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4

        82.
        200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88.
        199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91.
        1984.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92.
        1980.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93.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Korean and native English speaking instructors teaching English in Korean universities toward the importance of motivational strategies and how far their students feel motivated when their teachers use these motivational strategies. In total, 78 instructors and 220 university students with two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leve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responded to questionnaires. Both Korean and native English speaking instructors' perceptions toward the importance of motivational strategies have a similar pattern. In the responses of both groups, the top three important motivational strategies are proper teacher behavior, recognizing students' effort and promoting learners' self-confidence The lowest rank-ordered strategy is promoting learner autonomy. Instructors'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students' degree of motivational state show a similar pattern a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ower and higher level students except the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94.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전 준비활동이 EFL 학습자의 교실 공개 구두 발표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 였다. 이는 언어적 지식 (language knowledge)의 준비는 제 2 언어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여 정서 적 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에 근거한다. 연구를 위해 학습자들은 4 주 간 (1) 스피치 모델 읽기 (reading a model text), (2) 스피치 초안 쓰기 (writing a draft), 그리 고 (3) 구두 연습 리허설하기 (rehearsing for oral practice) 등 세 가지 사전 준비활동을 수행하였 다. 사전 준비활동 전 후의 교실 공개 발표 불안 정도의 차이는 PSCAS (Public Speaking Class Anxiety Scale)를 사용하여 네 가지의 불안 구성요소에 대해 비교하였다: ‘test anxiety’(TA: 시험 불안), ‘communicative apprehension’(CA: 전달 불안), ‘fear of negative evaluation’(FNE: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comfort of using English’(CUE: 영어 사용에 대한 편안함). 결과 분 석에 의하면 사전 준비활동은 네 가지 구성요소의 구두 불안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영어 사용에 대한 편안함’에 있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결 과를 가져왔다. 이는 ‘reading a model text’ 및 ‘writing a draft’ 등의 사전 준비활동 중에 이루 어지는 교사 및 동료와의 상호 피드백을 통한 언어적 지식 스캐폴딩으로 인한 학습자의 자신감 이 상승하고, ‘rehearsing for oral practice’활동으로 인한 발표연습 기회,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서 이루어지는 친밀함의 관계형성이 동료 및 교사에 의한 평가 불안을 완화하고 이전 보다 편안 하게 영어를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95.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 영어교육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온 원어민 영어교사에 대하여 그들의 영 어수업과 학교 및 학교 밖 한국 사회에서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은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탐구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사들의 보다 직접적이고 깊이 있는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는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두 명의 원어민 영어교사와 한 명의 한국인 영어 교사의 생생한 경험담을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부족한 교사 연수, 상이한 교육 환경, 협력수업 시스템의 문제, 소통과 공동체 부족 문제, 그리고 학교 밖 사회 활동에 대한 지원 부족이 주요 문 제임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질적인 교사 연수와 협력 수업에 대한 토 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는 교사들이 협력 교수를 위한 학습자 또는 동료 코치라 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무엇보다 한국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원어민 영어교사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96.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변화하는 다문화 환경 속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성공적인 사회적응과 주체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그들의 직업과 일터에 관한 보다 세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원어민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경력강사 3명을 대상으로 생애사 연구방법을 통해 그들의 삶과 일, 학습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의 생애를 통해 모국에서의 삶과 이주 후의 삶, 그리고 원어민 강사가 되기까지의 학습을 통한 성장과 변화를 이해 할 수 있었다. 첫째,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들에게 일과 학습은 구분되는 개념이 아니라 생활 그 자체이며 삶의 기반이 되며 일터는 세상과 소통하는 만남의 장이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의 생애는 슛제의 인생진행의 과정 구조와 반 게넵의 통과의례의 따른 분리, 전이, 통합의 과정으로 분석이 가능하였다. 이들은 삶에 통제력을 행사하는 주위의 상황인 ‘진행 곡선’에 맞서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추진해 나가는 형태를 보였다. 이러한 인생과정은 모국으로부터의 분리단계, 이주 후의 불안정한 백지상태인 전이 단계를 거쳐 원어민 강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통합의 단계에 이르렀다. 통과 의례 제 단계들에서의 경험과 학습들은 결혼이주여성들을 역량 있고 좋은 사람, 자신감 있고 참을성 있는 사람, 길을 가르쳐 주는 사람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가진 원어민 강사로 성장하게 했다
        97.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고 있는 한국 EFL 초등 학습자들의 부족한 영어 노출 시간을 연 장하면서 말하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으로 게이미피케이션을 접목한 스마트 러닝 과제학습을 설계했다. 경쟁, 보상, 맞춤형 캐릭터 등의 게임 요소를 영어 교육에 접목한 ‘교육 게이미피케이션’의 일환인 본 연구는 모의실험에서 발견된 개선점들을 반영해 주의 집중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초등 학습자들에게 과제 학습이라는 부담을 줄이고 영어 말하기 게임을 재미있게 받아들여 적극적인 게임 참여를 유도하는데 중점을 뒀다. 특히 영어 문장을 만드는데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들이 ‘카카오 톡’의 장점인 즉각적인 상호작용과 음성 녹음 기능을 활용한 실시간 및 비실시간 게임을 통해 실력 향상과 더불어 자기효능감도 고취시킬 수 있는 교육 게이미피케이션의 다양한 시도가 요구된다.
        98.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n is classified into classifier languages, which require a classifier regardless of whether nouns are count or mass, while English is a typical non-classifier language, where only mass nouns require classifiers when counting. Whil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acquisition order of classifiers based on their semantic features (e,g, human, shape, function, etc.),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rrect use of classifiers requires syntactic knowledge as well as semantic knowledge (K. Lee and S. Lee, 2009).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L2 acquisition of syntactic knowledge related to classifier construction such as EPP feature (Byun and Ha, 2015).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articulate what must be acquired by English-speaking learners for the correct use of Korean numeral-classifier construction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syntactic properties are acquirable for them. 85 adult English-speaking learners at four proficiency levels (low intermediate; high intermediate; low advanced; advanced) and 31 native Korean speakers performed an elicitation task. The findings show that the advanced group produced the correct classifier constructions in the majority of cases in a similar way to the native speaker (NS) control group, while the lower proficiency groups supplied classifiers significantly less frequently than the NSs. The overall group results suggest that highly proficient learners have successfully acquired the required syntactic knowledge, even though its complete acquisition is delayed until advanced stages of L2 development.
        9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한 세기 이상 계속되고 있는 성결운동과 오순절주의 분리를 다루면서, 그 사이의 논쟁에 대해 밝히는 역사신학적인 논문이다. 이 새로운 운동(오순절)이 시작된 후 교리적인 논문들이 증가했는데, 이는 양쪽(성결 운동과 오순절)에서 쓰인 종교 신문기사와 신학논문들은 “말싸움”이었고, 두 운동사이의 거리를 더욱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했다. 두 운동(성결과 오 순절)의 외부학자들과 종교지도자들은 두 운동의 차이를 이해할 수 없었지만, 성령세례에 대한 새로운 가르침과 최초의 증거로서의 방언은 두 운동 을 구분할 수 있는 경계를 형성하였다. 미국 켄사스의 토페카(Topeka)로부 터 서쪽으로 확산되어 캘리포니아의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까지, 그리 고 다음으로 극동지역(아시아)까지. 4권의 교리서들(양측에서 2개씩)은 그 분열의 수사학을 이해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 로 이 글은 결론으로 대화와 화해의 수단으로써 세계 복음주의와 세계 기독교를 제시하고 있다.
        100.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he first purpose is to explore how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in Korea describe constraints of their teaching experience in a different culture. The second purpose is to attempt to analyze these teachers’ perspectives on what kind of support proves to be helpful during the initial teaching experience. By analyzing collected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s during threemonth period, this study tried to capture certain cultural patterns and operational principles underlying the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meaning making of their teaching in a different cultural context. The overall findings from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n several ways. First,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study point out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seeing themselves developmentally. It was also posited that the process of becoming a teacher in a different culture is somewhat idiosyncratic, however, strongly affected by contextual factors, especially by the role of the native cooperating teacher and the role of the men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a way to generate practical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upport system for the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