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2

        101.
        200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700원
        10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of obese children on body weight control program. The body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ed nutrition education, psychotherapy and exercise for weekly session during 9 month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total of 27 obese children(boys 44.4%, girls 55.6%)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verage age of children was 11.7 years,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41.7cm and 48.1kg respectively. Rohrer index(RI) of childre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67 to 163(p〈0.001) and BM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4.5 to 23.9 (p〈0.01) after body weight control program. This study also found obesity index(O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33% to 128%(p〈0.01) of 18 children after program.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d habits score but frequency of overeating, and eating frequency of mea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05) after body weight control program. Also depression sco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body weight control program(p〈0.001) and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r=-0.552) between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The factors analysis of anxiety items indicated that children had feelings more calm and sate after program(p〈0.05). Therefore continuous and practical nutritional education and psychotherapy to change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are necessary to decrease child obes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dy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ing nutrition education, exercise and psychotherapy may be effectiv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body health of obese children.
        4,000원
        103.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아로마 처치를 학교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아동들의 발표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불안이 감소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통제집단(남 20명, 여 15명), 실험집단(남 21명, 여 14명) 총 70명이고, 제시자극은 lavender barreme, lemon, orange sweet, chamomile roman의 향을 가습기를 통하여 분사하고, 자연적으로 냄새를 맡게 하였다. 처치전, 처치 1주 후 및 2주 후에 자기보고식으로 이루어진 발표불안척도(SAS)와 교사의 평가로 이루어진 발표행동평가척도(SBES)를 통하여 발표불안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아로마 처치를 받은 아동들이 그렇지 않은 아동들에 비해 유의하게 발표불안이 감소하였고, 발표행동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4.
        200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106.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109.
        200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800원
        110.
        2002.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111.
        2000.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116.
        202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하타요가 프로그램이 매우 민감한 사람(Highly Sensitive Person, 이하 HSP)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성인 31명(남 8명, 여 23명, 평균연 령 24.29±4.33세)으로, 하타요가 프로그램을 적용한 HSP(n=7), 비HSP(n=9) 실험집단, HSP(n=8), 비HSP(n=7) 통 제집단의 하타요가 프로그램 전·후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Highly Sensitive Person Scale, 한국판 스트레 스 자각 척도(PSS), 한국판 우울-불안-스트레스 척도(DASS-21),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자 료는 기술통계, 사전동질성 검정을 위한 분산분석,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참여 자 중 HSP(n=7), 비HSP(n=6) 참가자와 반구조적 면담을 수행하였다. 결과: 사전·사후 측정시기(집단내 효과)에 따라 DASS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HSP의 DASS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 폭이 가장 컸다. 측정시기×집단(사전/사후×HSP/비HSP)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스트레스 자각, DASS스트레스, DASS우울 에서 유의했으며, HSP실험집단의 사후 DASS스트레스 및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시기×실험여부(사전/사후×실험/통제)에 따른 상호작용 역시 DASS스트레스, DASS우울에서 유의했는데, 실험 집단은 사후 DASS스트레스 및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보였다. 실험집단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측 정시기(집단내 효과)에 따른 스트레스 자각, DASS스트레스·우울·불안,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측정시기×집단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스트레스 자각과 DASS우울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HSP의 실험 후 스트 레스와 우울감소가 더욱 큰 폭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하타요가 프로그램은 HSP여부 와 관계없이 스트레스, 우울 감소 및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하타요가 프로그램의 효과는 HSP의 스트레스와 우울 감소에 보다 긍정적이다. 이는 정신건강 문제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매우 민감한 사람(HSP)에 게 하타요가가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정신건강관리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17.
        202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쟁불안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파악한 후 관련 내용을 토대로 타당성과 신뢰성이 있는 축구선수용 경쟁불안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질적 분석 단계 106명, 본 조사 단계 291명, 외적 타당도 확보 단계 176명, 총 축구선수 573명이 참여하였다. 질적 자료는 개방형 질문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양적 자료는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18.0 Version과 AMOS 20.0 Version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첫째, 경쟁불안은 인지 불안, 수행 불안, 환경 불안, 신체 불안으로 4개의 일반 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문항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17문항을 제거한 후 축구선수들 의 경쟁불안 4요인 24문항을 추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 도구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셋째, 개발 된 축구선수 경쟁불안 측정 도구는 수렴 타당도, 구인 동등성 검증, 잠재평균 분석을 통해 외적 타당성을 확보하 였다. 결론: 축구선수들의 경쟁불안 측정 도구는 선수의 불안을 측정하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18.
        202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our types of environmental enrichment on the improvement of companion dogs' behavioral problems due to separation anxiety. A total of 21 dogs of various breeds were includ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s associated with anxiety in dogs, including vocalization, elimination, escape attempts, and destructiveness. A first stage, in which the dog and owner were together (P0), lasted 15 min, and a second stage, in which the dog and owner were separated (P1), lasted 15 min. After the dog and owner were separated (P1), the third stage (P2), during which the environment was enriched, lasted 20 min, and the fourth stage, following environment enrichment (P3), lasted 15 mi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compared to P0, the frequency of problematic behavior was highest during the 15 min following separation from the owner (P1). Following environmental enrichment, the average frequency of problematic behaviors in P2 decreased (P < 0.001) compared to P1. Environmental enrichment can also be used appropriately in the case of companion dogs, including shelter dogs or experimental dogs that use a limited kennel, and is a particularly effective mean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dogs.
        119.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 기법(EMDR)이 운동선수의 경쟁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fNIRS를 활용해 전전두엽 피질의 활성화 차이를 비교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불안요소면담, 경쟁상태불안검사지(CSAI-2), 스포츠심상능력질문지(SIAQ)를 활용하여 대학부 운동 선수 9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OBELAB fNIRS장비와 Matlab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는 시간 순서대로 전전두엽의 활성화를 측정하였으며, 기저선, 사전심상, 양측성안구운동프로그램, 사후심상 순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경쟁불안을 유발하기 위해 심상을 활용한 결과, 전반적인 전전두엽의 활성화가 낮아졌다. 둘째, 양측성 안구운동 프로그램 적용 결과, 사전심상과 사후심상에서 우측 전전두엽의 활성이 낮아졌다. 셋째, 양측성 안구운동 회기별 측정 결과, 양측성 안구운동 중 우측 전전두엽이 활성화되었다. 결론: EMDR이 운동선수의 경쟁불안과 관련된 기억으로 인한 부정적인 정서상태를 긍정적으로 빠르게 재처리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스포츠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경쟁불안을 빠르게 조절하는 데에 EMDR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120.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스포츠 건강 심리학 관점에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건강 행동을 증진하는 방법을 탐구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당뇨병 질환으로 인한 건강 관리와 유지를 위해 규칙적인 운동 참여가 필수적 인 당뇨병 환자들의 동기 유형을 파악하고, 동기 유형과 불안과의 관계를 규명했다. 방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2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동기 유형과 불안을 측정하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부가적으로 불안 수준 과 성별에 따라 동기 유형의 차이를 확인했다. 결과: 연구결과, 확인규제는 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외적규 제는 불안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차이검증에서도 통합규제와 확인규제가 높은 당뇨병 환자들은 불안 수준이 낮 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외적규제가 높은 당뇨병 환자들은 불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동의 중요 성을 인식하는 동기를 갖고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할 때 불안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외적 보상, 죄 책감이나 처벌을 피하려는 동기를 갖고 운동에 참여할 때는 불안이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 이러한 연 구결과는 당뇨병 환자들이 불안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개인이 지닌 동기 유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통합규제와 확인규제를 지니고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자신이 원 하고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심리적 건강에 이롭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대 로 가족이나 의사의 지시나 질책으로 운동에 참여하는 것은 심리적 건강에 해롭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당뇨병 환자들의 운동 상담 및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환자들의 동기 특성을 반영하고, 이를 계획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