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0

        102.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발정 증상을 보이는 젖소 65두를 대상으로 몇 가지 호르몬 처리기법을 사용하여 소의 번식효율 향상시키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Group 1. Ovsynch program (GnRH-PGF a /PGF a/GnRH), Group 2. Two plus Two program (GnRH-PGF a /PGF a/GnRH), Group 3. progesterone implant (CIDR)-GnRH/PGF a/PGF a/GnRH과 Group 4. (Folli
        4,000원
        103.
        2003.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확한 라스트를 제작하기 위하여, 시간대별 발의 변형을 고려한 데이터가 필요하다. 발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정확한 라스트 개발을 위해 체중이 부하되지 않은 상태와 체중을 부하하고 양측 발로 체중을 지지하고 있을 때 발을 측정함으로 발과 기간 대에 따른 관계를 도출해내야 한다. 이 연구는 발길이(foot length), 볼너비(ball width), 볼둘레(ball girth) 뿐만 아니라 발등둘레(foot-dorsum girth), 종골하 지방패드의 너비(heel-pad width) 및 높이(heel-pad height) 등을 측정, 분석하여 기능성 라스트 제작을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3,000원
        104.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발생학에서 키메라(chimera)는 2개 이상의 다른 유전자형의 세포, 또는 다른 종의 세포로부터 만들어진 1개의 생물개체를 뜻하는 말로, 이는 초기 수정란의 발달과 포유류의 분화를 연구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키메라를 만드는 방법에는 할구와 내세포괴를 응집시키는 방법과 배반포 내에 여러 종류의 세포를 주입하는 방법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의 활성화 처리법, 즉, ionomycin 처리 후 Cycloheximide (CHX) 또는 6
        4,200원
        105.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factors affect foot and ankle biomechanics during walking, including gait speed and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However, speed has not been taken into account in foot kinematics and kinetics during walking.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alking speed on foot joint motion and peak plantar pressure during the walking phase. Eighty healthy subjects (40 men, 40 women) were recruited. Maximal dorsiflexion and excursion were measured at the first metatarsophalangeal joints during walking phase at three different cadences (80, 100, and 120 step/min) using a three 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CMS70P). At the same time, peak plantar pressure was investigated using pressure distribution platforms (MatScan system) under the hallux head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metatarsal bones and heel. Maximal dorsiflexion and excursion and excursion at the ankle joint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walking speed. Peak plantar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under the heads of the first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metatarsal bones, and heel with increasing walking speed: three was no change under the hallux.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maximal dorsiflexion or excursion at the first metatarsophalangeal joint. The results show that walking speed should be considered when comparing gait parameter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slow walking speeds may decrease forefoot peak plantar pressure in patients with peripheral neuropathy who have a high risk of skin breakdown under the forefoot.
        5,400원
        106.
        200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hape of foot differs with races, age, gender, the type and size of foot, and the height of heel. These differences are considered enough when the shoe is made.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ed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and foot length. In shoe industry, age is generally divided into infant, children, young and adult shoes. As korean"s foot size is considered, we want to check whether these categories are good using several classification techniques.
        4,000원
        108.
        200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귀화식물인 가중나무는 도시지역에서 많이 발견된다. 그 주된 이유는 유.무성 생식이 잘 되기 때문이다. 종자의 확산과 맹아 출현에 의해 도시 서식지 내에서 쉽게 군락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가중나무의 종자의 확산과 발아분포 특성을 조사하는 것은 도시녹지 관리에 중요하다. 가중나무의 종자 확산 및 실생묘의 분포는 다음과 같이 조사되었다. 남산과 같이 환경조건이 최상일 때는 350개체, 퇴계원사거리 경우 50개체 정도가 발아해서 자란다. 이러한 종자는 풍향의 영향과 지형적 특성에 따라 확산 분포되는 경향이 있다. 조사대상지는 종자가 떨어지는 늦가을에서 봄까지 주로 북서풍이 불고 있으므로 남쪽으로 많이 비산 되었으며, 경사지인 퇴계원사 거리에서는 경사지의 아래쪽에 주로 분포하였다. 종자 발아에 의한 실생묘의 분포는 모수(母樹)의 수관폭과 비교하였을 때, 수관폭 내에 떨어지는 경우보다 수관폭 외곽에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조사지역에서는 수관폭의 최대 7.5배까지 실생묘가 분포하였다. 주로 수관 폭의 2~4배 지점(20M 이내에 75% 분포)에서 군생을 나타냈다. 가중나무 종자 발아에 의한 실생묘 분포 확산으로 볼 때, 가중나무는 도시의 열악한 환경에서라도 급격한 개체수 증가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도시 토양의 보호라는 측면과 가중나무가 타수종과 경쟁에서 성공함으로 종 다양성 감소라는 측면을 같이 고려하여 관리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9.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동해구트롤선(750ps)을 대상으로 현용어구에 대한 모형망을 제작하여 발줄과 저질의 종류에 따른 어구의 저항특성을 구하고자하여, 수중무게 5.4g인 체인형, 와이어형, 기본형의 발줄 3종류의 발줄에 대하여 실제 예망속도인 2.0~2.5knots의 범위에 해당되는 실험예망속도 0.4m/s일 때의 저항을 실험.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체인형 발줄에 대해서는 발줄무게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와이어형 발줄에 대해서는 발줄의 굵기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실험 .분석하였다. 한편, 예망속도에 따른 발줄의 종류별 저항특성을 구하고자 수중무게가 5.4g인 체인형, 와이어형, 기본형의 3종류의 발줄에 대하여 예망속도를 0.1m/s 0.2m/s 0.3m/s 0.4m/s 변화시키면서 저항을 측정하고, 어구에 대한 발줄 저항비 및 저항계수를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구저항은 저질이 모래와 펄 모두에서 체인형이 가장 크고, 기본형, 와이어형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2. 저질의 종류에 따른 저항은 모래에서는 체인형이 가장 크고, 와이어형, 기본형 발줄의 순으로 작았으며, 필에서는 체인형이 가장 크고, 기본형, 와이어형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3. 발줄의 무게에 따른 저항은 거의 직선형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저질이 펄인 경우, 체인형 발줄의 무게가 5.4g 10g 20g 일 때 저항은 각각 36g 45g 65g으로 줄의 무게가 20g일 때가 10g일 때 보다 약 44% 더 컸으며, 모래의 경우에는 각각 38g 51g 74g으로 발줄의 무게가 20g일 때가 109일 때보다 약 45%로 컸다. 4.발줄의 굵기에 따른 저항은 예망 속도가 0.4m/s에서 와이어형의 굵기가 ø 65mm 기준으로 2, 3, 4, 5배로 증가함에 따라 저항은 23g, 25g, 32g, 42g으로 각각 증가하였다. 5. 예망속도의 증가에 따른 발줄의 종류별 저항은 직선에 가까운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였고, 저질이 펄인 경우, 체인형이 가장 크며 다음으로 기본형, 와이어형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6. 어구저항에 대한 발줄 저항의 비는 필에서 체 인형이 가장 크고, 기본형, 와이어형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래에서는 체인형이 가장 높았고, 와이어형, 기본형의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7. 저항계수는 펄에서는 체인형 발줄이 약 10.0~55.7, 와이어형은 약 3.0~l6.0, 기본형은 약 1.5~8.5이며, 모래에서는 체인형 발줄이 약 10.0~60.0, 와이어형은 약 3.0~l4.0, 기본형은 약 1.2~6.0이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절과 모래 모두에서 저항계수가 체인형이 다른 두 종류의 발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크고, 와이어형, 기본형의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4,200원
        11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germin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annin containing forage crops (such as chicory, birdsfoot trefoil, Lotus pedunculatus, sulla, lespedeza, crownvetch, sainfoin), germinativity, seedling vigor, and productivity were
        4,000원
        112.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여자직원들을 대상으로 건강 한 사람 11명과 체질량지수 25이상인 7명을 선정하여 4 주간의 발아생식을 섭취한 후 인체 계측과 혈당, 혈청 지방질 변화를 보기 위해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주간 발아생식을 섭취한 후 비비만군의 평균체중은 54.2kg에서 51.7kg으로 (p<0.001) 비만군은 평균체중 69.1kg에서 65.6kg으로 (p<0.001) 모두 유의적 감소율을 보였다 . 2. 피하지방 두께 변화는 삼두박근의 경우 비비만군 에서 21.6mm에서 19.95mm로, 비만군에서도 35.4 mm에서 32.1mm로 모두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P<0.0l, P<0.05) 또한 신체둘레에 있어서 는 허리둘레가 비비만군이 69.7cm에서 66.8 cm로 현저히 감소하였고 (p<0.0001) 비비만군도 84.2cm에서 80cm로 감소하여 유의성을 보여 (P< 0.017), 발아생식은 복부비만자에게 효과가 있다고 생각 된다. 3. 비만군, 비비만군 모두 혈당,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의 감소를 가져왔고, HDL-cholesterol은 비비만군에서 3.3%, 비만군에서 5.8%의 상승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4 주간 발아생식을 섭취한 후에 체중과 피하지방 두께의 감소, 혈당 및 혈청지방질 성분 이 개선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발아생식 제품은 고른 영양소를 함유하여 일상생활에 무리를 주지 않는 범 위내에서 체중감량과 혈액 조성이 이상적으로 유도되어감을 보여주는 다이어트식이임을 알 수 있었다. 이 는 비만으로 동반될 수 있는 당뇨병이나 동맥경화, 심장병, 고혈압, 통풍 등 혈액질환이나 고지혈증과 같은 만성적인 부작용까지도 극복하고 개선될 수 있는 새로운 비만개선 식이로써 좀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다이어트를 위한 식품의 개발에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특히 발아생식을 실시했을 때 복부 비만자에게서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4,200원
        113.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tanding balance could be influenced by the different foot positions. Seventeen patients with hemiplegia were tested for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under the different foot positions. In the balance test, subject stood by bearing weight on one foot, and the other foot was positioned in three different positions (symmetric, anterolateral, and anterior position). This study used the Kinesthetic ability trainer (KAT2000) to measure the standing bal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ic standing balance in different foot positions with both weight-bearing on the paretic limb and on the nonparetic limb (p<.05). 2)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ynamic standing balance in different foot positions with both weight-bearing on the paretic limb and on the nonparetic limb (p<.05).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 paretic weight-bearing and the nonparetic weight-bearing were compared (p<.01). 4) when the paretic weight-bearing and the nonparetic weight-bearing were compared, anterior foot posi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ynamic standing balance (p<.05), but anterolateral foot posi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this study, the standing bala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ifferent foot positions in hemiparetic patients, and standing balance was better when they stood by bearing weight on the nonparetic limb.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a necessary to consider both weight-bearing limb and foot position not only in the rehabilitation program but also in achieving the stability in the independent life.
        4,500원
        114.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foot position on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of the quadriceps femoris during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MVC) in standing. Twenty young adults who had not experienced any knee injuries were recruited. Their Q-angles were within a normal range. They were asked to stand in five different foot positions ( externally rotated, internally rotated, neutral, plantarflexed, and dorsiflexed foot position). The EMG activities of the vastus lateralis (VL), rectus femoris (RF), and vastus medialis oblique (VMO) were recorded in standing by surface electrodes and normalized by MVC EMG values derived from manual muscle test. The normalized EMG activity levels (%MVC EMG) of muscles in the five foot positions were compar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The EMG activity levels of the VL, RF, and VMO were the highest when foot was externally rotated. The EMG activity levels of the VL and RF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ot positions (p<.05). However, EMG activity levels of the VL, RF, VMO, and VMO/VL ratio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foot position (p> .05).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quadriceps femoris may be effectively activated by performing MVC at an externally rotated foot position. Therefore, the externally rotated foot position can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foot position for quadriceps femoris strengthening exercis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foot position on muscle strength after MVC exercise of quadriceps femoris in standing.
        4,900원
        115.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지방에서 양파 저장에 관한 γ-ray 처리와 저장장소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발아율은 저온저장, 상온저장, 동굴저장에 관계없이 무처리 양파는 약 5개월 째부터 발아와 발근이 시작되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였으나 8월 상순경에는 0krad에서 동굴에 저장한 것은 50%, 상온에 저장한 것은 20%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3krad, 6krad 처리한 것은 6개월까지는 거의 발아하지 않았다. 중량 감소는 발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발아가 시작하기 전 40일 까지는 모든 처리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발아가 시작되면서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저온저장한 것은 부패율이 약 5~10% 내외로 7개월 후에도 식용이 가능하였으나 상온에 저장한 것은 0krad에서 50%정도 부패한 반면 3krad 및 6krad를 조사한 것은 저온저장인 경우 5%, 동굴저장인 경우 30~35%, 상온에 저장한 것은 30% 정도의 부패율을 나타내었다. 방사선조사의 다당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졌는데 동굴저장과 상온저장에서는 저장초기에는 3krad 및 6krad 조사한 것이 0krad 보다 다소 증가했으나 후기로 갈수록 역시 처리한 것이 양은 적으나 0krad보다는 증가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Allum속 채소류에 많이 들어있는 유황은 저장장소에 관계없이 0krad에서는 저장후반기로 갈수록 적어졌고 냉장저장한 것은 3krad 및 6krad의 선량간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저장초기에는 유황함량이 증가하다가 12월 말경 부터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000원
        119.
        199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추를 포함한 4종의 식물의 수용 및 에탄올 추출액이 상추종자의 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 은행, 상추, 돼지풀, 달맞이꽃의 수용 추출물은 상추종자의 발아 및 생장율을 현저하게 억제되는 경향을 보여 억제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추출용매별로는 에탄올 추출액이 수용추출액보다 억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공시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추출물의 농도 10%가 상추의 발아와 생장을 가장 크게 억제시켰고 희석되어질수록 그 효과는 낮아졌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