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7

        101.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과식물 2속 2종에 대한 30개 지역별 개체군의 유전적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PCR 과정을 통해 증폭된 RAPD 절편들은 300bp에서 2,000bp 사이의 구간에서 관찰되었다. 총 16개의 oligo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에서 156개의 유효한 polymorphic band makers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2종의 종내 개체군 군집에 대한 UPGMA phenogram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 유집형태에 근거하여 재배지 개체군과 자연집단 개체군과의 구분이 가능하였고 또한 지역별 개체군들끼리 유집되는 결과를 보였다. 2종 모두에서 지역별 개체군중 경남의 개체군과 제주도의 개체군이 전남의 개체군에 비해 유연관계가 밀접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RAPD 분석은 삼백초과 식물의 개체군별 유연관계를 분석하거나 재배집단과 자연집단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실험적 방법으로 생각된다.
        108.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enetic diversity among the genus Viola was evaluated using the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ethod. A total of 142 distinct amplification fragments by 18 random primers were scored to perform the cluster analysis with UPGMA. Viola species from the subsection Patellares were clustered into group I to IV. The groups from I to IV were consistent with its morphological taxonomy, series Pinnatae, Chinensis, Variegatae, and Patellares in the subsection Patellares, respectively. Even though V. albida and V. albida var. takahasii were classified in Chinensis, they were assigned into group I. The cluster analysis separated other subsections from Patellares in the section Nomimium. Interestingly, V. verecunda and V. grypoceras in subsections Biobatae and Trigonocarpae, respectively, were clustered into group C with a high similarity coefficient. Therefore, RAPD analysis can be used for providing an alternative classification system to identify genotyp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Viola species.
        109.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GMO 작물의 재배, 생산이 날로 늘어나며 GMO 작물이 환경에 미칠 수 있는 많은 가능성들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GMO 작물과 야생종과의 자연교잡에 의한 유전자 전이로, 잡초화의 문제점이 제기되며 생태계의 변화 및 파괴의 위험성이 우려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GM벼와 야생 및 근연종 사이의 교잡가능성 및 유전자 전이율을 조사하기 위한 유전자 이동의 분석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벼의 개화시기에 GM벼와 야생 및 근연종 간의 인공교배 후 수확한 교잡 추정 종자를 발아시켜서 제초제를 처리하여 교잡종자를 선별하였다. 또한 GM 벼 및 야생 근연종벼들 간의 RAPD PCR 분석을 통해 선별한 marker를 사용하여 낙동 교잡벼와 샤레 교잡벼가 GM 벼와 교배된 식물체임을 확인하였다. PCR 분석을 수행한 결과 GM벼에서 도입된 trehalose-6-phosphate phosphatase (TPP) 유전자와 선별marker로 사용된 bar유전자가 GM벼 뿐만 아니라 샤레 교잡벼에도 존재하였으며, 결과적으로 GM벼의 bar 및 tpp 유전자가 잡초성벼인 샤레 교잡벼에 전이되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110.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치식물인 참쇠고비에서 인위적인 돌연변이를 유기하기 위하여, 기내배양한 근경조직에 EMS, NMU 등의 화학돌연변이원과 colchicine을 처리하였다. 식물체 재생률을 근거할 때, EMS의 적정 처리농도는 20~50mM이었으며, NMU는 5~10mM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참쇠고비에서 엽의 색소 및 형태적 변이를 유도하는 데 있어 NMU가 EMS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현형 변이 식물체의 유전적 변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RAPD를 수행한 결과, 두 개의 10-mer primer에서 야생종과 변이주 사이에 다형성 DNA 밴드 패턴이 나타났다.
        111.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화 수집종의 RAPD 분석을 통한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를 밝히고 품종군을 분류하여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시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RAPD 분석에 적용한 37개의 Primer 중 25개의 적정 primer를 선발하였고, 증폭원 PCR산물은 0.1~4.0kb에서 재현성있는 band를 보였으며 각 primer에 의해 증폭된 band의 수는 1~9개로 다양하였고 평균 4.8개였다. PCR 반응에 사용된 25개의 primer에서 120개의 band가 관찰되었으며 다형성을 보이는 band될 수는 23개(19.2%)였다. RAPD-PCR에 의해 얻어진 dendrogram에서 유연계수 0.042를 기준으로 합을 했을 때 6개 군으로 분류되었고 II군과 III군은 각각 12종(38%)씩 속하였다.
        112.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벼멸구 저항성 품종인 '청청벼'와 감수성이면서 자포니카형 벼인 '낙동벼'를 교배한 DH 계통 및 F2 집단을 이용하여 벼멸구 저항성과 DNA marker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 520개의 RAPD marker를 이용하여 양친에 다형성을 보이는 310개의 marker를 찾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BSA를 통해 벼멸구 저항성과 관련있을 것으로 보이는 17개의 marker를 선발하였다. 2. 벼의 12번 염색체상에 위치한 38개의 SSR marker를 사용하여 모~cdot부본에 대한 다형성 검정을 실시한 바, 17개의 SSR marker를 선발할 수 있었다. 3. BSA를 통해 선발된 17개의 RAED marker와 DH 계통의 벼멸구 저항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벼멸구 저항성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OPE16700을 선발하였다. 4. SSR marker 및 OPE16과 65 DH 계통의 벼멸구 저항성과의 연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OPE16이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와 4.6cM 거리로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3.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쑥 수집종 80개를 대상으로 형태적 형질과 RAPD 분석을 하였고, 유전적 다양성을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품종군을 분류하였다. 주요 형태적 형질을 이용하여 쑥 수집종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군집간의 치대거리 0.82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였을 때 5개 군으로 분류하였는데, I군에 10개 (15%), II군에 30개 (37.5%), III군에 20개 (25%), IV군에 3개 (4%), V군에 4개 (5%)를 나타내었다. RAPD분석에 이용한 10-mer primer 에 대하여 98개의 밴드를 얻었고, 그 중 다형성을 보인 밴드는 68개로 69%였는데, 선발된 Primer에서 증폭된 밴드 수는 8~11개로 다양하였으며, 평균 9.8개였다. RAPD에 의한 군집 분석에서 유연계수 0.63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한 결과 6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다. I, II군이 각각 전체의 34%, 36%를 차지하여 가장 큰 군으로 분류되었고, 나머지 III~V군은 모두 소군으로 15%가 속하였다. 특히 I군에는 약쑥이 많았고, II군에는 뺑쑥이 많이 분포하였다.
        114.
        200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used RAPD markers to assume genetic diversity and variation in selected populations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Ratio of polymorphic RAPD markers were 93.4% in selected populations of Hovenia dulcis Thunb., difference of genetic structure among populations and within populations showed 16.45%, 83.55%, respectively in amount of total genetic variation of 4 populations. Total gene diversity(HT) that show genetic diversity appeared 0.313 and coefficient of gene differentiation(GST) that compare genetic differentiation of populations appeared 0.1645, analysis of AMOVA for variation among populations and within populatio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01). Genetic diversity of whole populations showed that 12.44% difference among population and 87.56% difference within populations. As a result, difference within populations was larger than difference among populations in genetic diversity. Nei's genetic distance and cluster analysis appeared that mean genetic distance among populations was 0.076, thus dividing two main groups and geographic relationship did not show in populations.
        115.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genetic diversity among 6 different wild ginseng populations from New York, Kentucky, North Carolina, Pennsylvania, Tennessee and Virginia, and to compare these wild populations to one cultivated population. RAPD markers were used to estimate the genetic difference among samples from the 7 populations. The 64 random primers were screened, and 15 primers were selected which exhibited the 124 highly reproducible polymorphic markers. The ratio of discordant bands to total bands scored was used to estimate the genetic distance within and among populations.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of the relation matrix showed distinctive separation between wild and cultivated populations. The MDS result was confirmed using pooled chi-square tests for fragment homogeneity. This study suggests that RAPD markers can be used as population-specific markers for American ginseng.
        116.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convenient and reproducible methods for identifying the genetic relationship among germplasms of Panax species based on molecular genetics.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analyses, genetic polymorphism of the Panax species was investigated with following cultivars and accessions, such as Chunpoong, Yunpoong, Kopoong, Sunpoong, and Kumpoong in domestic cultivars, Hwangsuk, Jakyung and Suckju in domestic accessions, and Panax quinquefolius L. and Panax japonicus C.A. Meyer in foreign introduced accessions, respectively. Specific DNA fragments ranging from 200 to 3,000 base pairs in size could be obtained with various ISSR and RAPD primers under the optimized PCR conditions. The dissimilarity coefficients among the genetic polymorphisms of ginseng cultivars and accessions were calculated from 0.26 to 0.90 in RAPD and from 0.12 to 0.89 in ISSR analysis, respectively. Eleven plant samples were grouped siblings together with cultivars and parents based on cluster analysis of genetic distance depending on genetic property such as origin of the species. In results, both RAPD and ISSR analyses were useful for identifying the genetic relationship among cultivars and accessions of Panax species at DNA level.
        117.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 (RAPD) 분석을 통해 한국산 물레나물 속 (Hypericum) 식물에서의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병풍산 고추나물과 지리산 고추나물 사이에 상당한 유전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지리산의 500m, 1000m 그리고 1300m 고도 차이에 따른 군락지별로도 밴드 패턴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동일 과(科)에 속한 물레나물보다는 서양고추나물이라고 불리는 St. John's wort가 고추나물과 유연관계가 더 가깝게 나타났다.
        118.
        200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PD analysis was performed to discuss the taxonomic statu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tribe Forsythieae and related groups. Two hundred and eighteen scorable polymorphic bands were detected from fourteen oligonucleotide primers. From the results of RAPD analysis by Nei and Li's genetic distance, each individuals of Abeliophyllum distichum showed high genetic relationships with ranging from 0.085 to 0.301, also the genus Forsythia showed from 0.042 to 0.655 among the species and populations. But, Abeliophyllum and Forsythia showed distinct dissimilarity, ranging from 0.610 to 1.258. And genetic differences among the population of Forsythia were 0.042 in F. koreana, 0.275 in F. saxatilis, 0.275 in F. ovata, 0.279 in F. nakaii, and 0.249 in F. viridissima. The UPGMA phenogram of tribe Forsythieae based on the results of RAPD analysis were presented that Abeliophyllum is distinct genus different from Forsythia. NJ tree which applied as the outgroups Fontanesia and Jasminum was derived, and it showed that tribe Forsythieae might be a monophyletic group. The genus Fontanesia was showed as sister group of tribe Forsythieae. Among the populations of taxa in Forsythia, F. koreana and F. saxatilis were more closely related, and F. ovata and F. nakaii were very closely related to F.japonica. And Fontanesia was the sister group of tribe Forsythieae.
        119.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cdot 외 찰벼 111개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수량구성요소, 아밀로스 함량, 알칼리 붕괴도등 작물학적 형질과 RAPD 분석을 통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검토하였고, 이들을 이용한 유연관계 분석에 기초하여 품종군을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물학적 형질을 이용한 군집분석에서 찰벼 유전자원은 4개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1군에는 51종(46~%) 이 차지하였으며, II군과 III군에 각각 25종(22.5~%) , IV군에는 10종(9~%) 이 속하였다. 특히 국내 수집종은 I, II군에 대다수 포함되었고, III군에는 indica 유전자원과 amylose 함량이 높은 유전자원들이 대부분이 포함되었다. 2. RAPD분석을 통해 선발된 15개의 primer로 부터 117개의 밴드를 얻었고, 이 중 다형성 밴드는 81개 (69.2~%) 였다. 선발된 primer에서 증폭된 밴드의 수는 5~~12 개로 찰벼 유전자원은 평균 7.8개 였다. 3. RAPD에 의한 군집 분석시 9개 군으로 분류되었다. 전체 유전자원의 77~% 가 I군에 속하여 가장 큰 품종군으로 분류되었고, 그 외 II-IX군은 소군으로서 23~% 가 속하였다. 특히 I군에는 indica형과 조생종들이 많았고, 소군인 III-IX군에는 국내수집 유전자원들이 대부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