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vel eco-friendly adsorbents were prepared through pyrolysis and acid activation of raw almond leaf (RAL) to form almond leaf biochar (ALB) and chemically activated almond leaf biochar (CAL), respectively. The prepared adsorbents were characterized using TGA, FTIR, SEM–EDX, BET and XRD techniques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vestigated. RAL, ALB and CAL were utilized for adsorption of BPB dye from aqueous solution using batch technique under optimum conditions. The optimum dye adsorbed by RAL, ALB and CAL were 92.83, 93.21 and 94.89%, respectively at pH 3, dye initial conc. (100 mg/L), adsorbent dose (0.04 g/25 mL), 60 min contact time and 301 K adsorption temperature. Although, Langmuir maximum monolayer adsorption capacities were found to be 365.36, 535.62 and 730.46 mg/g for RAL, ALB and CAL, respectively, but isotherm conformed to Freundlich model. Kinetic study confirmed suitability of pseudo-second-order model with rate constant 9.33 × 10–4, 9.91 × 10–4 and 12.60 × 10−4 g mg−1 min−1 for RAL, ALB and CAL, respectively. Negative values of thermodynamic parameters (ΔG and ΔH) established sequestration process to be spontaneous and exothermic. RAL, ALB and CAL were discovered to be highly efficient adsorbents that could be used in place of expensive commercial adsorbents.
우리나라의 '해양오염방제 자재·약제의 성능시험기준 및 검정기준 중 ‘생물에 대한 영향시험’(생태독성시험)의 시험방법과 판정 기준의 개정과 관련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현행 기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가별 제도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Skeletonema costatum을 이용한 성장저해시험의 경우, 배양액 색조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기준 대신 측정된 성장률을 적절한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는 과학적인 기준이 도입되어야 하며 시험기간의 경우, 지수성장기를 고려하여 4일 이내가 합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어류를 이용한 독성시험의 경우, 다양한 물질에 대한 독성시험 및 비교연구를 통해 방제 자재에 대해 일관되고 적절한 민감도를 나타낼 수 있는 보다 적절한 어체크기에 대한 재설정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판정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종의 경우, Artemia sp. 대신 해양 윤충류인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가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어류시험의 경우, 굴류(Oyster)와 같은 이매 패류의 분류군을 이용한 독성시험으로의 대체 역시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양오염방제 자재·약제의 형식승인 시험과 관련하여 생태독성시험 분야의 경우, 업무의 특수성과 결과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별도의 공인시험기관 지정 또는 관련 유사 법률과 연계한 일원화된 창구가 필요하며 수용가능한 수준의 시험비용 산정과 시험항목 조정을 통한 합리적인 제도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이산화탄소, 휘발성 유기 화합물,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독성 가스의 감지 및 모니터링이 중요시되고 있다. 새롭게 합성된 0 차원의 비납계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는 광학적 방법과 전기적 방법을 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스 센서 특성을 가진다. 친환경 가스 센서는 결정의 상변이를 기반으로, 광학 및 전기적 특성 변화를 가져 하이드록실기 감지가 가능하며, 하이드록실기 극성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차세대 센서 소자로의 응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Eco-friendly consumption is a prominent trend in the fashion industry, by which many firms attract the interest of consumers using a green marketing strategy. However, “greenwashing” (caused by distorted, exaggerated, and false information) gives rise to consumer conf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mer confusion and value on price sensitivity and purchase intention. Data was collected from 228 respondents using a questionnaire that was distributed to consumers living in Seoul and Kyunggi, South Korea. The data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using SPSS 23.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ctor analysis showed the consumer value variable was significantly categorized in altruistic and self-expressive values. All variables (altruism, selfexpression, consumer confusion, price sensitivity, and purchase intention)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ly good internal validity. Second, altruistic consumer value was shown to positively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but self-expressive consumer value had no significant effect. Third, consumer confusion on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had a nega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urth, altruistic and self-expressive consumer values had no effect on price sensitivity. Fifth, consumer confusion on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positively affect price sensitivity. Sixth, price sensitivity on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had a nega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fashion firms should provide a certified green mark to consumers to eliminate confusion and deliver the right message without greenwashing. Moreover, fashion firms should develop green marketing strategies that are more focused on altruistic consumers.
본 연구는 농가소득에 비해 농약가격이 비싼 저개발국가에서 농약의 사용을 줄여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담배가루이 및 아메리카잎굴파리가 좋아하는 오이, 가지, 참외 3가지 작물 중 토마토 재배에 가장 유리한 유인식물로 생육온도 및 재배방법이 유사한 오이를 선발하였다. 가지는 초장이 작고 토마토보다 고온을 요구하여 겨울 재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참외는 곁순이 많이 나와 오이보다 재배 관리가 어려웠다. 토마토 재배 시 유인식물로는 오이가 가장 적합하였다. 2. 토마토 10, 15, 20주 당 1주 씩 오이를 정식한 후 Emamectinbenzoate 유제 2.15%와 Pyridaben 수화제 20%를 혼합하여 유인식물에만 7일 간격으로 살포한 결과, 토마토 전체 포장에 살충제를 처리한 결과와 유사한 담배가루이 및 아메리카잎굴파리 발생 및 피해 정도를 보였다. 3. 유인식물을 많이 정식 할수록 토마토의 정식 주수가 줄어들어 토마토의 수확량이 감소하므로 유인식물의 재식주수가 가장 낮은 토마토 20주 당 1주 씩 오이를 정식하는 것이 가장 높은 생산량을 기대할 수 있다. 4. 오이를 유인식물로 사용할 경우 해충의 출현이 토마토만 정식하였을 경우보다 6~12일 빠르므로 예찰에 유의하여야 한다.
The study applies the concept of consumer innovativeness to predict India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f electric car and wood fibre-based clothing. Consumers with high novelty seeking attitudes appear to be early adopters of these two eco-innovations suggesting that marketers need to highlight the novelty attributes of these sustainable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