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7

        81.
        201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s a research on the Korean immigrant village and house in Yeonbyeon Long-Shan village in China. The house (so called Minga in Korean), which was studied in this paper, is the vernacular architecture of dwelling for the rural people in this area. It is the most common dwelling type. We can find Korean vernacular influences on the architecture in this area by the Korean-Chinese people. Long- Shan village is laid out with the so called Bae-san-im-su way which means that to the north of the village are mountains, Moa mountain a branch of Baekdu Mountain (白头山), water, Haeran river (海兰江) to the south. The main axis of village layout is made of two roads. The village is mainly developed along the east-west main road follows the southern creek. The other axis is north-south main road and other sub roads branch out from it. The sub roads serve as the transition between main road and the allies, which are the access to individual houses. The main building is usually laid on the northern side of the individual site with garden attached in south. The main entry is usually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the separate service buildings are between the main building and the entry. This also relates to the kitchen location in the main building. Usually the kitchen is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most frequently related with separate service building in function.
        4,000원
        82.
        201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rural economy and vigorous promotion of energy-saving technologies, it is found through a field investigation that the new rural housing in the northeast of China shows new changes on green, energy-efficiency, health, comfort and beauty. The new rural housing mainly applied the technologies of composite energy-saving wall, double or three layers of glass energy saving windows and the roof benzene board insulation,heated in winter by Kang with the fuel of straw, corn stalks and other bio energy, which brings prominent energy-saving effect and the improved indoor environment significantly. The only or main function of the Kang is no longer the heating facilities in winter, but to play its unique benefits of comfort and health for sleep as a bed. the highlights of cultural traditions and customs in Cold rural area, the changes of the Kang are smaller and more exquisite. In the future, northeast rural housing should integrate the technolgies of residential structures, materials and kang further to promote rural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economy.
        4,000원
        8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강변에 인접한 농촌마을의 관광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농촌마을 계획에 있어서 자연 ․ 생태 및 역사 ․ 문화에 대한 전문적인 고려 없이 현대적인 정비가 성행하고 있어 우수한 농촌 어메니티자원의 질을 저해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농촌 어메니티 자원의 발굴 및 개발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농촌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 마련의 기본단계로 수변 농촌마을 공간계획에서도 수변 마을의 환경적요인을 고려한 농촌 어메니티 자원의 활용방안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변에 인접한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농촌 어메니티 자원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공간계획대상지 선택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선정된 대상지의 공간계획은 Porter의 지역클러스터 경쟁력 모형 전략을 바탕으로 수행되었다.공간계획 대상지는 영산강에 인접한 나주시 다시면 회진리로 선정되었으며 Poter의 지역클러스터 경쟁력 모형 분석결과 도출된 공간계획 방향인 ‘자연 및 역사 문화 감상을 위한 농촌관광 마을’을 바탕으로 수변공간, 자연 ․ 생태공간,역사 ․ 문화공간으로 구분하여 계획하였다. 각 공간은 농촌 어메니티 자원과 관련하여 나루터, 습지식물원, 천연문화염색관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이와 같은 농촌 수변 마을 공간계획을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농촌 지역 개발을 활성화 시킬 뿐만 아니라,공간계획 시 농촌마을이 보유하고 있는 어메니티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4,300원
        84.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마을의 입구에 있는 연꽃방죽은 친수환경적인 경관창출과 레저․휴식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요소이다. 또한 농촌어메니티 활성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하고 전남 강진군내 3개소의 연꽃방죽의 특성과 기능 및 의미를 문헌조사와주민 인터뷰 그리고 현장조사를 통하여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대상지 세곳의 연꽃방죽은 모두 마을 초입에 조성되어 비보 ․ 풍수적 기능을 하며 형국이나 전설과 관련하여 白蓮地, 鼈蓮池, 杏蓮池의 명칭이 부여되었다.방죽의 수체계는 뒤산의 개울 또는 공동 샘물과 우수를 수원으로 하여 지하수로를 통해 연꽃방죽에 집수되어 여과,침전, 미소동물 및 수생식물에 의한 생물학적 정화과정을 거친 다음 농수로를 통해 최종적으로 농경지 및 하천으로유출되는 구조를 가졌다.마을 식수원인 공동샘과 약 100m 떨어진 곳에 조성되었고 수심 1.2~1.5m인 소택지로서 샘과 관련한 상징적 ․ 생태적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세 곳의 연꽃 방죽은 모두 배롱나무, 소나무, 동백나무, 오죽 등이 식재된 중도가 조성되었다. 하지만 현재 원형을유지하고 있는 곳은 백련지 뿐이고 별연지나 행연지는 치수 및 물량위주의 농어촌지원사업의 여파로 형태의 변형 및크기가 축소되었다.농촌의 연꽃방죽은 경관창출 및 레저휴양 기능 공간이자 어메니티(amenity) 자원으로서 매우 소중한 자원이며 보전복원대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연꽃방죽은 과거 우리 조상으로부터 대대로 이어져온 우리의 농촌문화경관요소이며 공동체적 산물로 재조명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4,000원
        8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 주변의 전통 소나무숲을 선정하여 숲의 구조와 생장실태를 조사하고, 양호한 생장과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 소나무숲은 강원도 영서지역에 분포하는 12개소를 선정하였다. 숲의 조성시기는 개소별로 최소 50~최대 200년 전이었고, 소나무의 평균 흉고직경과 밀도는 각각 27~52cm, 0.5~9.3주/100m2이었다. 생장기반인 토양환경은 소나무 생장에 대개 양호한 편이었으나, 토성이 사토로서 보비력이 낮은 2개소의 경우 토양양분이 현저하게 낮았다. 일부 숲은 복토, 답압 등으로 인해 근계생장 장해에 따른 수세저하가 나타났다. 수간의 수피탈저 및 공동피해가 6개소에서 발생하였고, 그 원인은 인위적 외상, 전정 부주의, 동해 등이었다. 병해는 그을음잎마름병, 갈색무늬병 등이 6개소에서 발생하였고 피해정도는 경미하였다. 충해의 경우는 솔잎혹파리에 의한 피해로서 피해정도는 6개소에서 경미하였으나, 2개소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현저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대상 소나무숲의 생장저해를 야기하는 주 요인은 양분부족, 복토 및 답압, 수간훼손, 병충해 등이었다. 이들 원인별 문제점을 개선하여 해당 소나무숲을 보전할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관리방안은 유기물과 석회 시용, 복토 제거, 토양굴기와 자갈포설, 목도설치 또는 우드칩 포장, 목책 및 보호틀 제공, 수간 외과수술, 수세강화, 수간주사 등 생장환경을 개선하거나 수간훼손과 병충해를 제어할 대책을 포함하였다.
        4,000원
        8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촌지역 발전 및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추진된 정부의 다양한 정책 및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현재 추진 중에 있는 농촌지역개발사업 중 대표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분석대상 사업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경남 2개 권역과 전남 2개 권역을 사례연구대상권역으로 선정하였다. 사업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사업추진에 있어서 각 지역유형별로 명확한 구분을 통해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지역특성별(농촌지역, 중산간지역)로 주민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 및 추진과정에서의 만족도 등은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농촌지역 2개 권역 주민들이 중산간지역 2개 권역 주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업 추진 전반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많이 표출하였다. 향후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주민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 서로 돕고 협력하는 마을 공동체 의식의 복원, 바람직한 리더 육성, 실효성 있는 마을 규약 마련, 개방적·포용적 자세로의 전환과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추진 및 운영방법의 현실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or plan types of folk houses or traditional vernacular dwellings found in Nagan Folk Village located in Joellanamdo province. Examining the floor plans appeared among 36 vernacular folk houses presumably built in the 19th century in the village by means of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bays of Anche, the mail block of the house, the study was also able to construct a spatial compositional process of floor plan development. The floor plan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basic floor plan type in Nagan folk housing was 'ㅡ' shape, a typical southern dwelling based o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This basic type is consisted of three bays or rooms: Jeongji (kitchen), Anbang (large room), and Jageunbang (small room). New spaces or rooms are added to this three room house to expand the house as the residential functions become more complex, such as more living and storage spaces. The expansion appears to have two direction. On the one hand, it has been taken place by inserting Marea, an open wooden floor living space between Anbang and Jageunbang to meet the extended living demand. On the other, Jeongjibang, a second kitchen/storage has been attached to Jeongji outward for extra cooking and storage. This two-way expansion shows the trend of symmetric expansion between cooking, storing space and dwelling space. It can be implied that the arrangement of house rooms has been structurally formulated and shared by the farmer-builders in the 19th century in Nagan village who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fixed images for housing.
        5,800원
        8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은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소재한 대리, 시목리, 가덕리 등 전형적인 농촌마을을 대상지로 하여 수행하였다. 대상지를 중심으로 가치 있는 생태 ․ 문화적 자원이 존재하고, 다양한 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대상지가 보유한 입지의중요성 및 잠재력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계획은 이러한 다양한 기회요인을 토대로 황새와 함께 만드는 농촌생태마을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그에 부합되는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계획내용으로는 황새복원센터의 배후지역에 대한 황새의서식환경조성을 위한 시목천 생태하천정비사업과 친환경농업 기반시설인 관정 및 농수로 정비, 친환경비료 생산시설,농산물 건조 및 저장시설의 설치와 방문객의 농촌체험 유도를 위한 체험센터 및 소규모가공시설 등이 있다. 본 계획을통해 대상지내 친환경이미지 제고, 지역경제활성화,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이 기대된다.
        4,000원
        9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방화 시대를 맞아 전통문화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복원, 전승노력 등이 활발해 지면서 전통한옥의 자원화를 통한문화관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전통한옥마을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 할 것으로보인다. 전남은 한옥관련 시책은 추진하고 있으나 관광자원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발굴 및 자원화 개발전략 수립 등이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전통한옥과 한옥마을이라는 문화자원을 활용한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한옥마을 관광자원화활성화방안은 관련 문헌연구, 현지조사, 2차 자료 분석, 해외선진사례연구의 연구방법을 통해 운영 실태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전통한옥마을의 운영 실태와 시사점을 도출해 관광자원화를 위한 활성화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한옥마을 특성에 맞는 핵심소재 발굴이다. 둘째, 관광수요자 중심의 체험프로그램 개발이다. 셋째, 한옥마을 관리운영을위한 인력과 조직의 운영관리 체계화이다. 넷째, 다양한 정책지원 요건 구비이다. 다섯째, 홍보와 마케팅 강화이다.여섯째, 한옥마을 운영 표준화 매뉴얼 작성이다.
        4,200원
        91.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외래종은 본래 인위적인 국경선에 관계 없이 천연분포지 이외에서 들어온 종을 의미하나, 일반적으로 원산지가 우리 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이면서 현재 우리나라에 식재되었거 나 야생하는 경우를 말하며(임동옥·황인천 2006), 그 중 우 리나라 자연생태계에 정착하지 못한 종은 ‘도입종’ 혹은 ‘비 토착종’이라 하고, 우리나라의 생태계로 유입되어 현지의 기후와 풍토, 기존 집단에 서식하는 미생물등의 자연생태와 조화를 이루어 번식하여 생존할 수 있는 종을 ‘귀화종’이라 한다(류새한 2009). 현재 우리나라에서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마을 은 사적 1건, 중요민속자료 6건으로 총 7건이 있다. 이 중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위치한 하회마을은 1984년 1월 14 일 중요민속자료 제122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또한 2010년에는 경주양동마을과 함께 한국의 역사마을로 유네 스코(UNESCO)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보존가치는 더욱 높 아졌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하회마을과 같은 전통마을의 보 전은 기존의 단일 건축물 보전은 물론 주변 환경을 포함한 면적을 보존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주민들이 실제로 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생활환경을 보존한다는 점에서 다른 문화재 보존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김홍기 2008). 한편, 이러한 민속마을에 대한 외래종의 침입은 기존 생 태계의 구조·기능 및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켜 자생종의 감 소를 초래하며(Walker·Vitousek 1991), 고유의 경관을 파 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외래식물의 왕성한 번식력은 국가의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중요 요인으로 국 제 교류가 활발한 우리나라에 있어서 고유의 향토 식생경관 이미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안동 하회마을의 식물상 조사를 통하여 외래식물과 귀화식물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전통문화공간의 보전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1. 조사대상지 본 조사는 2011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으며, 대상 지인 안동하회마을(중요민속자료 제 122호)은 경상북도 안 동시 풍천면 하회리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마을 내에는 현 재 총 127가옥이 있으며 437개동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중 12개 가옥이 보물 및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어있다. 2. 조사방법 식물의 동정은 대부분 현지에서 이루어졌고, 동정이 어 려운 식물은 채집 후 이창복(1980; 2003)의 문헌을 바탕으 로 동정하되 국가표준식물목록(국립수목원·한국식물분류 학회 2007)에 따라 작성하였다. 외래식물은 국립환경과학 원(2004)에 의해 정리하였으며, 귀화식물은 박수현(2009) 에 의해 정리하였다. 또한 Numata·Kotaki(1975)에 의한 귀 화율(Natualized Index; N.I=조사지역 귀화식물 종 수/조사 지역 관속식물 종 수 × 100)과 임양재·전의식(1980)에 의한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U.I=조사지역 귀화식물 종 수/국내 전체 귀화식물 종 수 × 100)를 산출하였다. 국내 전체 귀화식물 종 수는 박수현(2009)에 따라 286종으로 보 았다. 결과 및 고찰 1. 관속식물 안동 하회마을의 식물상 조사 결과 98과 232속 244종 3아종 16품종 40변종 총 303분류군을 확인하였다(표 1). 2. 외래식물현황 국립환경과학원의 ‘외래식물 검색시스템’에 따라 분류한 결과 안동 하회마을의 외래식물은 14과 31속 30종 3변종 총 33분류군을 확인하였다(표 1). 이 중 주목할 점은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16종(야생동·식물보호법 제2조 제4호) 중 하나인 돼지풀 (Ambrosia artemisifolia L.)의 출현이다. 돼지풀은 북미에 서 들어온 국화과 식물로 풀밭과 길가에 발생하여 꽃가루병 을 유발하고, 사료로 이용할 경우 가축이 기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종자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확산 속도는 다소 느리지만 전국의 생활주변, 강변, 도로변, 철로변 등에 집단 적으로 발생하여 다른 식물들이 자라지 못하게 하여 생물다 양성을 감소시키는 특징을 지닌다(강병화 외 2010). 하회마 을의 경우 현재는 담장 아래나 논, 밭 등지에 일부 개체가 발견되고 있지만 돼지풀의 생육특성 상 추후 개체군 증가를 고려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 귀화식물 박수현(2009)에 따라 귀화식물을 분류한 결과 14과 29속 29종 4변종 총 33분류군을 확인하였다(표 1). 안동 하회마을의 관속식물상과 귀화식물을 토대로 귀화 율과 도시화지수를 분석한 결과, 귀화율 10.89%, 도시화지 수 11.54%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문화재 지정구역의 외래 식물 연구와 비교해볼 때(신현탁 외 2010), 한개마을의 경 우 귀화율 37.12%, 도시화지수 31.37%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회마을은 한 개마을과 비교해 볼 때 비교적 낮은 수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그림 2). 이러한 결과는 하회마을이 오 랜 기간동안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어 관리되었기 때문에 주민들에 따른 인위적인 종의 도입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 다. 하지만 각 가옥의 정원에서 미국나팔꽃, 기생초, 코스모 스, 원추천인국, 겹삼잎국화, 유카 등의 외래종들이 다수 식 재되어 있어 우리의 전통정원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었으며, 유동인구가 많은 입구나 각 길목에 가이즈까향나무나 튤립나무가 식재되어 있어 향토경관을 저해하고 있었다. 4. 외래식물의 관리방안 우리나라의 외래종의 유입속도는 점차 빨라지고 있다. 환 경부 내부자료에 따르면 국내로 유입된 외래식물 종의 숫자 가 1980년에 110여종이었으나, 2002년에 이르러 총 281종 으로 증가하였고, 1996년 이루 5년간 추가로 유입된 외래식 물종은 58종으로 전체 외래식물종의 22%를 차지하는 것으 로 집계되었다(방상원 2004). 하회마을의 경우 국립환경과학원의 ‘외래식물검색시스 템’에 속하는 외래식물 이외에도 영산홍, 지면패랭이꽃, 송 엽국, 가이즈까향나무 등이 조사된 것으로 볼 때, 실제 외래 식물이나 귀화식물의 비중은 더욱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외래식물과 귀화식물의 통합적인 관리방안을 세우 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담장아래 공간에 맨드라미 나 소엽 등이 식재되어 있어 이러한 공간에 자생 초본류를 식재하여 과거의 담장길을 재현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 된다. 또한 하회마을 북서쪽 강변에 위치한 만송정숲(천연 기념물 제473호)에 있어서도 외래식물의 침입을 보호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하회마을 내의 외 래·귀화식물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제 생활 하고 있는 마을주민과 관리자가 외래식물의 위해성을 인지 하고 자생종의 식재를 통해 우리나라 전통의 마을 경관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인용문헌 국립수목원·한국식물분류학회, 2007,「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 수목원·한국식물분류학회, pp.534. 박수현, 2009,「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pp.565-567. 이창복, 1980,「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이창복, 2003,「원색대한식물도감 상·하」, 향문사, 서울, pp.914 임동옥,황인천, 2006,「가야산국립공원의 외래식물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3), pp.281-288. 류새한, 2009,「하천변의 외래식물」『숲과문화』, 18(5), pp.60-62. 김홍기, 2008,「문화재지정 이후 전통마을 보존방침의 변천과 경관 변용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pp.119 강병화,홍선희,김건옥,이용호,나채선, 2010,「기후변화와 생태계 교란야생식물로 인한 생물다양성의 붕괴」,『생명자원연구』, pp.71. 신현탁,김용식,이명훈,윤정원, 2010,「성주지역 문화재 지정구역 내 외래식물의 현황」,『문화재』, pp.165 Walker, L. R. and Vitousek, P. M., 1991,「An invader alters germination and growth of native dominant tree in Hawaii」 『Ecology』, 72, pp.1449-1455.
        3,000원
        92.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과거 농촌지역은 산업화시대를 거치면서 건물이 들어서 고 도로의 신설 및 확장으로 인해 전통적인 비보숲들이 많 이 사라졌다. 이는 농촌마을의 정체성 상실을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박재철 외, 2004).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농촌에 있는 마을숲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마을의 전통을 잇 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농촌어메니티 자원으로서의 소중 한 역할을 수행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반적으로 마을숲이란 마을의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이 루며 인위적으로 보호 또는 유지되어온 숲을 말한다(김학범 외, 1994). 따라서 지역주민들의 문화가 자연스럽게 녹아있 고, 마을의 정체성과 관련되어 있으며, 쉼터의 역할도 하는 등 농촌어메니티 자원으로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사)생명의숲국민운동, 2006). 본 연구는 농촌지역 마을숲 연구의 시작 단계로 농촌마을 숲 기초자료를 확보함과 동시에 이를 바탕으로 농촌마을숲 보전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지 대상지는 제주도 지역을 제외한 5개 권역에 위치하고 있 는 농촌마을숲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권역 농촌 마을숲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지역적 형평성을 고려하여 경기권역 10곳, 강원권역10곳, 충청권역20곳, 경상권역30곳, 전라권 역30곳으로 나누어 총 100곳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은 일반적인 마을숲 범위에서 농촌지역과 연관 이 있거나 어메니티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숲으 로 한정하였다. 선정방법은 기후대(난대, 온대, 온대중부), 지리적 특성 (해안형, 내륙형), 농촌마을 어메티니티로서의 가치를 고려 하였다. 이를 위해 각 권역에 계시는 각지역 생명의숲(서울 +강릉+대전충남+포항+광주) 국장님들의 추천을 받아 42 곳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마을숲 관련 출판물, 논문, 보고서를 참고하여 위치가 명확한 마을숲 58곳을 추가하여 최종 100곳을 마을숲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조사의 시기는 7월 말부터~9월초까지 약 2달에 걸쳐 실시되었다. 연구는 2인이 1조가가 되어 현장 및 면담조사 를 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여기에 관련 인터넷자료 및 참고문헌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사 내용은 사진촬영, 위치적 특징 기술, 주요수종 조사, 편의시설 현황, 관리 및 훼손상태를 현장에서 조사하 였다. 그리고 면담조사의 경우 문화적 측면(문화재 및 공동 행사 유무), 마을숲 현황(숲구조변화), 농촌어메니티 질적 향상(이용정도, 만족도, 관리정도)과 관련된 질문을 서면으 로 작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마을과 숲에 대해 잘 알고 계시는 마을관리자분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내용을 정 리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농촌마을숲 유형 분석 1) 위치별 유형분석 위치별 유형은 기존 연구(김학범 외, 1994)를 참고하여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특성을 살펴보았다. 마을숲이 위치하고 있는 곳은 마을 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동구숲이 총 42곳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풍수적 기능의 수구막이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전통적으로 마을 에서 허한 공간을 보완하기 위해 많이 조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하천주변이 32곳으로 많이 나타났는데 풍수적 인 이유와 더불어 수해 예방을 위해 많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언덕이나 산에 조성된 동산숲의 경우 주로 평지에 위치해 있는 농촌마을숲 특성상 많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 농촌마을숲 기능별 유형 마을숲의 기능적 역할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내용((사) 생명의숲국민운동, 2005)을 수정하여 크게 10가지로 구분 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제례, 종교, 마을정체성, 휴양, 숲체 험 등이 포함되어 있는 ‘문화’적 기능의 경우 35곳으로 많이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방풍, 수해예방 등의 기능이 더해진 ‘환경+문화’적인 기능을 하는 곳도 35 곳으로 '문화'”적 기능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음의 결과에서처럼 ‘문화’적 기능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은 농촌마을에서 사라져가고 있는 전통적인 문화의 기능 을 숲이 일정부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밖에 ‘풍수’적 기능과 관련된 숲이 25곳으로 많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3) 면적별 유형 마을숲 면적을 살펴보면 0~5000m2이하가 34곳, 5000초 과~10000m2이하가 36곳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큰 면적으로 나타나는 숲은 해안가나 경상 및 전라 권역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해안림의 경우 해풍을 막기 위한 방풍림으로 대규모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상 및 전라권역의 경우 과거 개발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넓은 평야에 숲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비교적 넓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2. 현장조사 및 면담내용 분석 1) 주요수종 현황 분석 전체 마을숲 조사결과 총출현 수종은 28종이 나타났다. 느티나무가 나타난 곳이 전체 마을숲 중 43곳으로 많이 나 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소나무가 43곳에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경관적으로 우수하고, 수명이 길며, 환경적응력이 뛰어난 수목을 예전부터 선호했 기 때문이다. 지역마다 일부 수종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푸조나무, 동백나무, 개서어나무의 경우 경상권역과 전라권역에서만 볼 수 있었는데, 기후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 다. 따라서 지역적인 차이를 감안하여 관리의 방향도 별도 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2) 시설물 현황 및 관리 실태 분석 마을숲 내부에 있는 정자나 벤치 같은 “휴식시설”과 수도 시설 같은 “기반시설”이 설치된 경우가 천체 약 90% 정도 나타나 쉼터나 휴양, 행사의 공간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운동시설의 경우 40곳 정도 설치되어 있는데, 이중 이용 이 잘 이루어지지는 않는 곳이 있었고 또한 전통적인 마을 숲과는 운동기구가 어울리지 않는 곳이 있어 조성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쓰레기 투기의 경우 11곳에서 살펴볼 수 있었는데, 마을 과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용자들의 의식도 같이 변해 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노면훼손의 경우 전체 피해 중 답압피해형이 27곳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산책로를 시공하 거나 주요부분에 출입금지 휀스를 만들어 숲 바닥을 보호해 야할 것이다. 3. 면담조사 분석 천연기념물, 보호수, 보물 등의 문화재가 마을숲에 있는 경우가 총 45곳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마을의 공동행사가 숲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44곳으로 많이 나타났는데, 숲의 활용 정도가 높거나 문화재가 있는 곳은 숲활동을 제한하여 보호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구조가 변화된 곳은 전체 62곳에서 나타났다. 주 로 도로를 만들거나 벌채, 주변 개발에 의해 변화된 곳이 대부분이었는데 숲의 원형 보호가 시급한 실정이다. 농촌 어메니티 질적 향상과 관련된 이용정도, 만족도, 관 리정도의 경우 전체적으로 보통 수준이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농촌 어메니티 자원으로서의 활용 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결 론 대상지를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풍수, 문화, 환경적인 특 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는 숲이 마을 사람들의 생활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비 보숲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생태계의 다양성을 높여주는 역할 을 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장조사 및 면담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수목수종의 경우 28종으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문화재가 있는 숲이나 마을공동행사가 이루어지는 곳도 약 50%로 높게 나타나 농촌어메니티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이용, 관리, 만족도의 경우 보통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나 앞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촌 마을숲의 경우 마을의 특성을 고려한 숲 정비가 필요한 경 우가 많았다. 그리고 주변건물, 전신주 등으로 인해 경관을 해치는 경우가 조사과정에서 발견되었다. 마을숲은 한번 훼 손되면 복원이 어려운 만큼 세심한 계획을 바탕으로 지속적 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농촌 마을숲의 지속적인 관리와 농촌 어메니티 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마을숲 연구와는 별도 로 우리나라 농촌 실정에 맞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인용문헌 김학범, 장동수(1994) 마을숲-한국전통부락의 당숲과 수구막이, 열 화당, 16쪽 박재철, 김병섭, 윤성호, 박선미(2004) 마을숲 복원에 관한 연구 -전 북 진안군 동향면 능금리 능길 마을을 사례로-, 10(3):27~32 (사)생명의숲국민운동(2005) 전통마을숲 복원및관리 매뉴얼, 3쪽 사)생명의숲국민운동(2006) 전통 마을숲의 보전관리 방향, 82쪽 생명의숲(www.forest.or.kr)
        3,000원
        9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 활동이 생태계의 훼손과 생물다양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경관생태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35개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자연생태계의 교란정도를 알 수 있는 귀화식물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대상지에 대한 토지이용 현황도를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경관생태학적특성을 정량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지의 경관지수와 귀화식물 분포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경관지수는 공간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귀화식물의 분포특성은 Urbanization Index와 Naturalization Index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귀화율과 패치밀도, 귀화율과 가장자리밀도, 귀화율과 면적가중평균형태지수 등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귀화율과 핵심면적백분율, 귀화율과 평균핵심지역 등이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800원
        96.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nights-and-five-days experience at an English village in Seoul, focusing on what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they had and what kind of changes had been made in their attitudes towards learning English. Pre- 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 village and the changes in their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About 35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 and post-surveys and additional ten students also participated in an interview with the researcher to draw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ir experiences in the English village.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samples t-tests were conducted to answer the main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despite the short term of residence at the English village, the students seemed to have had relatively active engagement in learning both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but not as much in learn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Also, although the village could possibly provide students with rich opportunities to have an active engagement and interaction with peers and English speaking teachers, it seemed that there existed some limitations in having such experiences inside and outside of the classrooms. Finally, students showed some changes in their attitudes or strategies toward learning English after the short term of residence, saying that they wanted to have more diverse engagement with English, such as 'having a conversation with foreigners on the Internet’, ‘keeping a journal in English,’ ‘having a conversation in English with other peers,’ and so on.
        6,700원
        98.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Western eclectic houses at Ojeong-dong Missionary Village in Daejeon city, focused on the spatial and structural changes due to eclecticism. The consequence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eclectic houses and two reference buildings, Myeongjae residence and Moore house, are as follows. The diverse aspects due to eclecticism can be summarized as two concepts; transformation and simplification. The transformation has appeared in the characteristic spatial elements such as an-madang, entrance and corridor, in the territory organization and the connection between building and yard, and in the roof and wall structures. The simplification has appeared in the layering of the building space, and in the joint of roof and wall. The methods of eclecticism and the resultant aspects from them that are clarifi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referred in examining the new possibilities of the hanok.
        5,200원
        99.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금까지 추진되어 왔던 전통테마마을 사업의 추진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인적 요소, 경제적 요소, 사회적 요소 등으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평가지표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 문가를 대상으로 AHP법을 이용하여 중요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지표의 중요도는 주민만족도 (150), 주민참여도 (145), 경제적효과 (123), 민박가구수 (101), 리더양성정도 (96), 사업이해도 (90) 순으로 나타났 다. 6개 마을에 적용한 결과, 해바리마을, 다랭이마을, 남사예담촌, 물레방아떡마을, 산첩렵마을 순으로 평가량이 산정되었다. 농촌마을 간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인적 측면, 경제적 측면, 사회적 측 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4,300원
        100.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충남 예산군 오가면 오촌리(1,2리)를 대상으로 하는 옹기체험 농촌체험마을 계획에 관한 것이다. 한민족의 정서와 품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우리의 고유한 민족문화 유산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옹기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1970년대이후에는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새로운 대체 용기가 개발․보급되는 한편, 급격히 주거 및 식생활 문화가 변화되면서점차 쇠락의 일로에 있는 형편이다. 대상지의 경우 현재 농촌의 낙후된 각종 시설과 노령화로 인해 마을의 인구가 점점감소하고 있어 마을주거환경개선 및 관광자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관광형태의 변화로 체험형 관광프로그램이늘고 있는 추세로 옹기를 주제로 한 체험 농촌마을을 계획하였다. 오촌리의 차별성 있는 농촌관광자원인 전통옹기를 이용하여테마형 농촌마을을 조성하고, 옹기를 이용한 참여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주민 소득증대에 기여하도록 계획하였다. 또한마을 주거환경 및 경관정비를 통하여 삶의 질이 높은 농촌마을로 계획을 하였다. 주요 계획내용으로는 에너지 자립형 농촌마을조성을 위하여 태양광을 도입하였으며, 축산분뇨 재처리시스템, 옹기체험센터, 도예 동호인 전원마을 등을 조성하여 특색 있는 테마마을로 계획하였다. 또한 마을 역사자원을 이용한 역사잇기 계획과 오촌리 유래찾기를 통하여 오촌리 마을의 전통성계승 및 홍보계획도 하였다. 이와 같은 오촌리가 옹기를 이용한 농촌체험마을 계획을 통해 주민들의 농외소득의 증대와정주환경개선, 관광농촌마을로서의 역할을 할 수 것이라 기대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