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2

        82.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고감성 PET 사를 이용하여 생산한 PET 직물은 고감성 의류용 직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감성 의류용 PET 직물은 다양한 공정을 거치면서 장력이나 열 등의 영향을 받음으로서 사의 물성의 변화를 초래하여 감성 의류용도의 PET 직물에 많은 결점을 유발시킴으로서 직물 생산시 공정조건 설정 등의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고감성 의류에 치명적인 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에 관한 감성사 제조시의 공정조건 변화와 관련된 연구논문은 많이 발표가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7개 원사 Maker의 cake내의 Denier 별 PET 사의 물성을 균일한 길이의 Layer를 설정하여 분석, 조사하고 Layer 별 물성 차이와 습·건열 열처리 온도에 따른 사의 수축률 등을 비교함으로서 감성 의류용 직물 생산에 필요한 기초 물성 Data를 제공하고 PET 사의 품질향상을 도모함으로서 최종 감성 의류용 직물 소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4,000원
        83.
        199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able softening water repellents such as PODCW, PDDCW, and PEDCW were prepared by blending cationized polymers, fatty carbamide, waxes, and emulsifiers. The cationized polymers included poly (octadecyl methacrylate-co-2-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ODC], poly (n-dodecyl methacrylate-co-2-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DDC]and poly (2-ethylhexyl methacrylate-co-2-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EDC]. After the PET fabrics were treated with these water repellents, water repellency, softness, and durability of the PET fabrics were examined by various methods : water repellency by the hydrostatic pressure and the contact angle methods, softness by crease recovery and tearing strength, and durability by washability, respectively. Rating of water repellency of PET fabrics treated with PODCW was 80+, but those treated with PDDCW and PEDCW were not high enough to be used in industry.
        4,000원
        84.
        199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DABM and MDAEW, as a accelerating weight loss agents, were prepared by adding water to myristyldimethylbenzylammonium bromide(MDAB) and myristyldimethylethylammonium ethyl sulfate (MDAE) synthesized. As a result of weight loss finishing of the MDABW and MDAEW with NaOH on PET fiber, the ratio of weight loss of MDABW was very larger than that of MDAEW. This result showed that quaternary ammonium bromide had higher weight loss effect than quaternary ammonium sulfate, and the ratio of weight loss was greatly varied with the kind of quaternary ammonium salts used. In these conditions, proper treatment concentration, treatment time, and treatment bath ratio were about 8g/l, 6O~90min, and 40:1~50:1, respectively.
        4,000원
        85.
        199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ctyldimethylbenzylammonium chloride, dodecyldimethylbenzylammonium chloride, and octadecyldimethylbenzylammonium chloride were synthesized to be used as the accelerating weight loss agent. These synthesized compounds were used for the weight loss treatment of PET textile with sodium hydroxide. From the treatments, it was found that the lower carbon number of high alkyl group existed in quaternary ammonium salts, the better effect of weight loss was acquired. The proper concentration of accelerating weight loss agent was 8~10g/l, the proper treatment time was 60~90 minutes, the proper treating bath ratio was 1 : 50. It is proved that n-octyldimethylbenzylammonium chloride and dodecyldimethylbenzylammonium chloride are good accelerating weight loss agent.
        4,000원
        86.
        1992.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섬유 및 다방면의 응용분야에 사용되는 상업용 고분자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PET를 개질하기 위해 pentanediol의 이성질체인 1,5-pentanediol(1, 5-PD)과 neopentyl glycol(NPG)를 제3 monomer로 도입시켰다. NPG를 도입시킨 경우에는 결정화 속도가 감소하고, 1,5-PD로 개질된 PET는 1,5-PD가 약 10mo1% 첨가될 때가지 결정화 속도가 서서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NPG의 branch된 methyl기가 고분자 사슬에 표면으로 확산되면서 결정화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4,000원
        87.
        202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etary Ptecticu tenebrifer powder mixtures as pet dogfeed ingredients on crude fat and ash digestibility. Three groups of feeds Feed A, Feed B, and Feed C supplied from three farms were fed to a total of 45 dogs. The dietary Ptecticu tenebrifer powder mixture were prepared by mixing 25 g of Ptecticu tenebrifer powder with 100 g of canned food. Feed A, Feed B, and Feed C containing dietary Ptecticu tenebrifer powder mixtures were fed to 15 dogs of each breed of bichon, poodle, and chihuahua that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ollowing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For measuring the crude fat and crude ash digestibility, manure of each dog breed from each group were collected. Crude fat digestibi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dog breeds fed with feed C (p>0.05), but overall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feed and the group by dog breed (p<0.05). In terms of crude ash digestibility, the three types of feed showed differences with respect to dog breeds (p<0.05). However, the gro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Feed B by dog breed (p>0.05). In conclusion, feeding Ptecticu tenebrifer powder mixture to dog breeds had no positive effect on the crude fat and ash digestibility and can be used as pet dogfeed ingredients.
        88.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섬광결정과 광센서의 정렬 오차가 TOF-PET 검출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한 쌍 TOF-PET 검출기는 3 mm × 3 mm × 20 mm 체적을 갖는 LYSO 섬광체와 3.07 mm × 3.0 7 mm 크기의 GAPD 광센서로 구성된다. 아날로그 출력신호는 증폭 및 균일도 보정이 수행되었고, 오실로스코프 기반 데이터 획득 장치에서 신호처리되었다. 각 검출기 정렬 오차는 0.0 mm, 0.5 mm, 1.0 mm, 1.5 mm 를 각각 적용하여 총 16단계의 정렬 오차를 발생시켰다. 검출기 정렬 오차가 증가함에 따라 광절정위 치는 약 400 mV에서 약 250 mV로 감소하였다. 또한, 에너지분해능은 11.6%에서 16.2%로, 시간분해능은 477 ps에서 632 ps로 저하되었다. 이 결과는 검출기 정렬 오차가 TOF-PET 검출기 성능저하에 큰 영향성을 내포함을 시사한다.
        89.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 층의 섬광체와 각 층별 서로 다른 반사체의 사용과 섬광체와 감마선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 빛 신호 를 측정하기 위한 광센서로써 실리콘광전증배관(Silicon Photomultiplier, SiPM)을 사용하여 반응 깊이를 측정하는 검출기를 개발하였다. 층별 섬광 픽셀의 반사체의 종류를 다르게 사용함으로써 획득한 신호를 바탕으로 영상을 재구성할 경우 모든 섬광 픽셀이 서로 다른 위치에 기록되는 특징을 활용하여 섬광 픽셀과 감마선이 반응한 위치를 추적하였다. 아래층은 거울반사체를 사용하였으며, 위층은 난반사체를 사용하여 SiPM에서 획득되는 신호의 크기를 다르게 처리하였다. 섬광체 사이와 SiPM과 연결되는 부분은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광학 그리즈를 사용하여 급격한 굴절률 변화를 감소시켰다. 16개의 SiPM에서 획득한 신호는 앵거 방정식을 사용하여 4개의 신호로 감소시켰으며, 이를 사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두 층으로 구성된 모든 섬광 픽셀이 재구성된 영상에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섬광 픽셀과 감마선이 반응한 층을 구분할 수 있었다. 서로 다른 반사체를 사용하여 두 층의 반응 깊이를 측정하는 검출기를 전 임상용 양전자방출단 층촬영기기에 적용할 경우 관심 시야 외곽에서 나타나는 공간분해능의 저하 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90.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촬영 조건의 CT 감쇠 지도가 PET 영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kVp와 mA 조건에서 Uniformity phantom 영상의 신호 강도 (SI; Signal Intensity)와 표준 섭취율 계수 (SUV; Standardized Uptake Value)를 측정하고, CTDI(Computed Tomography Dose Index)를 통해 각 조건에 따른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조건에서 Resolution phantom의 반치폭 (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측정하여 CT의 kVp와 mA에 따른 PET 영상의 화질 변화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CT의 촬영 조건은 PET 영상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T의 촬영 조건이 감소하게 되면 방사선 피폭이 감소하게 되지만 영상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향후 진단이 가능한 CT 화질을 유지하면서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PET/CT; Positron Emission Tomograph y / Computed Tomography)의 촬영 조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되어야 할 것이다.
        91.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리콘광전증배관(Silicon Photomultiplier, SiPM)과 두 층의 섬광 픽셀 배열을 이용한 반응 깊이 측정 검출기를 설계하였으며, 위치 측정 능력을 DETECT2000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섬광 픽셀의 면 처리와 반사체 조합을 통해 섬광 픽셀과 감마선이 반응한 위치를 추적하였다. 아래층은 광학적으로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 반사체로 처리하였으며, 위층은 가장 외곽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처리하여 빛의 공유가 아래층에 비해 자유롭도록 구성하였다. 거울반사체와 난반사체, 섬광 픽셀의 거친 면과 매끈한 면의 조합을 통해 평면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층별 영상이 생성되는 위치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앵거 알고 리듬을 사용하여 SiPM의 16채널 신호를 4개의 채널로 감소시켜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섬광 픽셀의 거친 면과 모든 반사체 조합에서 두 층으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매끈한 면일 경우에는 모두 층 구분이 불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거친 면의 섬광 픽셀과 반사체 조합을 사용한 검출기를 사용할 경우 전임상용 PET에서 반응 깊이 측정을 통해 검출 시야 외곽에서의 공간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92.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이중 시간 PET/CT 검사에서 지연검사 시간이 다른 두 그룹의 40명의 췌장암 환자에 대한 SUV 데이터의 통계 분석을 통해 최적의 지연검사 시간을 제시하였다. 췌장암의 유무를 확인해야 될 이중 시간 PET/CT 검사에서 새로운 수학적 예측 모델을 만들어 정확도 높은 최적의 지연검사 시간을 제시하였다. 시간에 따른 포도당 대사를 적용한 방사능 붕괴식을 예측 모델로 제시하였다. 지연검사 시간이 다른 두 그룹의 데이터를 가지고 시뮬레이션한 결과 PET/CT에서 췌장암 판별을 위한 최적의 지연검사 시간이 131. 5분으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지연검사 시간은 췌장암 결정에 적용될 수 있는 통계적 유의 수준을 보였다(p <0.05). 제안된 지연 검사 시간 131.5분을 결정하여 검사를 진행할 때, 췌장암 조기 판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93.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파장변이섬유를 사용한 새로운 반응 위치 측정 양전자방출 단층촬영기기 검출기를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섬광체 2개와 파장변이섬유 3개를 사용하고, 파장변이섬유 끝에 센서를 부착하여 최적화 모듈을 설계하였다. 섬광체와 파장변이섬유 및 센서를 연결시키는 연결물질과 섬광체와 파장변이섬유의 반사체 물질에 따른 센서에서의 빛 수집율 및 센서별 빛 수집 비를 통해 최적의 조합을 도출하였다. 연결물질은 에폭시를 사용하고 반사체 물질은 섬광체와 파장변이섬유에서 각각 난반사체 및 거울반사체를 사용한 조합에서, 가장 높은 빛 수집율과 센서별 빛 수집 비를 보였다.
        94.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블록형 섬광체와 픽셀형 섬광체를 이용한 반응 깊이 측정 검출기를 설계하였으며, 층 구분 능력을 DETECT20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블록형 섬광체를 사용하여 민감도를 향상했으며, 반응 깊이를 측정함으로써 공간분해능을 향상했다. 위층은 블록형으로 아래층은 픽셀형 섬광체를 위치시켜 감마선과 반응한 섬광체에서 발생한 빛의 분포를 변화시켰으며, 변화된 빛의 분포의 채널별 신호 특성 분석을 통해 반응 깊이를 측정하였다. 아래층을 픽셀형 섬광체로 구성하여 평면 영상 획득 시 위층의 블록형 섬광체에서도 픽셀형 섬광체의 위치와 비슷한 곳에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앵거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16채널의 신호를 4개의 채널로 감소시켜, 신호 특성 분석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층 구분은 간단한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층별 약 84%의 측정 정확도를 보였다. 본 검출기를 전임상용 PET에서 사용할 경우 반응 깊이 측정을 통해 검출 시야 외곽에서의 공간분해능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95.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의료용 사이크로트론은 방사성의약품을 생산하기 위해 양성자를 고속으로 가속시켜 핵반응을 일으키게 되며, 핵반응을 통해 불필요한 중성자가 발생하게 된다. 중성자는 사이클로트론의 부품에 방사화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종사자들의 피폭의 원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핵반응이 일어나는 Targetry 부품들인 Aluminum body, Silver body, Havar foil의 방사화 정도를 분석하여 피폭선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Aluminum body와 Silver body는 방사화된 핵종들의 에너지가 작고, 반감기가 짧아 종사들에게 미치는 선량이 미미하였으며, 재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Havar foil의 경우 방사화된 핵종들의 에너지가 높고 반감기가 길어 종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았으며, 방사성폐기물로써 특별한 관리가 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96.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shear performance of the hollow slab was evaluated through experiments with the web width and volume fraction of steel fiber as variables. The lung pet bottles were used as a hollow materials. The results showed a performance difference of 19.4 to 52.3% depending on the web width, and a mixture of steel fibers showed a higher shear performance of 4.8 to 33.7%.
        97.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emotional effects of pet plants, which have become popular in recent years. A questionnaire regarding perceptions of these indoor plants was administered to 78 university students. Thirty of these students took care of two species of pet plants for 90 days, and the emotional effects of this exercise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words used in their daily records. The questionnaire results showed that the general recognition of emotional effects was low, though awareness of the term "pet plants" was high. However, after gardening for 90 days, participants began to consider their pet plants friends or family members, noting feelings of affection and sympathy in their daily writeups. These participants also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their emotional well-being, including feelings of joy, hope, relaxation, confidence, and accomplishment. This study argues that pet plants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stability and suggests that their adoption would be beneficial to humanity at large.
        98.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간 환자의 간내 18FDG 섭취율과 CT 계수값(Number)의 관련성을 연구하여, 지방간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기초 정보 제공을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데이터는 2014년 1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서울소재 N 종합병원에 내원하여 PET-CT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방간일 확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5배 높았으며(p<.05), 간의 우측, 중간, 좌측에서 18FDG 섭취율이 각각 1.000배이상 증가하고(p<.05), CT 계수값은 각각 0.93배, 0.88배, 0.92배 감소하였다(p<.05). 결론적으로 18FDG 섭취율과 CT Number값의 지방간 유무에 따른 유의미한 변화는 지방간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신뢰할만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방간 예측성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99.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rapid growth of the one-person households, this study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pet plant gardening, one of the new trend of gardening among them. To clarify the psychological influences of pet plant gardening, 30 university students conducted gardening of pet plants in 90 days and the psychological effects was measured by the standardization personality inventory test before and after gardening. As results, pet plant gardening showed the effects of decreasing depression feeling of all participants, and the effects was significant in female than male. Pet plants gardening led to change females' personality more actively and more leadingly. Therefore, this data verified the positive effects in psychologically and induced personality showed pet plants gardening induced the positive effects the aspects of psychology and personality.
        100.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68Ga 방사성 핵종은 68Ge/68Ga 제너레이터에서 생산되는 양전자 방출핵종으로서 PET 검사에 이용되는 방사성 핵종이다. 68Ga은 67.8분의 반감기를 가지고 88.9 %의 β+ 붕괴와 11.1 %의 전자포획으로 68Zn으로 붕괴된다. β+ 붕괴 과정에서 87.7 %는 기저상태의 68Zn로 붕괴되며, 1.2 %는 여기상태의 68Zn로 붕괴된다. 여기상태의 68Zn은 1.077 Mev의 γ선을 방출하며 기저상태의 68Zn가 된다. 이때 방출되는 1.077 Mev의 γ선을 Prompt Gamma라 하며, Prompt Gamma-ray가 환자와 상호작용하게 되면 저에너지 γ선의 산란선이 발생되게 되는데 이 산란선이 PET의 동시계수 회로에 검출되어 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68Ga을 이용하는 PET검사 중 신경내분비 종양진단에 사용되는 68Ga-DOTATOC PET/CT영상에 Prompt Gamma-ray 보정 전 후의 표준섭취계수(SUV)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68Ga-DOTATOC PET/CT를 시행한 15명의 환자에 대해서 병변부위(Pancreas, Liver, Thoracic Spine, Brain)와 정상으로 섭취되는 조직(Pituitary, Lung, Liver, Spleen, Kidney, Intestine)의 SUVmax와 SUVmean을 비교하였으며, 임상영상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Target to Background Ratio(TBR)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Prompt Gamma-ray 보정 후 Thoracic Spine을 제외한 병변부위와 Pituitary를 제외한 정상조직에서 SUVmax, SUVmean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TBR은 Prompt Gamma-ray 보정 전 후 각각 51.51±49.28, 55.50±53.12로 보정 후 높은 값을 나타냈다. (p<0.0001)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