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0

        124.
        200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개지역 4곳의 농가에서 재배한 재래종 녹차를 제다회사에서 녹차분말로 제다하여 일반성분, 비타민 C함량, 무기질 성분을 분석하였다. 녹차의 품질은 색차계로 녹차의 색도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녹차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은 , 조회분은 , 조지방 함량은 , 단백질 함량은 , 탄수화물은 를 차지하였다. 녹차분말의 총 비타민 C함량은 이었으며 산화형이 로서 비타민 C함량의 를 차지하였다. 녹차의 무기질 함량은 나트륨, 마그네슘, 칼
        125.
        200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온에서 가루차를 일반포장, 일반포장+항산화제, 일반포장+방습제처리시 4개월 이후 품질관련 성분인 총질소, 총아미노산, 탄닌, 카페인, 엽록소, 지방산 함량이 상당히 저하되었으며, 일반포장 + 진공처리는 일반포장 저장에 비해 1개월 정도 저장기간의 연장이 가능하였다. 제품의 표면색상은 저온보관시 일반포장에서는 저장 1개월에 a값(녹색)이 -16.43에서 저장 5개월에는 정도 감소된 -10.11로 크게 감소되었다. 외관과 내질에 따른 관능평가시 저
        126.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국 현지인을 대상으로 우리 나라의 녹차음료에 대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분포는 남자 , 여자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이었다. 녹차음료의 포장상태는 전체 응답자 중 가 만족하고 있었으며, 포장디자인은 , 인쇄정도는 가 만족하고 있었다. 하지만, 냄새와 향의 경우 와 로 다른 항목에 비해 기호도가 상대적을 낮았다.
        127.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ices of domestic green tea products are relatively expensive and price differences within products of the same levels of quality are various. Also, there is no basic criteria on evaluation of green tea quality. To group 43 commercial green tea products into several parts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d cluster analyses, this work was done by use of 8 chemical constituents which were analyzed by NIR system. The principal component and cluster analyses revealed 8 groups. The first group included 16 products that had lower free amino acid and theanine contents. The second group included 5 products having higher free amino acid and theanine contents, but lower ash contents. The third group included 13 products showing medium values of 8 constituents. The IV group included 4 products having higher contents of moisture, free amino acids, and theanine. The V group included 1 product showing higher moisture but lower catechins contents. The VI group included 2 products that had higher moisture and catechins contents, but lower free amino acid and theanine contents. The VII group had higher moisture and catechins contents. The VIII group had higher ash and vitamin C contents.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which were the most important in flavor evaluation of green tea quality did highly positively correlate with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0.956**),~;theanine~;(0.981**),~;and~;caffeine~;(0.793**) , but negatively with the contents of ash (-0.884**) . The catechins used as for functional ingredients did correlate with contents of caffeine(+) and vitamin C(-), respectively.
        129.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vy metals (cadmium, chromium, copper and lead) on the seed germination of Arabidopsis thaliana, and examinated the removal effects of biostone and green tea on the heavy metal toxicity. Cadmium and chromium among the four heavy metals had no effect on the seed germination even in the concentration fifty times higher than in the official standard concentration of pollutant exhaust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owever, seeds were not germinated in the concentration of copper ten times higher and in the concentration of lead fifty times higher than the official standard concentration. When seeds were sown in the solutions of lead (15, 20, 25 and 30 mg/L) and copper (15 and 20 mg/L), the seed germination rates were 0% and less than 10%, respectively. However, when biostone (3 g/30 ml) was added, the seed germination rate was 100% in all the concentrations. The germination rate was 100% in distilled water and copper solution (5 mg/L). However, green tea (0.2 g/30 ml) was added, the seed germination rate was 0% in both. The results show that cadmiun and chromium had no effect on the seed germination, but lead and copper decreased the rate of seed germination of Arabidopsis thaliana. Biostone removed heavy metal toxicity, but green tea did not removed heavy metal toxicity during germination.
        130.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 제조시 녹차 물추출물의 첨가방법이 발효특성과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추의 절임시 1% 녹차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10%소금물로 24시간 절임한 후 담근 김치(SG), 10% 소금물로 24시간 절인 후 1% 녹차 추출물에 30분간 담근 후 담근 김치(DG) 및 1% 녹차 물 추출물과 양념을 혼합하여 담근 김치(MS)를 1에서 숙성키면서 발효 특성과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김치의 숙성 중 pH는 전반적으로 녹차처리구가
        131.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차광한 차나무 잎의 엽위별 생육특성 및 차 품질 관련 주요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위엽으로 내려 갈수록 엽장, 엽폭, 백아중은 컸으나 엽수분은 감소하였다. 하위엽으로 내려갈수록 total nitrogen, caffeine, vitamin C, saponin 함량은 감소하였고, total amino acid, chlorophyll 함량은 4번 엽과 3번엽에서 각각 최대함량을 나타냈다. tannin은 9.53~11.24%로 1엽이 11.24%로 함량이 제일 많았고 4엽이 9.53%로 가장 적었다. fatty acid는 2엽에서 3,594mg/100g으로 함량이 가장 많았고, 5엽에서 2,782mg/100g으로 함량이 가장 적었다.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tic acid는 5엽에서 함량이 많았고,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는 2엽에서 함량이 많았다. 이상 분석 결과로부터 15일간 차광한 후 채엽한 가루녹차 원료는 5엽까지 채취하여 제다해도 품질에 있어서 큰 문제가 없다고 생각된다.
        132.
        200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제조시 녹차의 첨가방법이 발효특성과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의 녹차추출물를 함유하는 소금물로 절인 후 담근 김치(I), 절임배추를 1% 녹차추출 물에 일정시간 담금후 제조한 김치(II), 녹차 1%를 양념과 혼합하여 담근 김치(III)의 3가지 방법으로 김치를 제조한 후 1에서 숙성시키면서 pH, 산도, 균수, 색상 및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대조구의 pH는 숙성중 I~III의 경우보다 낮아 녹차처리구가 숙성이 지
        133.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ABA차를 본태성 고혈압 쥐에 음용시켰을 때, 1.5% GABA차가 포함된 먹이를 섭취한 본태성 고혈압 쥐의 3주 후 수축기 혈압은 처음의 175.53mmHg에 비해 177.35mmHg로 별 차이가 없었으나 대조구는 192.06mmHg로 수축기 혈압이 상당히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혈장 중 aldosterone 농도도 GABA차 1.5% 섭취 쥐는 248.56±30.44pg/ml인데 반해 대조구는 606.98±57.79pg/ml로 2.5배 이상 농도 수준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134.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품질관련 성분 중 총질소, 총아미노산, 엽록소 및 비타민 C는 CO2 gas 3시간 혐기처리가 타처리에 비해 함량이 약간 많았으며, 탄닌은 공기 처리가 카페인은 진공처리에서 함량이 약간 많은 경향이었다. 유리당은 CO2 gas 처리가 2,050mg/100g으로 타처리에 비해 31~449mg/100g정도 많았다. 혐기처리시 GABA와 alanine이 축적되는데, GABA함량은 N2 CO2 gas 처리가 무처리 (350mg/100g)에 비해 215mg/100g과 264mg/100g으로 6~8배 많았다. 제다품질은 무처리 80.4점에 비해 N2, CO2 gas 처리 각각 80.0, 80.3점으로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공기 및 진공처리는 각각 78.3, 78.9점으로 약간 품질이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N2나 CO2 gas처리 후 제다된 녹차는 기능성분인 GABA함량이 무처리에 비해 6~8배 많고, 제다 품질도 양호하였다.
        135.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ter extract of green tea(GTW) and 70% ethanol extract of green tea(GTE) were prepared for the test of antibacterial activity. The sensitivity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to the green tea extracts in various pH of culture broth was tested. Tryptic soy broth(TSB) containing 0∼2%(w/v) of green tea extracts was adjusted to pH 5.0∼7.0 and inoculated with 105/∼106/ cells/ml of each bacteria. The plate counting method and clear zone test were used to determine inhibito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Green tea extracts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S. aureus at 0.5% level and bactercidal at 0.5∼1.0% level of GTW and GTE at pH 5.0∼7.0. Green tea extracts were bactercidal to S. typhimurium at 1.5∼2.0% level of GTW and 1.0∼2.0% level of GTE at pH 7.0. Sal. typhimurium was more resistant than S. aureus. in same concentration of green tea extracts at same pH. The resistance of S. aureus and Sal. typhimurium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pH of culture broth. The morphology of S. aureus cells treated with green tea extracts showed damage of cell wall and cytoplasmic membrane. Severely damaged cells of S. aureus lost electron dense material and cytoplasm. Green tea extracts stimulated autolysis and cell death of S. aureus. This result suggests that green tea extract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bacterial agent in food.
        136.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0℃ N2 gas 3시간 처리시 무처리에 비해 총질소, 총아미노산, 비타민 C 함량이 약간 높았고, 탄닌과 엽록소 함량은 낮은 경향이었다. 기능성 성분인 GABA 함량은 무처리 (35mg/100g)에 비해 51~205mg/100g으로 1.5~6배 높았다. 제다 품질은 무처리에 비해 3시간 gas 처리시 차이가 없었다. 20℃ N2 gas 3시간 처리가 무처리에 비해 품질관련 성분 중 총질소, 총아미노산(데아닌), 카페인 함량은 많았고, 탄닌과 비타민 C 함량은 약간 낮았다. GABA함량은 무처리 (35mg/100g)에 비해 gas처리가 85~225mg/100g으로 2.5~7배 높았다. 제다 품질은 무처리 80.4점에 비해 gas 처리 76.3~78.1점으로 약간 저하되었다. 30℃ N2 3시간 처리시 무처리와 기호성 관련성분이 거의 차이가 없었고 1, 5시간 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품질이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GABA 함량은 무처리 (30mg/100g)에 비해 gas처리가 115~217mg/100g으로 3~7배 증가하였다 제다품질도 무처리 80.4점에 비해 gas 처리가 74.3~77.2점으로 열악하였다. 따라서, 10℃에서는 5시간 gas처리, 20, 30℃에서는 3시간 gas 처리 후 제다를 하는 것이 기호성 및 기능성이 우수한 녹차(GABA차)를 제조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137.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덖음차 제조공정중 첫 덖음시간에 따른 최적 제다조건을 구명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엽시 엽수는 4매, 엽장 및 엽폭은 6.4cm × 2.4cm, 백아중(白芽重)은 40.2g이었다. 첫 덖음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여 6분 덖음시 6.0%에서 14분 덖음시 4.6%로 되었고, 제품수율은 10분에서 20.12%로 가장 높았다. 덖음시간에 따라 전질소는 5.14~5.41%, 총아미노산은 2,531~3,282mg/100g의 변이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첫 덖음시간이 10분일 때 가장 함량이 높았던 반면, 탄닌은 13.22~13.86%로 10분 처리에서 함량이 가장 낮았다. 카페인 1.64~2.01%로 첫덖음시간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엽록소(319.1~380.3mg/100g)와 비타민 C (158.9~208.8mg/100g)는 덖음시간이 길어질수록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6종의 유리아미노산 및 질소화합물 분석 결과 총 함량은 2,447~3,192mg/100g이었으며 10분 첫 덖음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들 중에서 theanine이 50% 이상이었고 aspartic acid, serine, glutamic acid 및 arginine을 합치면 89.4~90.0%였다. 차의 색깔은 덖음시간이 길어질수록 황색이 증가하였고 녹색은 10분 덖음에서 가장 진한 색을 나타냈다. 또한 관능검사 결과도 10분 덖음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첫 덖음 시간의 경우 10분이 적당하리라 생각된다.
        138.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4종류의 식중독세균(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196E,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녹차 물추출물에 의한 항균작용을 조사하였다. 각 식중독세균을 tryptic soy broth(TSB)에 약 CFU/ml 정도 되게 접종하여 35에서 30시간 배양하였다. 세균의 배양중 대수증식기의 중기 혹은 말기에 녹차 물추출물을 0-2%
        139.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산녹차에 있어서 보건적 효능과 관련된 특수성분의 유엽시기 및 제다법에 따른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용성 펙틴은 후기유엽기에 점차적으로 증가를 보였으며 평균함량은 봉산리 녹차가 2.05% 부춘리 녹차가 1.84%이었다. 생엽에 대한 제다엽의 변화는 증다법 22.8%, 부초법 17.9% 증가하였다. 총엽록소는 후기유엽기로 갈수록 증가하여 1번 유엽기에서 5번 유엽기까지 봉산리는 233mg%에서 334mg%로, 부춘리는 198mg%에서 4번유엽기 까지 331mg%로 증가하였으나 5번 유엽기에 다소 감소를 보였다. 평균함량은 봉산리 평균 293mg%, 부춘리 평균 275mg%이었으며, 엽록소 a : 엽록소 b는 봉산리 평균 70.0:30.0, 부춘리 평균 67.3:32.7이었고 제다법에 따라 엽록소 a와 엽록소 b의 감소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봉산리 2,156mg%, 부춘리 평균 1,723mg%로 갈수록 큰 폭으로 감소를 보였다. 카페인은 후기유엽기에서 다소 적은 함량을 보였으나 부춘리는 3번 유엽기에 2.86%까지 증가를 보이다 감소하였다. 평균 카페인함량은 봉산리가 2.033%, 부춘리가 2.620%이었다. 카테친류는 후기유엽기로 갈수록 증가를 보였으나 봉산리의 경우 4번 유엽기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평균 카테친함량은 봉산리가 11.52%, 부춘리가 14.05%이었으며 유리형의 카테친은 봉산리 평균 35.59%, 부춘리 평균 42.73%, easter형 카테친은 봉산리 평균 58.09%, 부춘리 평균 44.47%이었다. 카테친류 및 카페인의 식용시 용출량은 침출온도가 65℃ 에서 85℃ 로 높을수록, 침출시간이 3분에서 9분으로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85℃ , 9분 침출시 카테친류는 89.3%, 카페인은 97.3%가 용출되었다.상대적인 비율에 의해 크게 영향을 미쳤다. 엽록소와 가용성 단백질은 혼합처리구에서 전질소는 NH4 +-N 처리구에서 높았고, 특히 NH4 +-N 질소를 시비하였을 때는 질소함량이 증가하였다. 질산함량이 증가하였다. 질산함량은 NO3 -N 처리구에서 암모니아함량은 NH4 +-N 처리구에서 높았고, 산소 활성은 혼합처리구에서 nitrate reductase와 glutamine synthetase 활성이 높았다. therefore they are the same as Tang's. In the same way, Parhae's costumes are the same as Tang's, too. The point is, it is expected that the costumes of Parhae which were exchanged with ancient Japan are similar to those of Nara by the medium of Tang's costumes. the product category could be set up the population clearly.의 무게와 부피는 24주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냉동저장 감자의 무게와 부피 변화는 48주간 전혀 없었다. 상온 냉장저장 감자의 조직의 강도(hardness)는 24주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냉동저장 감자는 48주간 hardness의 변화가 전혀 없었다. Frozen mashed 감자는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응집력(cohesiveness)이 조금씩 떨어졌으나 다른 시료들은 전혀 변화가 없었다. 모든 시료의 저장기간 동안 색깔 변화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감자의 미생물학적,
        140.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산 녹차의 채엽시기 및 제차법에 따라 회분, 조지방 및 무기성분 등 일반성분의 변화를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채엽기의 신엽의 엽면적은 다엽(평균 7.23cm2 )이 봉산리 다엽(평균 6.93cm2 )보다 컸으며 엽면적의 변화폭은 2번 채엽기와 3번 채엽기 사이에 봉산리, 부춘리 각각 2.74cm2 에서 7.98cm2 , 3.10cm2 에서 8.23cm2 로 가장 컸다. 건물량은 봉산리 평균 26.3%, 부춘리 평균 26.6%이었으며 채엽기에 따라 일정한 경향은 증감을 보이지 않았다. 녹차의 일반성분 중 수분 및 회분 함량은 봉산리 평균 5.6, 6.1%, 부춘리 평균 6.2, 5.8%이었다. 총당함량 및 조지방은 봉산리 평균 4.6, 2.8%, 부춘리 평균 2.8, 2.2%이었으며 후기채엽기에 다소 높은 양을 보였다. 총질소량 및 수용성 단백질은 봉산리 평균 5.1, 1.08%, 부춘리 평균 5.7, 1.02%이었으며 총질소량은 후기채엽기에 감소하였다. 가용성 고형분은 봉산리 평균 33.1%, 부춘리 평균 35.2%이었으며 봉산리의 경우 후기채엽기에 감소를 보였다. 무기성분은 봉산리 평균 2.557%, 부춘리 평균 2.338%, 비타민 C, 비타민 E 및 비타민 A 함량은 각각 봉산리 평균 413, 71.8mg%, 32.15IU, 부춘리 평균 311, 52.3mg%, 25.68IU이었으며 채엽기에 따라 비타민 C와 비타민 E는 후기채엽기에 증가를 보였다. 재차시 증차법 및 부초법 처리에 의한 다엽의 일반성분의 변화는 가용성 고형분함량은 증차법 평균 0.111%, 부초법 평균 0.086% 증가하였으며 조지방은 증차법 평균 0.125%, 부초법 평균 0.241% 감소하였고, 총질소는 증차법 평균 0.019%, 부초법 평균 0.036%, 수용성 단백질은 증차법 평균 0.125%, 부초법 평균 0.078% 증가를 보였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