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2

        81.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sign the optimal escape vent for the coon strip shrimp pot, the tank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e model pot of five different slit height and slit width, respectively. The optimal height and width of escape vent were determined to 20mm and 40mm by tank experiments, respectively. These were determined by the 50% selection carapace length which was denoted to 25mm in selectivity curve. The escap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a number of escape vent with the original shrimp pot to be set the designed escape vent from 2 vents to 10 vents increasing at intervals of 2 vents in tank. The optimal number of escape vents denoted 8 vents. Therefore, to apply the escape vent in commercial shrimp pot will be efficient to reduce small size shrimps to catch.
        4,200원
        83.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lope length and angle at the entrance to fishing pots on the size of captured shrimp was examined to determine the optimal design of pots for use in Hokkaido, Japan.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optimize the design of shrimp pots to allow greater control over the size of captured individuals for the purposes of shrimp resource management. Tank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slope length and slope angle by analyzing the sizes of shrimp entering 10 model pots with combinations of five different slope lengths on slope angle of current shrimp pot, and five different angles on slope length of current shrimp pot.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slope length of the pot increased, the size of individuals which entered the pot increased. In addition, as the slope angle was elevated in each of the five different slope angle treatments, the size of individuals entering was also increased.
        4,000원
        85.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crease pot life in the formulation mixed with bisphenol F epoxy resin, anhydride-based curing agent, and imidazole-based curing accelerator powders as a paste material for high-speed RFID chip bonding, size variation of the imidazole-based powders and a coating method of the powders were adopted in this study. In experiment with regard to the size variation, the pot life was not outstandingly increased. Through the idea using the coating method, however, the pot life was increased up to 4.25 times in comparison with the addition of initial imidazole-based powders. Consequently, successive bonding of RFID chip could be performed with very short time of 5sec using the suggested formulation having improved pot life.
        4,000원
        86.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몇 수종을 대상으로 한 용기 양묘에서 폐암면 혼합 배지 이용 시 폐암면과 다른 배지의 혼합 비율에 따른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폐암면 혼합 비율에 따른 소나무의 생육 특성에서 생체중, 건물중 및 수고는 50% 와 70% 혼합배지에서 기장 좋았지만 원줄기 직경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비자나무에서 생체중과 수고는 70% 혼합배지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원줄기 직경과 신초수는 50% 와 70% 혼합배지에서 많이 증가하였다. 상수리나무에서 생체중, 수고 및 원줄기 직경은 50%와 70% 혼합배 지에서 좋았고, 건물중은 혼합배지와 대조구간 차이를 나타났으나 혼합 비율간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잎의 엽록소 함량도 70% 혼합배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광합성도 가장 활발하였다. 들메나무에서 생체 중은 70% 혼합배지에서 월등히 많이 증가하였지만, 수고와 원줄기 직경은 폐암면 혼합배지와 대조구 간 차이만 나타나고 혼합 비율간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잎의 엽록소 함량은 처리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혼합 배지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광합성은 70% 혼합배지에서 아주 활발하였다.
        3,000원
        87.
        200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study the catch situation of the octopus pot fishery in the coastal waters of Gangneung, catch quantities and weight per month and depth, the soaking time & loss of fishing gear were studied based on 62 fishing times (1 set consisted of 150 pots which is equivalent to 1 fishing time) over a period of 10 months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3 using commercial fishing vessels and training ships. The monthly CPUE was generally high in the months of june - September, and during this period July showed the highest quantity (134g/pot, 19.21kg/haul).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octopus below the weight of 2kg is protected in foreign countries, the majority of the catch was small with 76% (486 octopuses) below 1kg. The octopus catch quantity was high in depth of more than 40m, and the average catch number per set of pots in depths of over 50m was the highest with 13 octopuses. CPUE(g/pot) was the highest at a depth of over 60m recording 101. In terms of catch quantity per soaking time (4-18 days) the highest was on the 7th day, and 13-18 days also recorded high catches, and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ghost - fishing with the loss of fishing gear. Loss of fishing gear was the highest in terms of loss frequency and amount at depths of 20-30m. Consequently, it seems that octopus pot fishing at depths of more than 30m would relieve friction with other types of fishing and increase fishing efficiency.
        4,000원
        88.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품질 분화생산을 위한 저면관수 시스템인 C-형강 매트재배 시 수용성 비료와 완효성 비료의 농도에 따른 카네이션의 생육을 연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용성 비료를 0.8~1.0 g·L-1 처리한 T08 처리구에서 생체중, 건물중, 엽수, 엽면적, 초장, 분지수의 생육량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생체중, 건물중, 및 초장의 증가에 있어서 증가량에서의 차이는 있었지만 생육 60일을 전후로 비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증가량이 늘어났다. 특히 총 엽면적은 경우 생육 90일을 전후로 증가가 완만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C-형강 매트 재배시스템에서 분화용 카네이션을 재배할 경우 수용성 비료를 공급하는 것이 완효성 비료를 공급하는 것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수용성 비료의 농도는 0.8~1.0 g·L-1이 카네이션의 재배에 적정한 농도로 판명 되었다.
        4,000원
        93.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을 사용하는 통발어선이 연간 유실하는 통발의 개수는 통상 조업시 시용하는 통발의 2~4배인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통발의 유실은 보통 조업중에 발생되므로 어구의 유실과 함께 어획물의 손실도 발생하게 된다. 어획불과 미끼가 들어있는 유실된 통발 은 붕장어뿐만 아니라 다른 해양 생물을 유인하여 어획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유실된 붕장어 통발에는 어류, 갑각류, 두족류 등이 들어있었고, 이들 가운데는 붕장어의 먹이가 되는 베도라치, 청보리멸, 양태, 붉은메기와 새우류 등이 어획되어 있었다. 따라서 조업시 어획된 붕장어 이외에도 붕장어가 이들 통발 속에 들어있는 어획물을 섭이하기 위해 통발에 들어가므로서 추가적인 Ghost fishing의 가능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4,000원
        94.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가지과 작물의 염 스트레스에 대한 생장 특성 및 생리적 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생육단계에 따라 NaCl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초장, 생체중 등 생육은 유묘기 및 영양 생장기 모두 NaCl 농도가 높을수록 모든 작물에서 억제되었다 특히 토마토 및 가지에서는 NaCl 40mM 이상에서, 그리고 고추에서는 20mM 이상에서 작물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다. 수량은 토마토 및 가지에 서는 NaCl 20 mM 이상에서, 그리고 고추에서는 10 mM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수량감소는 낮은 농도에서는 착과수의 감소에, 그리고 농도가 높을수록 착과수의 감소와 더불어 평균과중의 감소의 영향이 컸다. 광합성 속도는 NaCl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고추가 가장 낮았고, 토마토, 가지 순으로 낮았다. 잎의 수분포텐셜과 기공 전도도도 광합성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경엽의 무기 양분 함량에서는 질소, 인산,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함량은 NaCl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Na 및 Cl 함량은 증가하였다.
        4,000원
        95.
        200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붕장어 통발 어업에 있어서 침지 시간과 어획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안 통발 조업선을 이용하여 2002년 3월 15일부터 2002년 4윌 7일 사이에 실시한 시험 조업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1. 침지 시간 3시간, 6시간 그리고 12시간에서 평균 어획은 각각 44.6마리/60개, 60.0마리/60개 및 81.3마리/60개였고, CPUE(catch number 10pots·hour)는 3시간, 6시간 그리고 12시간의 침지 시간에서 각각 2.5마리, 1.7마리 및 1.1마리로 나타났다. 2. 침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잔존 미수의 변화는 24시간과 48시간 사이에서 11.3%, 48시간과 72시간 사이에서 3.3% 로 침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잔존 미수의 변화를은 감소했다. 3. 12시간까지의 침지 시간에서 혼획률은 매우 낮았다(1.5-3%). 그러나 24시간 이상의 긴 침지 시간에서는 침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혼획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붕장어에 대한 미끼의 유인 효과는 통발의 설치 후부터 곧바로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미끼의 상태에 따라 어획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6.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host fishing으로 추정되는 유실된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에 어획된 붕장어의 섭이 상태와 개체의 성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통발 조업선에 어획된 붕장어와 트롤 그물에 어획된 붕장어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어획된 붕장어의 평균 전장은 연안 통발 조업선과 시험 조업에서 어획된 것이 33.6cm, 트롤 그물에 어획된 것이 48.9cm 그리고 수거된 유실 통발에 어획된 것이 45.6cm이었다. 이러한 체장의 분포는 붕장어가 성장하면서 연안에서 외양으로 나간다는 사실과 일치한다. 위내용물 조사에서 먹이를 섭이하지 못해 위내용물이 전혀 없었던 붕장어의 비율은 통발 조업선 5.0%, 트롤 4.2% 그리고 유실 통발 87.6%로 유실 통발에서 17~20배 높게 나타났다. 먹이로써 어류를 섭이한 붕장어의 비율은 통발 조업선이 98.7%, 트롤이 78.8% 그리고 유실 통발이 63.3%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먹이 생물은 갑각류와 두족류 등이었다. 순체중과 전장을 이용하여 계산한 비만도는 트롤 어획물이 1.514이고, 유실 통발 어획물이 1.292로서 약 15%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자료에 대한 공 분산분석에서 실시한 t검정 결과 5% 유의수준에서 위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7.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쇄된 산업용 polyurethane(PUR) 입자와 cellular glass foam(CGF)을 다른 배지재료와 혼합하여 분국화 재배용 배지로 재활용 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PUR, CGF, 피트모스, 코이어, 그리고 펄라이트를 여러 가지 부피비로 혼합하여 태운 직경 loom화분에 분국화 'Pink Pixie Time' 재배하였다. PUR은 약8mm로, 그리고 CGF는 약 4mm크기로 파쇄된 것을 사용하였다. 재배전 배지의 pH와 EC를 조사하고, 삽수 정식후 34일과 97일에 생육조사를 하였다. pH는 5.0에서 6.3사이로 안정적이었지만 코이어가 혼합된 처리에서 다소 높았고 EC도 코이어가 혼합된 처리에서 높았다. 펄라이트와 CGF단용에서 다른 배지에 비해 용기용수량이 낮았지만 피스모스와 코이어 혼합배지에서는 그 값이 보완되어 다른 배지와 유사한 용기 용수량을 나타내었다. 정식후 34일에 조사된 초장은 CGF가 혼합된 처리에서 컸고, 엽수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PUR이 혼합된 처리는 다른 처리에 비교해 생육이 다소 저조하였고, 잎끝이 마르는 장해현상도 보였다. 정식후 97일에 조사한 분국화의 생육도 34일에 조사한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피트모스와 CGF의 혼합처리와 코이어와 CGF의 혼합 처리에서의 분국화의 생육은 펄라이트를 피트모스나 코이어와 혼합한 처리에서의 분국화의 생육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거나 오히려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UR을 혼합한 처리에서의 분국화의 생육은 다른 처리에서의 생육보다 저조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PUR의 혼합비율에 비례하여 잎끝이 마르는 장해현상이 심해졌다. 엽록소 농도와 뿌리의 생체중은 모든 처리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4,000원
        98.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1996년 8월부터 2002년 1월까지 우리나라에서 붕장어를 어획하는 대표적인 어구인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이 바다 속에 어느 정도 유실되거나 버려져 있는지를 조사하고, 이들 통발에 의한 Ghost fishing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유실되거나 버려진 통발의 수는 조사가 이루어진 해구에서 평균 34개/ km2 나타났으며, 106해구에서 94개/ km2로 가장 많았고, 113해구에서 5개/ km2 가장 적었다 수심에 따른 분포에서는 61~70m의 수심대에서 89개/ km2으로 가장 많았고, 130m 이상의 수심에서는 수집되지 않았다. 이들 통발에 의한 Ghost fishing의 평균 어획률은 8.1%였고, 224해구에서 어획률이 25%로서 가장 높았고, 92, 110, 243 및 253해구에서는 어획이 없었다. Ghost fishing을 하고 있는 통발의 수는 99해구에서 14.2개/ km2 추정되어 가장 많았다. 수심에 따른 어획률은 71~80m에서 20%로 가장 높았고, Ghost fishing을 하고 있는 통발의 수는 81~90m에서 12.7개/ km2로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Ghost fishing에 의해 어획된 붕장어의 체장 분포는 25.5cm~66.0cm였다.
        4,000원
        99.
        200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장어 통발어선 자동화 조업장치 개발의 첫 단계로서 통발을 모릿줄에 기계적으로 연결, 분리할 수 있는 장치인 집게식 통발연결장치 및 통발자동분리장치를 개발하여 해상성능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집게식 통발연결장치가 무른 꼬임 트와인 고다리 및 된 꼬임 트와인 고다리에 각각 연결되었을 때, 그 사이의 최대 인장하중은 각각 1379 N및 1,603 N 이었다. 2. 집게식 통발연결장치에 대한 해상성능시험 결과 성능이 양호함을 확인하였으며, 통발 회수율은 100% 이었다. 3. 통발자동분리장치에 대한 해상성능시험 결과 성능이 양호함을 확인하였으며, 통발 분리율은 100% 이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