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

        101.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experiment result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SFRC) panel with flexural and impact resistance performance. The variables are the fiber volume fraction and aggregate size. The height and width of SFRC panels are 200 m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flexural and impact resistant performance is improved by increased in steel fiber volume fraction.
        102.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ffects on flexural performance of SFRC prism with different fiber volume fraction. The test variables such as aggregate maximum size(8, 13, 20mm) and steel fiber volume faction(0, 1, 2%). Specimen size is 100×100×400mm and tested in for points loading. Test results indicated that increase the fiber volume fraction increase with flexural strength and smaller aggregate size more than higher performance with concrete.
        103.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휨모멘트를 받는 SC 벽체 스터드의 성능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비선형 유한요소법을 사용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SC 벽체에 대한 유한요소모형에서는 접촉, 연결, 그리고 재료에 대한 비선형성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해석모형의 검증을 위해 선행된 실내실험을 모사하여 계측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하였고, 제안된 해석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해석 대상물의 크기를 결정하였고, 다양한 스터드의 형식과 배치간격을 고려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KEPIC SNG를 만족하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를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치해석과 기준의 검토를 통하여 개선된 스터드의 최적 형식 및 배치안을 제시하였다.
        104.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the slab type precast module. To achieve this, the designed slab type precast module was made using the manufacturing facility for the precast modular superstructure and the flexural performance test was conducted.
        105.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comparison of the test results for material behavior for dry cast steel and synthetic fiber reinforced concrete. ASTM C1609 flexural beam test were carried out for two different fiber dosages of synthetic and steel fibers. Synthetic and steel fiber dosages were 2.4 kg/m3 and 13.1 kg/m3,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of tests, material properties were found including; compressive strength, first-peak load, peak load, and specimen toughness. ASTM beam load- deformation plots were obtained for each fiber beam to show the fiber behavior and strengthening after the initial crack.
        106.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ight small scale circular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ere tested under cyclic lateral load with constant axial load. Test specimens were designed with 4.5 aspect ratio. The selected test variables are longitudinal steel ratio, transverse steel ratio, yielding strength of longitudinal steel and axial load ratio. The test results of columns with different longitudinal steel ratio, transverse steel ratio and axial load ratio showed different seismic performance such as equivalent damping ratio, residual displacement and effective stiffness. It was found that the column with low strength of longitudinal steel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seismic performance, especially for equivalent damping ratio and residual displacement. The regulation of flexural over-strength is adopted by Korea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Limited state design, 2012). The test results are compared with nominal strength, result of nonlinear moment-curvature analysis and the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AASHTO LRFD and Korea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Limited state design).
        107.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joint connection of the precast steel grid composite decks, the prefabricated joint which is composed of concrete shear key and high-tension bolts was already proposed.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bending stiffness and bending strength of the proposed prefabricated joint section details of the proposed joint are modified, and through experimental tests the bending performance, such as stiffness and strength of a modified joint, is compared with those of the proposed joint. Test and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shear cracks in the concrete shear key are clearly reduced by the strengthening of the shear key using shear studs and additional rebar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of the moment-curvature relationship, bending stiffness of the modified joint is about 47% greater than the stiffness of the proposed joint. Furthermore, the modified joint has about 32% greater bending strength than the proposed joint. Compared to specimens without the joint the modified joint has same or slightly higher bending strength, but about 37% lower bending stiffness.
        108.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프리캐스트를 통한 모듈화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교량 및 빌딩 뿐만 아니라, 원전구조물, LNG 가스탱크, 중소형 강합성 구조물 등 특수구조물에도 프리캐스트 모듈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 제작의 시공 및 작업성, 원활한 자재의 조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페로시멘트 (ferrocement)를 바탕으로 한 스틸메쉬로 보강된 모르타르 프리캐스트 패널을 제작하였다. 모르타르는 고강도 및 고유동성을 지니도록 실리카퓸과 고로슬래그의 배합율에 대한 변수연구를 통해 최적의 배합을 선정하였으며, 1,200×600×150mm의 패널을 제작하여 스틸메쉬로 보강한 모르타르 시편과 일반 철근콘크리트 시편을 보강비 2%와 4%로 각각 제작하였다. 제작된 스틸메쉬로 보강한 모르타르의 프리캐스트 모듈화의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재료물성실험과 자유건조수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선하중으로 하중을 재하하여 3점 휨 시험으로 스틸메쉬로 보강한 모르타르의 구조성능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스틸메쉬로 보강된 모르타르 프리캐스트 패널은 높은 휨성능 및 연성효과가 있으나, 4%로 보강된 스틸메쉬 모르타르 프리캐스트 패널은 전단보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진다면 프리캐스트 모듈화 부재로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109.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structural performances of prestressed composite beam with steel pipe sleeves was verified. Steel pipe sleeves in the composite beam provide the convenience of piping and facility plans. To evaluate the flexural capacity of the composite beam, analyt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our test specimens has progressed.
        110.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isting evaluation method of flexural strength of the hollow slab considering only compressive zone above the hollow part is conservatively evaluated. In this study, the practical compressive zone of the hollow slab are considered to evaluate its flexural performance according to neutral axis location
        111.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flexural performance of concrete and strain-hardening cement based composite (SHCC) beams reinforced with normal and high-strength steel bar to evaluate the effect of reinforcing bar strength and cement composite type. The present investigation shows the potential of high-strength structure materials used of high-strength reinforcing bars with SHCC. And superior mitigation of crack-damage is observed reinforced SHCC beams than reinforced concrete beams
        112.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valuate the flexural performance of composite precast concrete ribbed slabs, tests are conducted with the variables of dapped-end configurations, support conditions, and longitudinal reinforcements. As the result of the tests, the performance should be evaluated by experiments and analyses using STM(Strut-Tie Model) for the design of dapped-end members
        11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t was developed eco-friendly geopolymer concrete using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and alkali activator(water glass, sodium hydroxides). Also, it was evaluated the flexure capacity of the RC beams using geopolymer concrete. The eco-friendly concrete using geopolymer encouraged alkali activation reaction has rapid hardening speed and showed possibility as a high strength concrete. Also, the RC beams applied this showed similar movement and destroy tendency with RC used previous cement
        114.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ve specimens were planned and conducted the experimental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flexural performance of the pre-stressing hybrid FRP panel. As the result of test, The reinforced specimen with hybrid FRP panel and the pre-stressing specimen show the structural behavior comparison with the non-reinforced specimen
        115.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탄소섬유판 매립공법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탄소섬유판 표면매립공법은 피복부 콘크리트의 강도 부족과 높이 부족 등으로 인하여 그 적용의 제한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전단 스터럽을 절단하고 탄소섬유판을 주철근의 위치에 표면매립 보강하는 공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일반적인 표면매립공법과 스터럽을 절단하고 표면매립공법을 적용한 보에 대한 휨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탄소섬유판의 길이를 실험변수로 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전단 스터럽을 절단한 보강 보의 휨거동은 일반적인 표면매립공법이 적용된 실험체의 거동과 유사한 전형적인 휨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스터럽의 절단으로 인한 구조거동상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일반적인 현장 여건에 의하여 탄소섬유판의 적용이 곤란한 경우에는 스터럽을 절단하는 본 공법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116.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evaluate performance of two-way acting insulated sandwich wall panels through flexural experiment. The two-way acting panel resists wind loading on the panel and on the window. In this study, GFRP(Glass Fiber-Reinforced Polymer) Grid-type shear connectors are used for the composite action of the sandwich wall panels. Layouts of shear connector are considered as main parameter of this experimental study.
        117.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evaluate fatigue resisting capacity of insulated sandwich wall panel under wind-induced fatigue loading. The fatigue loading is calculated based o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Weilbull and Rayleigh). The serviceability of the insulated sandwich panel was evaluated subjected to the probability-based fatigue loading.
        118.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about flexural performance of shotcreting SHCC according to stag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hotcrete SHCC is possible to connection of reinforced concrete frame and retrofitted member.
        119.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파형강판을 이용한 구조물은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하여 공기단축효과 및 경제성 등이 우수하고 유지관리비의 절감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수로암거 및 생태 이동 통로등에 철근콘크리트 암거 대체 재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적용실적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형강판을 사용한 구조물은 주로 아치형과 박스형의 두가지 형태이며, 아치형 구조물은 압축력에 의하여 설계하며 박스형 구조물은 플레이트 부재내의 모멘트에 의하여 설계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골형 파형강판보다 골의 피치와 깊이가 늘어난 성능 개선된 파형강판의 성능을 평가고하고 설계에 반영하기 위해 정적 압축 시험 및 휨시험을 수행하여 시험체 두께별 이음부의 극한강도 및 모멘트 강도를 검토 하였다.
        120.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 구조물의 보강공법으로는 강판 보강공법이 대표적인 방법으로 통용되고 있으나, 일부 구조물에서는 고정 설비 및 기타 간섭물로 인하여 보강 시공이 번거롭고, 보강부재 접합시 원부재의 단면 손실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 강재의 원가 상승으로 강판 보강공사의 시공비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복합소재를 이용한 보강공사의 경우는 재료의 자중이 가벼워서 보강재 취급이 수월하고 내화학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강 구조물의 보강의 기술적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강재와 복합소재와의 부착성능 및 보 부재를 통해 휨 보강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항복 이전까지는 강재와 아라미드섬유 쉬트가 일체 거동에 따른 보강효과를 예상할 수가 있었다. 또한, 보강 겹수가 증가함에 따라 무보강 실험체 대비 내력이 증가했지만, 예상 보강효과(1겹에서 12.5%, 2겹에서 25%)에 비해 절반 정도의 수준의 개선효과를 보였다. 그 이유는 모든 보강 실험체가 계면파괴로 파단되었고, 이후 아라미드섬유 쉬트가 실험체 내력 개선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 복합소재의 재료적 개선 및 접착제의 부착성능 향상으로 인하여 강 구조물의 보강공사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으나, 보강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착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