B-1-1-2-2 계통으로 계통명은 ‘연천3호’이다. ‘연풍’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육형은 유한신육형이며 꽃색은 자색이고, 엽형은 피침형 과 능형의 중간형이며, 모용색은 회색이고, 종실모양은 편구 형이며, 제색과 종피색은 황색이고 협색은 갈색이고 협은 성 숙 후에도 잘 개열되지 않으며, 성숙기는 대원콩보다 15일 빠 른 조중생종이며, 100립중은 28.7 g으로 대립이다. SMV유묘 검정에서는 하위엽에서 모자이크증상을 보였으나, 포장에서 는 0이었다. 검은뿌리썩음병의 발병율은 2.5%였다. 불마름병 유묘 검정에서는 5 정도였으나, 포장에서는 0이었다. 콩나방 은 1.5%였다. 종실의 화학적 성분은 단백질은 36.1%이었는 데 특히 아미노산 함량은 346.8 ㎎/100g, 아이소플라본 함량 은 1,667 ㎍/g으로 대원콩보다 낮았다. 조지방은 19.2%였는 데, 대원콩보다 포화 지방산은 11.8%로 1.6% 높았으나, 불포 화지방산은 85.0%로 1.2% 낮았다. 가공적성에서 두부수률은 대원콩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두부물리성 중 경도, 검성, 응집성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경도는 낮았다. 청국장의 발효 및 풍취는 대원콩보다 우수하였다. 수량성은 대비품종인 대원콩보다 생산력검시험에서는 16% 증 수 되었고, 3개년 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에서 3.44 MT/ha으 로 38% 증가하였다(품종보호번호: 제4242호).
        94.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the prestress is introduced to a typical steel beam with wide flanges, the introduction efficiency of prestress is significantly low due to its large axial stiffness. In this study, the steel beam with discontinuous webs is develop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restress introduced into top and bottom flanges by utilizing the accordion effect. The experiment and FE analysis are performed to verify the introduction efficiency of the prestress on the steel beam with discontinuous webs.
        95.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uit quality traits like heat, color and flavor are unique and important for pepper cuisines and industrial use. Pepper pigments include chlorophyll, carotenoids, anthocyanin and red pigments like capsanthin are unique carotenoids to capsicum spp. So developing carotenoids-rich peppers and use of red pigments extraction along with capsaicinoids are one of interest pepper breeding goals in the world. Horticultural traits of 113 germplasms introduced by international cooperative research with YASS of China were evaluated to select promissing materials for high quality peppers during the past 3 years. All of germplasms including 60 local peppers were belong to C. annuum and fruit characteristics were diverse. Especially fruit chemical compositions like ASTA color, capsaicinoids and sugars were evaluated compared with korean commercial peppers. Average contents of ASTA color was 98±37, 55±63mg in capsaicinoids and 12±6% in total sugars. ASTA color which generally means red pigments content was over 120 in 25 germplasms including over 200 in 2 germplasms. Higher ASTA colors were observed in different fruit types. Capsaicinoids content was over 90mg/100g in 24 germplasms including 5 germpalsms over 200mg. Especially higher capsaicinoids were higher in local peppers with round and wrinkled fruit shape. And total sugar content was over 20% in 10 germplasms. Germplasms of different fruit shapes and characteristics will be useful materials for diverse fruit quality breeding.
        96.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alian Ryegrass is a high productivity and feed value, and an upright grass that behaves like a biennial or short-lived perennial. It grows vigorously in winter and early spring. Italian ryegrass and a related species,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are the two common weedy ryegrassses. Italian ryegrass and perennial ryegrass can hybridize, resulting in offspring that are difficult to identify as either species. Ryegrasses are cultivated for turf and forage. Sometimes Italian ryegrass is grown as cover crop. It has the potential to produce high yields and, with proper management, can be high quality with good animal performance. To develop of a high quality, productivity and early variety, 20 varieties examined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The heading date of Green farm with high cold tolerance was on 28 April. Most of Introduced varieties except Grazer have mid and late heading date.
        97.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국 수수 수집종의 작물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부분의 미국 수수 수집종은 200 cm 이상의 큰 초장을 보였으며, 간경 또한 2cm 이상의 값을 나타냈다. 수수 수집종 중에서는 Sweet-N-Sterile(#4)이 가장 우량한 수수의 생장 특성을 보였다. 수수의 DPPH를 이용한 활성 검정 결과, Premium stock(#1), Early Sumac(#7), SS Silage(#9), WGF Grain Sorghum(#11) 4개의 수집종에서 기존의 항산화제인 α-tocopherol과 BHA와 비슷한 활성을 보였고 BHT보다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미생물 실험결과 BMR Gold I(#3)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Escherichia coli에서 125 μg/ml으로 높은 활성수치를 나타냈다.
        99.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넓은잎큰조롱의 경운깊이에 따른 생산성 및 품질향상을 위한 구명하기 위하여 경운깊이를 달리하여 2005년부터 2년간 시험한 결과, 만장은 경운깊이가 얕을수록 길어 경운깊이가 30 cm 일 때 685 cm 인데 비하여 경운깊이 10 cm 일 때 59 cm 가 더 길었으며, 경태와 건물중도 같은 경향으로 굵거나 무거웠다. 엽장, 엽폭, 엽중은 경운깊이가 얕을수록 양적인 생육을 보였으나, 엽록소 함량은 경운깊이가 깊을수록 증가하였다. 근수와 근장은 경운깊이가 깊을수록 많거나 길어지는 경향이었으나, 근태와 부패근은 경운깊이가 얕을수록 굵거나 많은 경향이었고, 근수량은 경운깊이가 깊을수록 많은 경향으로 경운깊이가 10 cm 일 때 622 kg/1000m2인데 비하여 20 cm 이상으로 경운할 때 7~9% 증수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