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1

        101.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co-innovation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a firm's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strategy and provides both environmental benefits and competitiveness, resulting in a win-win situation.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n the business performance, little is known about how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affects eco-innovation (i.e. eco-process, eco-product, and eco-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Building upon the resource-based view and dynamic capabilities perspective, I develop a model to explain how relational capital ma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firm relational knowledge stores and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and how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enhance eco-innovation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buyer-supplier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a survey of 124 OEM suppliers in Taiwan show that the relational knowledge stores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and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has a positive effect on eco-innovation. Our findings also show that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knowledge stores and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was stronger when the relational capital was high as opposed to when it was low. This study contributes to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why some firms engage in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than others, analyzing relational knowledge stores as a predictor and relational capital as moderator. I discus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102.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research provides insight into how socialisation and learning aids consumers to form their ecological self. Past research establishes that ecological self, expressed as environmental identity, positively drives responsible consumption, but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how consumers form their ecological selves and environmental identities. The aim is to provide a broader motivational structure that drives the formation of nature identity and its influence on responsible consumption behaviour. The ethnographic data uncovers the cognitive thoughts, affections, symbolic inferences and natur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guiding the formation of the ecological self, attachment to nature and ecological worldviews, which then drives responsible consumption behaviour. The conceptual framework outlines the overall motivation driving ecological self and identifies emotional, religious and spiritual attachments to guide the development of ecocentric, theocentric and transcentric ecological worldviews. This research mainly contributes to theory development and social marketing efforts.
        10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novative application methodology of Geofoam for sustainable design of eco-bridges under deep soil cover. Traditionally, the soft maerial zone has been located on the top or above the buried conduit to reduce the earth pressures, which is called imperfect trench installation (ITI). There, however have been no previous studies for the application of ITI on buried arch structur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effects of Geofoam surrouding buried arch bridges, which was named as embedded trench installation (ETI). Various shapes and locations of Geofoam have been investigated for both ETI and ITI.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ETI could effectively increase the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of deeply buried eco-bridges.
        4,000원
        10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생태통로란 자연환경보전법 제2조 9호에 “도로, 댐, 수중 보, 하굿둑 등으로 인하여 야생동식물의 서식지가 단절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생동식물의 이동 등 생태계의 연속성 유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인공 구조물 식생 등의 생태적 공간”이라고 명시되어있다. 생태통로 모니터링은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야생동물의 현황을 파악하고 설치의 실효성을 평가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 다. 현행 조사기법은 생태통로에 카메라 트랩을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조사자가 촬영 데이터를 회수하여 육안판독을 통해 야생동물 객체를 식별하여 정리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센서 카메라에 촬영된 동영상을 일일이 확인하여 진행 하므로 분석에 장시간이 소요되며 조사자의 종별 동정능력에 따라 조사결과의 품질 차이가 발생하는 한계가 있다. 최근 이미지 인식 분야에서 딥러닝을 활용한 기법은 영상 내 에서 객체를 자동 식별할 뿐만 아니라 개체 수, 이미지 설명 등을 높은 수준의 정확도로 탐지하고 있다. 따라서 카메라 트랩에 딥러닝 기법을 적용하면 야생동물의 동정, 탐조 및 움직임 정보 등을 자동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미지 인식 분야 딥러닝 기법을 생태통로 모니터링에 적용함으로써 기존 육안판독의 소요시간을 줄이고, 인적오류를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지역은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생태통로를 선정하였다. 죽령 생태통로는 소백산국립공원 내 유일한 생태통로로 공원구역을 가로지르는 국도 5호선에 의해 단절된 서식처를 연결하고 야생동물의 휴식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 다. 터널형 생태통로로, 폭 약 8m, 길이 21m의 규모이다. 2003년에 설치되었으며 2004년부터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위임받아 현재 소백산국립공원북부사무소가 관리하고 있다. 국립공원 생태통로 중 가장 많은 자료가 축적(2011년 -2015년 집계 기준)된 곳으로, 2005년부터 현재까지 13년 간의 모니터링 자료가 축적되어 있다. 따라서 딥러닝 학습 을 위한 데이터 확보가 용이하다. 본 실험은 카메라 트랩의 딥러닝 기반 영상분석을 실험하는 초기연구이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신경망 모델과 소량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딥러닝은 영상 인 식 분야에서 사용되는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죽령 생태통로에서 발견 확률이 높은 삵, 고라니, 노루, 멧돼지, 너구리 5종에 대한 모니터링 자료(카메라 사진과 동영상)를 수집하였다. 동영상의 경우, 고정된 위치에서 움직이는 객체를 탐지해야 하기 때문에 컴퓨터 비전 기법을 통한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 하였다. OpenCV(Open Source Computer Vision Library)는 영상추적 알고리듬을 제공하는데 이를 통해 야생동물 객체의 최소경계사각형을 탐지하고 각 프레임을 이미지로 저장하였다. 탐지된 이미지는 크기와 해상도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CNN의 입력 데이터로 인식시켜주기 위해 100×100 화소 크기로 조정하였다. 딥러닝을 비롯한 머신러닝 문제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훈련 데이터와 시험 데이터로 나눠 학습과 실험을 수행한다. 훈련 데이터는 모델의 최적의 매개변수를 찾는데 사용 되며 시험 데이터는 앞서 훈련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임의 추출을 통해 야생동물 종별로 1,000장의 훈 련 데이터와 400장의 시험 데이터(총7,000장)를 선택하였다. 훈련 데이터는 동물의 전신 이미지는 드물었으며 얼굴 과 몸의 일부만 촬영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CNN 모델은 5층 신경망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미지 규모를 고려하여 영상증강(image augmentation) 기법을 적용하였다. 모델 구현에는 오픈소스 딥러닝 라이브러리 TensorFlow와 Keras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야생동물 5종에 대한 CNN 모델은 96.25%의 정확도를 보였다. 고정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야생 동물의 행동 패턴이 비교적 단순하여 객체 식별에 유리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야생동물의 제한적인 종류는 예측 정확도에 기여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행 수동식별과 대비하여 본 기법의 적용은 조사 자동 화에 따른 시간절감과 객관적 품질 확보라는 측면에서 활용 잠재력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델이 최종적으로 정립되 면, 조사자가 회수된 현장 데이터를 입력만 하면 생태통로 모니터링 통계를 자동 계산하는 프로그램으로 제공 가능할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CNN의 생태통로 모니터링 적용 가능성을 검증해 본 것으로 간단한 모델과 데이터를 통해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현재 카메라 트랩 이미지를 대상 으로 CNN의 최신 연구들이 진행 중이나, 실제 적용해 본 바로는 자동 전처리에 관한 연구가 충분히 이뤄져야 할 것 으로 판단된다. 차기 연구에서는 사전 학습된 CNN 모델에 현장 이미지를 추가한 트랜스퍼 러닝(transfer learning)을 적용하여 범용적인 활용도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10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테인레스 스틸에 대한 도료수지의 기계적 특성은 SEM, FT-IR, 인장특성, 그리고 [NCO]/ [OH]의 mole %, 입도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친환경적인 도료에 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에 코팅하는 무용제 도료를 합성하였다. 폴리올, MDI, 충진제, 실리콘 계면활성제, 촉매 등이 함유된 기존 도료수지보다 식물성 오일이 함유된 폴리올, MDI, 충진제, 실리콘 계면활성제, 촉매로 이루어진 합성 도료 수지의 코팅이 내구력과 강도가 양호하였다. 견고한 도료 수지의 기계적 특성은 식물성 오일이 함유된 폴리올로 합성된 폴리우레탄 코팅의 접촉각이 더 컸으며, [NCO]/[OH]의 mole%가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식물성 오일이 함유된 친환경 도료가 스테인레스 스틸 같은 금속물질의 부식방지용 코팅에 좋은 물질이다.
        4,000원
        10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develops eco-friendly asphalt reinforcement materials applicable to bridge deck pavement. The main purpose is to ensure highly reliable quality applicable to structures and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The main target of the study is to develop materials that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apable of improving performanceMETHODS: The application of double-reinforcement fiber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road pavement. 1. We use recycled film for application of sheet-typed reinforcement. 2. We use preprocessing fibers to reinforce the properties of composite pavement materials.RESULTS : The developed products may produce materials that fit the purpose of achieving stabilit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Sheettyped reinforcements use more than 50% recycled resin. The most important type of damage to the asphalt layer is deflection (plastic deformation). These products have a very high deflection resistance of not less than 6,000 cycles/mm. In addition, all performance is excellent. Thus, it will be easier to access the field in the future.CONCLUSIONS: Fiber-reinforced asphalt pavement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Sheet-typed reinforcements containing 50% recycling resin produced good performance in terms of functionality as well as environmental friendliness. Thus, enhancing the field applicability will enhance the usability of the reinforcements.
        4,000원
        109.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향후 활용에 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하지 만 단순한 활용은 의미가 없다. 새로운 방식으로 탈바꿈 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에 관심을 가지면서 창조경제혁신센터형 생태계의 변화방향에 대한 단서를 얻는 것을 연구목적 으로 하였다. 연구는 다음의 과정을 거쳤다. 첫째, 창조생태계 비교를 위한 기준을 이론적 고 찰을 통해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기준을 중심으로 실리콘 밸리, 교토생태계 및 창조경제 혁신센터형 생태계를 비교하였다. 셋째, 이런 분석을 통하여 창조경제혁신센터형 생태계 변 화방향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변화방향으로는 교토생태계가 적합할 것으로 제시되었다. 단, 정부의 역할은 직접적 통제에서 환경조성, 예로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형 생태계가 살아날 수 있도록 자극하는 규제완화와 시장형성을 돕는 것 등에 국한되어야 할 것으로 제시하였다.
        5,500원
        113.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tudied the basic properties and fabrication of reduced graphene oxide (rGO) prepared using eco-friendly reduction agents in the graphene solution process. Hydrazine is generally used to reduce graphene oxide (GO), which results in polluting emissions as well as fixed nitrogen functional groups on different defects in the graphene sheets. To replace hydrazine, we developed eco-friendly reduction agents with similar or better reducing properties, and selected of them for further analysis. In this study, GO layers were produced from graphite flakes using a modified Hummer’s method, and rGO layers were reduced using hydrazine hydrate, L-ascorbic acid, and gluconic acid. We measured the particle sizes and the dispersion stabilities in the rGO dispersed solvents for the three agents and analyzed the structural,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rGO fil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reduction was in the order L-ascorbic acid ≥ hydrazine > glucose. GO reduced using L-ascorbic acid had a sheet resistance of 121 kΩ/sq, while that reduced using gluconic acid showed worse electrical properties than the other two reduction agents. Therefore, L-ascorbic acid is the most suitable eco-friendly reduction agent that can be substituted for hydrazine.
        4,000원
        11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공원에서는 도로로 인한 서식지 단절에 따른 야생동 물 로드킬을 저감시키기 위한 자료 확보를 위해 전국 17개 국립공원(설악산, 오대산, 소백산, 월악산,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 계룡산, 경주, 내장산, 가야산, 주왕산, 태안해안, 치악산, 월출산, 변산반도, 무등산) 내 관통도로와 12개 생 태통로(한계령, 진고개, 월정사, 죽령, 지릅재, 밤치재, 버리 미기재, 신풍령, 시암재, 정령치 1, 정령치 2, 민목재)를 대상 으로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다. 그 중 소백산국립공원 죽 령생태통로는 2003년에 준공된 터널형 구조의 생태통로이 며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에 위치해 있다. 왕복 2차선 도로 하부에 설치하였으며 2006년부터 지속적으로 야생동물(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이용현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생태통로 총 길이는 21m, 너비는 7.6m이며, 입 구 크기는 가로 7.65m, 세로 4.5m이다. 죽령 생태통로 내부 에는 야생동물의 이용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샌드트 랩(족적판)과 무인센서카메라가 있으며 야생동물의 이용률 을 증진시키기 위해 소형동물이동로(인공 구조물)와 은신 처(돌무더기, 볏짚), 미네럴블럭을 설치·관리 하고 있다. 그 중 소형동물(다람쥐, 청설모, 하늘다람쥐, 조류 등)의 이용 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2015년 12월에 추가로 설치한 소형 동물이동로는 죽령생태통로 내부 양쪽 벽면에 목재로 제작 하였으며 높이는 약 1.3m 폭은 약 15cm이다. 본 연구는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생태통로 내 설치한 소형동물이동로 가 소형동물 이용률 증진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죽령생태통로 내 소형 동물이동로 설치전·후의 소형포유류(다람쥐, 청설모, 하늘 다람쥐) 이용률을 확인해 본 결과 설치 전인 2013년 2종 14회, 2014년은 2종 17회이었으며 설치시기인 2015년에는 2종 20회 이용하였다. 그리고 설치 이후인 2016년에는 3종 107회, 2017년 6월까지 3종 1,129회 소형포유류가 이용하 였다. 특히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인 하늘다람쥐의 경우는 소형동물이동로 설치 이후인 2016년부터 출현하기 시작하 였다. 또한 조류의 이용률을 확인해 본 결과 설치 전인 2013 년 3종 25회, 2014년은 5종 17회이었으며 설치시기인 2015 년에는 5종 10회 이용하였다. 그리고 설치 이후인 2016년에 는 11종 53회, 2017년 6월까지 12종 53회 이용하였다. 특히 굴뚝새, 동고비, 되지빠귀, 쇠유리새, 쇠딱따구리, 오색딱따 구리, 직박구리 등 7종은 소형동물이동로 설치 이후인 2016 년부터 출현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소형 포유류와 조류는 소형동물로이동로 설치전보다 설치이후 에 종수 및 이용횟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소형동물이동 로는 소형포유류와 조류의 이용률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115.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eco-friendly marketing research, it is only focusing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eco- friendly consumers. Therefore, in order to carry out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eco-friendly marketing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comprehensive model that examines the mechanism by which the leading variables of the enterprises factors affecting consumer’s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In this research,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considerations, it tries to present a research model that the core benefits and relational benefits of the retail store which is the advantage of VMD affect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through consumer's implicit and explicit motivation. And, considering the environment, this study assumes the regulatory role of the perceived risk on the environmental problems u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consumption motive and consumption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t clarifies the influence of the benefits of eco-friendly VMD in fashion retail stores on the eco-friendly consumption motive, which is a psychological factor of consumers, as a leading variable of corporat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green consumption behavior. The core benefits and relational benefits provided by eco-friendly VMD will identify differentiated impacts on consumer motivation, which is a psychological factor that drives green consumption behavior. Second, the types of motivations that cause eco-friendly behavior are classified into explicit motivation and implicit motivation, and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which type of motivation better predicts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Third, it tries to verify the moderating role of environmental perceived ris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licit motivation, implicit motivation and green consumption behavior. By further organizing the theme of eco-friendly marketing research, this study has it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derives a comprehensive model, moderating consumers’ green consumption behavior regarding eco-friendly marketing stimulates. It reveals the mechanisms that affect green consumption behavior backed by fashion retail stores where consumer buying behavior actually takes place.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subsequent studies of a more fragmented viewpoint for fashion retail stores’ eco-friendly marketing will be developed that will give consideration to consumers' green consumption behavior. Practical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very conveniently. In a practical dimension, if it becomes possible to thoroughly understand the mechanism by which eco-friendly VMD stimulation leads to green consumption behavior, retailers are possible to formulate an environmental marketing strategy peculiar to the target market segment. From a socio-policy perspective, retailers can encourage consumers' eco-friendly consumption by giving a stimulus of VMD to them. Moreover this study will promote companies to develop and manage healthier and more sustainable products.
        116.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cosystem is composed of various elements and maintains the function of the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cosystem type affect the culture of the area,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cocultural characteristics when establishing the polic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lue based on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of eco - cultural resources and to find out how to use it in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The target sites were Gyeongsangbuk - do province, and were evaluated using 7 items of natur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cio -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information used in the evaluation was 13 spatial information such as forest map, ecological and natural map, natural park distribution map, and it was ranked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policies such as tourism resourc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and evaluated by the minimum indicator metho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336 excellent areas were selected. In the selected area, 6 kinds of endangered species from 1,914 observation, and cultural resources were distributed from 194 sites. Since ecological resources and cultural resources are applied to the same evaluation method and expressed in a single scale, it is considered to be easy to use in administrative plans and policies. Further studies such as comparison of evaluation models and subdivision of grades are necessary.
        4,000원
        118.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short mileage per one electric charging have not been overcome at the electric vehicle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hybrid vehicle has been developed by securing the performance of automotive with the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 environmental benefit. Meanwhile, the electric UTV (utility terrain vehicle) which has this environmental benefit has been widely used for factories, parks, leisure and agricultural areas. In this study, the electric UTV was fabricated and attached the auxiliary power drive systems including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nto this electric vehicle in order to make up the hybrid (motor + photovoltaic) vehicle system. As the range of the hybrid UTV would be extended over 20% than that of the existing golf cart per one electric charging through this successful development, the dynamic stiffness was improved through light-weight body design.
        4,000원
        119.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감 해충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현재까지 주로 화학 살충제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화학 살충제의 과다 사용은 해충 저항성과 농약 잔류 문제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유기농자재 (Eco-Friendly Organic Pesticides; EFOP)의 주요 단감 해충 인 감꼭지나방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살충 활성을 검토하였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친환경 유기농자재 11 종을 실험실 조건에서 대상 해충에 분무 처리하였다. 대조 약제는 화학 살충제인 buprofezin+dinotefuran (20+15) 수화제를 사용하였다. 감꼭지나방에 대한 유기농자재의 살충 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감꼭지나방 유충의 개체수 부족 문제로 인하여 배추좀나방 유충을 1차 실험충으로 사용하였으며, 세 종류의 친 환경 유기농자재를 사전 선발하였다. 선발된 친환경 유기농자재는 목초액 (EFOP-1), 회화나무, 양명아주, 멀구슬나무의 혼합추출물 (EFOP-2),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NT0423 (EFOP-11)이었으며, 선발된 유기농자재의 감꼭지나방 유충에 대한 살충력 실험 결과, EFOP-2 의 처리구에서 생충율이 27.7% (5 일차), 13.3% (7 일차), 6.7% (10 일차)로 가장 높은 살충 효과를 보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살충 효과 평가에서는 회화나무, 양명아주, 멀구슬나무의 혼합추출물 (EFOP-2, EFOP-9)과 고삼, 데리스의 혼합추출물 (EFOP-10)이 높은 살충 효 과를 보였다. 특히 EFOP-2의 처리구에서 생충율이 20.0% (5 일차), 16.7% (10 일차)로 가장 높은 살충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친환경 유기 농자재인 EFOP-
        4,000원
        120.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hemical pesticides have been used to control persimmon pests, however the overuse of the pesticides caused insect resistance. Herein we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eco-friendly organic pesticides (EFOP) on the control persimmon pests, Stathmopoda masinissa and Riptortus pedestris. Eleven commercially available EFOP were sprayed on the target insects in laboratory conditions. The chemical pesticide, buprofezin+dinotefuran wettable powder served as a positive control. In the bioassay against persimmon fruit moth, the mixture of Chinese scholar tree, goosefoot and subtripinnata extracts (EFOP-2)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control efficacy: 27.7% (5 days) of survival rates. In the bioassay against bean bugs, the EFOP-2 showed the highest control efficacy: 20.0% (5 days) of survival r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xture of three plants extracts (EFOP-2) has high and multiple potential in the management of the persimmon p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