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0

        83.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atic hamstring stretching exercises have been widely used to improve flexibility of the hamstring muscles.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influence of standing static hamstring stretching (e.g., jack-knife stretching) on movements of the lumbopelvic–hip complex. Objectives: To examine the short-term effects of jack-knife stretching on movements of the lumbopelvic–hip complex. Design: Case series. Methods: Fourteen participants with hamstring tightness (8 male, 6 female) were recruited. Participants performed jack-knife stretching for 150 s. Before and after stretching, participants performed the finger-to-floor distance (FFD), sit and reach (SRT), active knee extension (AKE), passive straight leg raising (PSLA), and active straight leg raising (ASLR) tests as well as pelvic tilt while standing to identify the effects of stretching.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FFD, SRT, AKE, PSLA, and ASLR tests after stretching. However, pelvic tilt angle while standing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Conclusion: Jack-knife stretching can be a useful exercise to improve flexibility of the hamstring muscles, but not pelvic alignment while standing.
        4,000원
        84.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여자 중학생 전문선수(10명)와 방과 후 배드민턴 수업에 참여하는 일반학생(10명)의 하이클리어 동작 시 COM과 COP의 수평거리, 그리고 COM과 COP의 이동패턴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두 그룹 간 하이클리어 스트로크 이후 착지 시점(E4)에서 COM과 COP의 X 축과 Y축에서의 수평거리와 백스윙, 포워드스윙, 스윙전체의 X축, Y축, 그리고 Z축에서 COM의 최대이 동범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첫째, 하이클리어 스트로크 임팩트 이후 착지 시점(E4)에서 여자 중학생 전문선수는 전후방향(X축)에서 COM와 COP지점이 일반학생에 비해 매 우 가깝게 위치하였다. 둘째, 전문선수는 COM의 수직움직임, 일반선수는 COM의 수평움직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4,000원
        85.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정적 스쿼트 동작 시 발란스 보드와 전신 진동자극기 적용이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대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연령, 21.90±0.36 세; 신장, 174.30±1.09 cm; 체중, 66.50±1.00 kg; 신체질량지수, 21.90±0.31 kg/m2), 3가지의 기본 정적 스쿼트 동작, 발란스 보드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 및 전신 진동자극기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표면전극을 부착한 부위는 신체 근육의 우측 복직근, 내복사근, 외복사근, 대퇴직근, 외측광근 및 내측광근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을 통해 획득된 본 연구의 결과 는 다음과 같다. 복직근, 내복사근 및 외복사근의 근활성도는 발란스 보드와 전신 진동자극기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 시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1, p=.004, p=.000), 대퇴직근, 외측광근 및 내측광근의 근활성도는 전신 진동자극기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정적 스쿼트 훈련 적용 시 효과적인 신체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86.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적절한 행동을 위해서는 사회인지적 정보 뿐 아니라 다양한 정서 정보의 처리 역시 중요하다. 정서의 처리과정은 자극의 속성 뿐 아니라 다양한 맥락과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정서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 효과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물형운동자극을 사용한 정서변별과제를 시행하였다. 첫 번째 과제에서는 분노, 행복, 또는 중립 정서를 지닌 단서자극과 함께 제시된 빨강, 초록, 흰색, 또는 노란색 중 하나의 색과 분노 또는 행복 정서를 지닌 표적자극을 비교하여, 단서자극에 비해 표적자극이 나타내는 정서를 판단 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과제에서는 정서 중립 자극만을 사용하여 색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표적자극의 특정 색과 정서 간 연합이 관찰되었다. 즉, 빨간색은 분노정서, 초록색은 행복정서 처리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단서자극과 표적자극의 정서가 일치할 때 표적자극 정서의 변별 정확도가 높았으나, 빨간색과 분노정서가 조합된 조건에서는 단서자극 정서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두 번째 과제에서는 표적자극의 색에 의해 착각적인 정서반응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주로 사용된 얼굴자극이 아닌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해 자극의 정서처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 및 색 요인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으며, 가능한 후속연구 및 임상적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4,900원
        87.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MRI 검사 시 움직임 보정을 목적으로 기존 병렬 평균화 방식과 비교하여 직렬 평균화 방식을 이용한 움직임 보정효과를 시퀀스 별로 비교하고 유용성을 평가 하였다. 지속기도양압 장치를 이용해 움직이는 팬텀을 구현하여 실험을 진행하고 자원자는 1명을 대상으로 했다. 검사 장비는 3.0T MRI 장비와 32채널 전신 코일을 사용하였다. 기준 시퀀스는 3차원 eTHRIVE이며 비교대상으로 3차원 Vane XD 시퀀스를 사용하였다. 평가방법은 팬텀 실험에서 정량 평가로 획득한 팬텀 영상의 고스트 신호 백분율을 ACR MRI 팬텀 가이드라인에 따라 평가하였다. 자원자 실험은 정성 평가로 영상의 인공물 보상정도를 5점 리커트 척도를 통해 평가하였다. 팬텀실험 결과 SMART의 사용에 따라 고스트 인공물의 신호가 NEX 6에서 128-240% 값으로 현저히 감소했고, 3차원 Vane XD와 비교하여 NEX 6의 사용에서 유사한 값의 신호감소를 확인 하여 유용함을 확인 하였다. 자원자 실험결과 SMART Off에서 NEX를 증가 시켰을 경우에 비교하여 SMART On에서 인공물 보상에 대한 점수가 크게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팬텀 실험과 자원자 실험 모두에서 SMART 기능의 유용성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향후 본 논문의 여러 제한점에 대한 추가 연구를 진행한다면 임상적 활성화를 기대 할 수 있겠다.
        4,000원
        88.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불규칙 선수파랑 조건에서 선박계류시스템의 전후동요를 억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점식 계류시스템은 비선형복원력의 특성으로 인하여 규칙파 조건에서도 강한 비선형 응답 특성을 보인다. 종방향 불규칙 장파가 외란으로 선박계류시스템에 작용하게 되면 규칙파 외력이 입사하는 경우보다 변위와 속도에서 더욱 복잡한 비선형 거동이 발생한다. 계의 종동요 변위와 속도를 동시에 억제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모드 제어법(SMC)을 적용하였다. SMC는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및 외란에 대한 강인성을 갖는 폐루프 시스템을 제공하지만, 채터링은 이 제어법을 사용할 때 큰 단점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준 슬라이딩모드의 시그모이드 함수를 이용하여 불규칙 해양파의 외란 조건에서 채터링을 줄이고. 수렴의 정확성에 도달하는 목표를 달성하였다. 제어법의 유효성은 수치시뮬레이션을 통해 증명하였다.
        4,000원
        90.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Many trials have been conducted the methods and types of intervention of form rollers, but no research has been done yet that mixes the methods and types of intervention. Objectives: To analyze the effects of myofascial release on the improvement of range of motion (ROM), flexibility, pain pressure threshold, and balance.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All subjects measured ROM, flexibility, pressure pain threshold, and dynamic balance by pre-test. After pre-test, subjects were randomized that static-vibration foam rolling group (n=12), dynamic-vibration foam rolling group (n=12), general foam rolling group (n=12). For the intervention, 3 sets of 90 seconds were applied to each group, and rest time was set to 60 seconds between sets. In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after 10 minutes, all three groups were measured the ROM, flexibility, pressure pain threshold, and dynamic balance. Results: The results of comparing ROM, flexibility, pressure pain thresholds, dynamic balance ability appeared hig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post- 10 minutes follow up test in comparison between time in the intragroup (P<.001).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ange of pre-post-10 minutes follow up, static vibration foam rolling showed higher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control groups (P<.001).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hen foam rolling is applied within the same intervention time, static foam rolling can be expected to have a better effect than the existing dynamic foam rolling as well as vibration foam roller can expect better effect than general foam rolling.
        4,000원
        91.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nkle sprain in the Lead Leg Side (ALLS) is common in fencing athletes, and studies comparing the ankle range of motion (ROM) and strength of both legs are insufficient. Objectvies: To compare the ankle ROM and hip strength between two legs in fencing athletes who has ankle instability in the lead leg side. Design: Cross-sectional design. Methods: Seven fencing athletes with ankle instabil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randomly assigned into ankle in the Lead Leg Side (ALLS) and ankle in the Rear Leg Side (ARLS). Instability was determined by the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 and then joint ROM and hip muscle strength were measure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orsiflexion ROM, hip strength (extension and abduction) between the ALLS with ankle instability and ARLS (P<.05).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nkle ROM and hip muscle strength of ARLS are greater than ALLS in fencing athletes with ankle instability.
        4,000원
        92.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imulated strong ground motion waveforms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physical earthquake modeling of the Southern California Earthquake Center (SCEC) BroadBand Platform (BBP). Characteristics of intensity attenuation were investigated for M 6.0-7.0 events, incorporating the site effects. The SCEC BBP is software generates broadband (0-10 Hz) ground-motion waveforms for earthquake scenarios. Among five available modeling methods in the v16.5 platform, we used the Song Model. Approximately 50 earthquake scenarios each were simulated for M 6.0, 6.5, and 7.0 events. Representative metrics such as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and peak ground velocity (PGV) were obtained from the synthetic waveforms that were simulated before and after the consideration of site effects (VS30). They were then empirically converted to distribution of instrumental intensity. The intensity that considers the site effects is amplified at low rather than high VS30 zones.
        4,000원
        94.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행 시 하이힐 굽 높이에 따른 구간별 차이를 비교하고, 하지관절의 가동범위가 보행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대 여대생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굽 높이에 따라 3차원 보행분석을 통하여 변인을 산출하였다. 통계방법으로 세가지 굽높이에 따른 차이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보행시간이 하지관절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보행 시 구간 2는 굽이 높을수록 보행시간이 길게 나타났지만, 구간 3은 굽이 높을수록 보행시간이 짧게 나타났다. 보행시간이 하지 관절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구간 2는 1 cm에서 발목관절, 무릎관절, 5 cm는 발목관절의 가동범위가 클수록 보행시간이 길어졌다. 구간 3은 1 cm에서 고관절 가동범위가 클수록 보행시간이 길어 졌고, 10 cm는 발목관절 가동범위가 작을수록 보행시간이 길어졌다. 따라서 굽 높이 신발의 경우 발목관절의 제어가 중요성이 변인으로 판단된다.
        4,000원
        95.
        2020.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ontaneous motion is one of the most basic event types, but different languages use varying patterns to express it. For example, English usually encodes path information in prepositional phrases or adverbial particles, while Korean maps path information onto verbs (Talmy, 1985). This study predicts that this typological difference would affect English spontaneous motion expression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and analyzes two English-language speech corpora, one, the data from native speakers (600 recordings), and the other, data from L1-Korean learners of English (400 recordings). It finds that the learners significantly underuse satellite-framed patterns, but not verb-framed patterns, compared with the native speakers, suggesting that the L1 plays a role in their L2 production. The satellite-framed patterns, however, account for the greatest portion of spontaneous motion expressions in the L2 corpus, suggesting the dominant effect of input on L2 production. These findings lead to pedagogical implications concerning preventing L1 interference and fostering input-based L2 acquisition.
        5,200원
        96.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mpirical Green’s func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foreshock and the mainshock of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to simulate strong ground motions of the mainshock and scenario earthquake at seismic stations of seven metropolises in South Korea, respectively.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 in advance, the mainshock is simulated, assuming the foreshock as the empirical Green’s function.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overall shape, the amplitude of PGA, and the duration and response spectra of the simulated seismic waveforms are similar with those of the observed seismic waveforms. Based on this result, a scenario earthquake on the causative fault of Gyeongju earthquake with a moment magnitude 6.5 is simulated, assuming that the mainshock serves as the empirical Green’s function. As a result, the amplitude of PGA and the duration of simulated seismic waveform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extended, and the spectral amplitude of the low frequency band is relative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high frequency band. If the empirical Green’s function method is applied to several recent well-recorded moderate earthquakes, the simulated seismic waveforms can be used as not only input data for developing ground motion prediction equations, but also input data for creating the design response spectra of major facilities in South Korea.
        4,000원
        97.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호흡 운동으로 인한 상지의 운동 인공물을 억제하기 위해 고정 기구를 제작하고 사용 여부에 따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검사 방법은 검사 부위에 따른 운동 인공물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상지를 상완, 팔꿈치, 전완으로 구분하였다. 영상분석은 위상 부호화 방향의 배경영역에서 평균 신호 값 측정을 통해 운동 인공물의 발생 정도를 평가하였다. 고정 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지 MRI 영상들을 획득한 검사 결과, 검사 부위에 따라 운동 인공물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 팔꿈치에서 측정한 평균 신호들은 전완 부위와 비교하여 1.05~1.11배가 상승했지만, 특히 상완 부위에서 측정한 신호는 2.2~2.5배로 상당히 큰 증가를 했다. 또한, 고정 기구를 사용한 상태에서 획득한 영상의 평균 신호 값들은 정 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와 비교해 모든 부위에서 감소하였다(p<0.05). T1w에서 부위 별로 상완 62.68%, 팔꿈치 39.78%, 전완 47.03% 줄어들었고, T2w에서도 상완 58.22%, 팔꿈치 38.22%, 전완 46.49%로 각각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제작된 고정 기구의 사용은 상지의 모든 부위에서 운동 인공물이 억제되었다(특히 상완에서 58.22~62.68%). 상지 MRI 검사에서 고정 기구의 사용은 영상 변수조절 없이 호흡에 의한 운동 인공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운동 인공물과 관련된 재검사를 방지할 수 있어 수검자의 편의 및 업무 효율을 증대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4,000원
        98.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 시 슬링과 진동기 적용이 체간 근육의 근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신체 건강한 20대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연령, 23.00±0.45 세; 신장, 176.60±1.64 cm; 체중, 67.50±1.22 kg; 신체질량지수, 21.65±0.34 kg/m2), 3가지의 기본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 슬링을 적용한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 및 진동기를 적용한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표면전극 부착 부위는 체간 근육의 오른쪽 상부 승모근, 대흉근, 전거근, 복직근, 및 외복사근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승모근, 대흉근, 전거근, 복직근, 및 외복사근의 근활성도는 진동기를 적용한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 시 통계적으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 적용 시 효과적인 체간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99.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Neck pain can be caused by any structure in the neck, such as intervertebral discs, ligaments, muscles, facet joints, dura mater, and nerve roots. The hyoid bone is a structure that is also related to head and neck posture, neck movement and pain, but there are no studies on hyoid deviation, neck pain, and range of motion (ROM).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scia relaxation and mobilization of the hyoid bone on the ROM, pain, and lateral deviation of the hyoid bone. Methods: Twenty-five patients with neck pain identified by the lateral motion test (10 males [35.13 ± 7.67 years, 172.69 ± 3.90 cm, 78.77 ± 6.96 kg] and 15 females [35.13 ± 10.05 years, 161.11 ± 4.09 cm, 52.59 ± 2.98 kg]) was chosen randomly. Baseline values for pain, neck ROM, and lateral deviation in the hyoid bone were record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goniometer, and tape measure. Then, each patient was treated with hyoid fascia relaxation and mobilization, and all results were recorded after intervention. Comparison of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was analyzed using paird t-test (p < 0.05). Results: Right rotation, extension, VAS, and rotational asymmetr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Right rotation and extension increased ROM, rotational asymmetry ratio and VAS decreas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lexion, left rotation, center point (p > 0.05). Conclusion: Fascia relaxation and hyoid mobilization could improve the ROM of cervical extension, asymmetry of the cervical rotation and neck pain.
        4,000원
        100.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etch-oriented home exercise programs are often used as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however, there is lack of research on home exercise programs to strengthen rotator cuffs.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me exercise programs for rotator cuff strengthening on pain, range of motion (ROM), disability level,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Methods: Twenty-two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 = 11) and control group (n = 11). For the experimental group, manual therapy and home exercise programs for rotator cuff strengthening were applied for 6 weeks; for the control group, only manual therapy was applied for 6 weeks. Shoulder pain (quadruple visual analogue scale, QVAS), ROM, disability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Korean version, SPADI), and quality of lif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Korean version, WHOQOL-BREF) were evaluated at baseline, after 3 weeks, and after 6 weeks of intervention. The changes in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analyzed by using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QVAS; SPADI-pain scores; SPADI-disability scores; SPADI-total scores; flexion, abduction, internal and external rotation ROM of the glenohumeral joint; and WHOQOLBREF total, overall,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scores. All groups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as observed in the QVAS, SPADI, flexion, abduction, external and internal rotation ROM of the glenohumeral joint, and WHOQOL-BREF. Conclusion: Home exercise programs for rotator cuff strengthening had a positive impact on shoulder pain, shoulder ROM, disability level,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Therefore, we propose the use of home exercise programs for rotator cuff strengthening in the exercis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