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9

        101.
        197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도 도열병의 종합적 방제체계 확립의 일환으로서 합리적인 비료 시용에 의한 효과적 방제 가능성을 알고다 규산, 질소, 인산 및 가리 등 여러 비료를 시용하여 이들이 도체내 성분함량과 도열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나아가 수도품종 및 균주간의 상호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1971년과 1973년에 수도묘에 도열병균을 인공접종 및 자연발병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규산을 시용하면 수도 엽신내 규산함량은 크게 증가하고 전당함량과 가리함량도 증가하나 전질소 및 인산함량은 감소되었다. 2) 규산의 시용으로 도체내 C/N 율과 율 및 율은 향상되었으며 이들과 도열병 발병지수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있었다. 3) 규산시용으로 도열병 발병지수는 저하되었다. 4) 도체내 규산함량은 질소질비료를 과용하면 감소되고 전질소함량은 증가되며 전당함량은 감소하여 도열병 저항성을 크게 저하시켰다. 5) 규산함량은 인산질비료를 많이 시용하거나 도체내 인산함량이 증가하면 감소되어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을 저하시켰다. 6) 가리질비료를 다시용하면 규산함량은 증가되었고 전질소함량은 감소되었으며 율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가리함량이 비교적 낮은 상태에서는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었으나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는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과 유의적인 상관이 보이지 않았다. 7) 도열병 발병지수는 공시된 균주범위내에서 진흥이 적었고 풍옥이 가장 컸으며 풍광 팔달은 비슷한 정도였다. 도열병균의 병원성은 의 순으로 강하였으나 풍옥에 있어서는 일정한 경향을 찾아볼 수 없었다. 엽위별로는 5-6엽기의 묘에서 상위 제2엽이 발병이 많았고 제1엽과 제3엽은 비슷한 정도였다.품종이기 때문인 것 같다. (4) 벼의 수량은 무처리 5,814kg/ha에 비하여 Carbofuran 6,649kg, Cytrolane 6,340kg, BPMC 6,315kg, Chlorphenamidine 6,265kg, Cartap 6,164kg, Diazinon 5,944kg, Diazinon 입제 수면시용 6,102kg로서 Carbofuran 처리구에서 벼의 수량이 가장 높았다. (5) Carbofuran 처리구에서 높은 수량을 보인 것은 Carbofuran 처리구에서 멸구, 매미충류의 밀도가 낮았고 오갈병의 발병율이 낮은데서 온 결과인 것 같다.화안정성은 없었다. 포말성은 87.5였고 용해도는 산성영역 (pH 2와 4)에서 약 83로 높았으나 pH 6이상에서는 44로 낮았다. 보였다.이 한국어와는 다른 것이라거나, 한국어 음성학을 공부하지 않고 한국어를 연구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의학에도 분야마다 전문의가 있듯이, 언어학도 이제 복잡하고 광범한 학문이 되었으므로 분야별로 전문가가 나오게 된 것뿐입니다. 따라서 "나는 통사론에 관심이 있으므로 소리말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언어학자가 있다면, 이 것은 크게 잘못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나는 소리에만 관심이 있으므로 통사론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음성학자가 있다면, 이 또한 안되는 일입니다. 문의 구성과 어휘 요소와 아무 관련이 없는 말소리의 차이가 무슨 소용이 있으며, 통사 구조를 표현하고 저달하는 말소리를 연구하지 않고 어떻게 통사론을 연구할 수 있겠습니까? 다시 간추리면, 언어는 본질적으로 소리말이고, 언어의 특성과 사용 및 습득도 모두 소리말 형태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영국의 대학은
        4,500원
        102.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that ratio between carcass traits components could be applied for the understanding of yield index in Hanwoo steer. A thousand data was generated based on average carcass weight (CW), loin area (LA) and backfat thickness (BT) of Hanwoo steer in December 2018 for analysis 1. Then yield index (YI) was calculated using newly established yield index equ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yield index and each carcass traits was visualiz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carcass traits components (LA, CW, BT) and YI, only the interactions including BT showed a regular pattern to YI. Then changes of YI according to ratio of carcass traits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The observed interactions between LABT and CWBT were similar with Monod equation model. The changes of YI to LABT and CWBT were fitted to Monod equation, and yield constants (K1 for LABT; K2, CWBT) of each equation were calculated as 0.47 and 2.20, respectively. Carcass traits from 5 commercial Hanwoo steer farm were then employed in the second analysis. Yield constants of each farm were estimated. In estimation, R2 value for K1 (LABT) showed greater than the K2 (CWBT). Finally, each farm was plotted based on their K1 and K2 values and it was found that greater yield index of Hanwoo steer was found as increased K1 and K2. A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K1 and K2 values for understanding of yield grade equation and their application in the evaluation of new model for yield grade estimation and feeding strategy.
        10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mong bull, steer and heifer on growth performance, blood composition and carcass traits according to fattening phase in Hanwoo. 12 month of aged 4 bulls (339.8±18.5 kg), 4 steers (309.8±13.2 kg), and 3 heifers (290.0±16.7 kg) were allocated in the stalls with individual feeding system during 20 months. Average daily gain was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 groups during early fattening phase, but higher in the bulls and lower in the heifers after mid-fattening phase (p<0.05). The difference of body size by animal groups appeared from 24 month of age, and wither height and body length of Hanwoo heifer were the smallest (p<0.05) among treatment group. But wither height was not difference among treatment groups at 32 month of age. At 12 month of age, concentrations of serum 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and total protein were higher in the heifers compared to other groups, and serum GP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was the highest (p<0.05) in the bulls, and serum G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was the highest (p<0.05) at late fattening phase in the bulls. Meat yield index was similar between the bulls and the heifers, and the lowest (p<0.05) in the steers. Marbling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he steers and the heifers than in the bulls, and meat quality was the best in the steers among treatment group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might be used as a basal data on difference between gender in revision of Korean feeding standard for Hanwoo.
        104.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enty four Holstein steers (average body weight 714 ± 13.60 kg)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o determine the effect of supplementing of microbial culture and coated vitamin-C on growth performanc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Holstein steers. Holstein ste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feeding groups of control group (Con, 12 kg of basal diet/head/day), microbial culture group (MC, 12 kg of basal diet + 30 g of microbial culture/head/day) and coated vitamin-C group (CVC, 12 kg of basal diet + 10 g of coated vitamin-C/head/day). MC and CVC groups were higher in ADG compared to control (P<0.05). FCR was also lower in MC and CVC groups than control group (P<0.05). Back fat thickness, rib-eye area, marbling score, meat color and yield index were not changed by supplementing microbial culture and coated vitamin-C. MC group was higher for maturity compared to control and CVC group (P<0.05). CVC group was higher for fat color compared to control and MC group (P<0.05).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current study, supplementation of microbial culture and coated vitamin-C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 might increase growth performances and enhance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Holstein steers. However, more studies are needed to find out the optimum supplementing period of microbial culture or coated vitamin-C for high quality meat production from Holstein steers.
        105.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n = 40 pigs/treatment) with bamboo powder (0, 1, 2 and 3%) for 38 days. We evaluated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attening pigs and gas emission and microbial populations in pig manure, to obtain data on pork producer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upplementation with increasing amounts of bamboo powder had a significant (P < 0.05) effect on feed intake, feed efficiency, and glucose contents (except for initial and final body weight, weight gai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blood urea nitrogen). In terms of blood metabolites, glucose and blood urea nitrogen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amounts of bamboo powder. Second, the amounts of ammonia, methane, amine, hydrogen sulfide, and acetic acid were reduced by increasing amounts of bamboo powder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s (P < 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propionic acid, iso-butyric acid, butyric acid, iso-valeric acid, and valeric acid among all treatments. The lowest gas emission was observed when 3% bamboo powder was used. Third, supplementation with increasing amounts of bamboo powder tended (P < 0.05) to increase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Lactobacillus spp., and yeast, but E. coli, Salmonella spp., and Shigella spp. were not detected in any treatmen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with bamboo powder was effective in reducing gas emission and inhibiting pathogen populations in pig manure by lowering the pH of the manure.
        106.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체표면에서 분리한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 S. aureus CDF2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E. coli O157:H7 CDF1와 A. sobria CDF3는 NaCl 4% 이상 농도에서 성장이 억제된 반면 lactic acid 0.1%는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 aureus CDF2은 NaCl 농도 4%에 의해 성장이 뚜렷하게 억제되지 않았으나 lactic acid 0
        107.
        200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쇠고기의 위생적 품질을 개선하고자 신선육의 HACCP의 위해 요소로 작용하는 병원성 미생물인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 S. aureus CDF2를 도체표면에서 분리하여 이들의 성장특성을 검토하였다. 신선육의 도축처리단 계별 총균수는 세척 후가 세척 전 보다 ~ / 더 높았다. 냉각 후 총균수는 냉각 전보다 ~ / 감소하였고, 수송 후 도체표면의 총균수는 계절에 관계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
        109.
        198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체내 무기양분이 등숙진전에 따라 이행 집적되는 정도와 주이동부위에 대한 검토를 위하여 생태형과 숙기가 상이한 4품종을 재배하여 출수기부터 1주간격으로 9회에 걸쳐 시료를 탐취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산은 등숙진전에 따라 현미내 함유율이 증가되고 경엽에서는 감소하여 인산의 재이동을 인정할수가 있고 이동정도는 절간에서 가장 많고 다음이 엽초, 엽신의 순이었으며 이삭에서 가까운 상위의 절간, 엽초, 엽신에서의 이동이 하위에서 보다 컸다. 생태형간에 차가 있고 통일형에서 이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가리는 엽신과 엽초에서는 등숙진전에 따른 변동이 없는 반면 절간에서는 현저히 증가되었고 특히상위절간에 집적이 많았다. 현미에서는 성숙기민 6주까지 함유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다가 7주부터 다시 증가하여 절간과 반대경향을 보였으나 기간중 현미중의 증가를 고찰하면 단위미립내의 가리함양의 변동은 미미하여 절간의 가리축적이 현미에서 재이동된 것으로 볼 수는 없었다. 도체내 부위별 가리함양은 품종의 생태형보다 숙기에 따른 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고토는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해미내 함유율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고 경엽에서는 호숙기까지 증가되나 이후 성숙기까지 감소경향을 보여 인산만은 못해도 곡실로의 이동을 인정할 수가 있었고 이동상태는 부위나 숙기, 생태형에 따른 경향은 인정하기 어려웠고 품종간에는 차가 있었다. 4. 규산은 현미에서 미량이 검출될 뿐이나 왕겨에서는 등숙진전에 따라 계계 단가되고 경엽에서도 증가되나 엽신>엽초>절간의 순으로 축적되어 재이동은 생각할 수가 없었고 품종의 생태형간의 는 발견할 수가 없었으나 숙기간에는 차가 있어 조생종보다 중생종인 상풍벼와 금강벼의 경엽에 함유율이 높았다. 5. 석회는 곡실로의 이동이나 축적은 없었고 엽초와 절간에서도 변동이 없었으나 엽신에서는 등숙진전에 따라 축적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다수계 품종민 태백벼와 금강벼에서 축적정도가 컸다. 엽위별로는 지금이 많고 차엽이 낮았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