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2

        121.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dopts a flow theory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learning engagement levels of 224 Korean high school students during EFL classes and the factors that may relate to differences in their engagement. Engagement was defined as the simultaneous experience of concentration, interest, and enjoyment.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was employed to measure 10th and 11th graders’ appraisals of instructional activities. Each participant was sampled twice randomly during each of three observed lessons. Momentary levels of engagement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students’ appraisals of activity qualities (importance for future goals, difficulty, possessed skills/competence in the area of the activity), and contextual factors (gender, grade, teacher, ability-track). Descriptive analyses, ANOVAs, and t-tests revealed that only 13% of the students were optimally engaged in lessons that were predominantly teacher-centered; increased engagement was associated with students’ appraisals of activity importance for future goals and with feelings of competence; and learner group engagement differed according to who taught them. Some teachers seemed to use an approach more conducive to engagement.
        6,400원
        122.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기의 판 구조론에서 지각 판은 연약권 위에 떠서 맨틀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수동적인 모습으로 그려졌 고, 자연히 해령에서 발산되는 힘이나 암석권 하부의 맨틀 견인력(drag force)이 판을 움직이는 주된 원동력으로 묘사되 었다. 하지만 최근 여러 연구들은 판의 이동을 일으키는 원동력이 맨틀의 대류보다는 섭입대에서 침강하는 판이 만드는 섭입판 인력(slab pull)이라고 보고 있다. 최근 학계는 무거운 해양판과 주변 연약권의 밀도 차이가 섭입판 인력의 핵심 이라고 설명한다. 해양판의 높은 밀도는 중력에 의해 판이 해구에서 맨틀 속으로 가라앉는 원인이 되며, 이것이 판이 움직이는 가장 큰 원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최근 수십 년 간의 서술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5차 교육과정 이래로 지금까지 거의 대 부분의 고등학교 교과서가 맨틀 대류를 판 이동의 주 원동력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대학교 교 재가 개정판을 통해 새로운 학설을 꾸준히 제시해온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더욱 정 확한 학술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와 같은 새로운 판 구조론 내용이 해당 교과서 관련 단원에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4,900원
        123.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ast Nusa Tenggara (ENT) is one of seven provinces in the eastern region of Indonesia that contribute to the large number of out of school children (OOSC). A research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OOSC an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model explain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OOSC occurrence in the age group 13 – 15 years in ENT. Data of OOSC were obtained from the Education Department and Regional Planning Board in 6 selected districts in ENT that were produced from the community based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CBEIS) survey in coordination with UNICEF Kupang in 2013. The districts were Sikka, Timor Tengah Selatan (TTS), West Sumba, East Sumba, Central Sumba and the City of Kupang. A response variable of the study was the state of the children’s education with the category ‘yes’ for school and ‘no’ for out of school. Data was then analys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ethod.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were 795 OOSC in 10350 children in the junior high school age group. The majority of them are males, living in the country side, have farmer parents, are from families with wealth quintile on the bottom class and have mothers with no education. Logistic analysis on the best model shows that literacy, working status, disability, occupation of household heads, wealth quintile, possession of birth certificate, living status are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number of OOSC in the 13-15 age group. Odds ratio values of the first three factors are 26.5; 12.8 and 7.5 respectively.
        4,600원
        12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과 교과서는 지도가 사용되는 빈도와 지도의 역할 정도에 따라 첫째, 지도가 학습 보조 자료로 일부 활용되는 일반 사회와 윤리 교과목, 둘째, 지도가 학습 대상의 위치나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빈번히 활용되는 역사 교과목, 셋째, 지도가 교과 내용 전달의 주요요소가 되는 지리 교과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지리학을 전공한 교사나 교수가 집필에 참여한 지리 관련 교과목은 대체로 지도를 지도학적 규칙에 맞추어 적절하게 제작하고 있으나 일반사회, 윤리, 역사 교과목은 적절한 지도데이터와 투영법을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우리나라의 영역에 대한 왜곡된 위치 개념을 전달하는 경우가 많으며, 위치도가 없음으로 인해 지도에 나타난 지역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나 잘못된 지도 범례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사회, 윤리, 역사 등 사회과 교과서의 지도 오류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교과서를 대상으로 각 과목의 교과서별 지도 오류를 분석하여 사회과 교과서의 지도 오류 현황을 파악하고, 교과서 지도의 오류 방지를 위한 제도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사회과 교과서에 수록된 1,085개 지도 중 약 32.4%에 해당하는 352개 지도에서 오류가 발견되었다. 유형별로는 기하학적 오류가 20.8%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는 삽입지도가 필요한 경우가 6.8%, 범례가 부적절한 경우가 4.8%였다. 이와 같은 사회과 교과서의 오류 방지를 위해서는 교과서 집필 및 검수과정에서의 제도적 절차에 대한 보완과 교과서용 지도 제작을 위한 표준지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4,800원
        125.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eign language education has so far put emphasis on the so-called communicative and cultural objective where learners communicate with native speakers in the foreign languages they have learned and then understand and execute the native speakers’ cultures. However, the modern society, which has rapidly become a global villag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eans of communication, expects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play a new role. This new role is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the practical aspect of the communication, but also the educational goal of cultivating the ability to properly understand others’ culture and hold a critical attitude toward one’s own culture. The intercultural approach is emerging as a new approach that enables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2007 Amended Curriculum and 2009 Amended Curriculum used the term, “intercultural”, but did not specifically state it, and thus it was little reflected in the textbooks. As a method of practically resolving this problem, we made an intercultural teaching plan by utilizing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current textbooks.
        5,500원
        126.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ygienic status of 33 high school foodservice systems in Yongin city by using hygiene management guide checklist, ATP bioluminescence assay and microbe inspection petrifilm (APC, coliform group, Staphylococcus aureus) of food utensils during use. The 22 hygiene management guide checklist items about facilities, personal hygiene, food control, distribution, washing and disinfection had good grade but there were some inadequate behaviors on observation. The inspection results showed their sanitary condition met the level B of the recommendation of Korea method, it means sanitary management system get settled but more practical CCP system was needed. ATP bioluminescence assay was conducted on surface of food facilities, ATP ranged 425~2,552 RLU on gloves, 541~70,251 RLU on apron, 1,596~88,490 RLU on working desk, 1,177~263,813 RLU on sterilizer grip, 715~32,814 RLU on sterilizer shelf, 114~619,725 RLU on refrigerator grip, 677~319,007 RLU on refrigerator shelf, 71~196,725 RLU on freezer grip, 1,535~233,375 RLU on freezer shelf. APC ranged 66.7±29.0 CFU on freezer grip, 102.1±35.9 CFU on refrigerator grip, 45.4±28.2 CFU on heating cabinet grip, 58.8±40.4 CFU on sterilizer grip, the number of coliform group ranged 5.6±4.9 CFU on freezer grip, 9.1±8.7 CFU on refrigerator grip, 1.2±1.1 CFU on heating cabinet grip, 4.5±4.4 CFU on sterilizer grip. S. aureus ranged 8.0±5.6, CFU on freezer grip, 12.2±9.6 CFU on refrigerator grip, 2.1±1.6 CFU on heating cabinet grip, 11.6±6.4 CFU on sterilizer grip.
        4,000원
        127.
        201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ffecting L2 reading achievement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A total of 327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L2 reading motivation and strategies. The students’ L2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were measured by scores on the practice test for Scholastic Aptitude Test (PSAT) and self-assessed listening and reading proficienc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L2 reading efficacy, L2 reading strategy use, and L2 listening skill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ir L2 reading achievement, while L2 reading motivation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reading achievement. The nonsignificant path loading between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achievement implies that reading motivation alone is not sufficient to promote students’ L2 reading proficiency. The final SEM model indicated a relatively strongest contribution of L2 listening ability over L2 reading efficacy and strategy use to L2 reading achievement. Pedagog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are discussed.
        5,400원
        128.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효과적인 수업방법에 대해 고등학교 과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인지프레임을 조사하고, 그들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75명의 고등학교 과학 교사와 275명의 고등학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단어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은 문제해결능력과 탐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생 중심의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반면 고등학생들은 교사들이 충분한 자료를 제시하여야 하고 대학 진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두 집단은 모두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인지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특히 두 집단은 융합 또는 통합이라는 요소를 그들의 인지프레임에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고, 여러 과학 분야의 내용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들이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현직 연수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4,500원
        129.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의 담화적-인식적 기제들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세 명의 현직 고등학교 교사들로부터 총 11편의 지구과학 수업 녹화물을 수집하였으며, 모두 전사한 후,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담화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특정한 인식적 기능을 담당하는 기능적 집합으로서 담화적-인식적 기제들을 확인하였고, 그 특징을 인식적 기능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또, 분석 결과를 선행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지구 과학 수업의 담화적-인식적 기제들의 특징을 강조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시사점으로 중학교 과학 수업과 대안적인 형태의 과학 수업에 대한 분석, 교사들과의 심층 면담과 같은 확대된 연구 방법을 통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4,600원
        130.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STEAM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사태와 우리생활’을 주제로 한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 학생 16명에게 7주 동안 적용하였다. 정의적 영역에 관한 과학적 태도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이 끝난 후 STEAM 프로그램에 관한 설문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과학적 태도의 관점에서 STEAM 프로그램은 즐거움, 가치, 자신감, 그리고 일반적인 과학적 태도에서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온다는 것이 나타났다. 프로그램 평가 설문지 결과를 살펴보면 정의적 영역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인지적 영역에서도 긍정적 변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4,000원
        131.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또래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로 설정하였다. 가설 1은 중학생의 외모만족도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가설 2 는 중학생의 외모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안산과 화성 지역 중학교 1~3학년 남녀학생들이다. 질문지는 총 250부를 배부하고 225부를 회수하였으며 220부를 SPSS Statistics 2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외모만족도(가설 1)와 또래관계(가설 2)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외모만족도와 또래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든 F검정이 유의 미하게 나와 회귀모형이 모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이 기 위해서 학생 스스로 외모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만족도를 높이도록 하는 방안과 긍정적 또래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 방안을 더욱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5,700원
        13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지질 전개도를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 및 지질 공간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혼합연구 방법으로 조사함으로써 지질 전개도를 활용한 수업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개의 지질 전개도(수평층 2개, 수직층 2개, 경사층 4개, 단층 1개, 습곡 1개)를 개발하였고, 지질 전개도를 활용한 수업 실시 전후에 학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과 지질 공간 능력을 검사하였다. 또한, 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양적 연구를 실시한 후, 이를 보완하기 위한 질적 연구로 참가 학생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지질 전개도를 활용한 수업은 공간 시각화 능력과 지질 공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수업은 학생들의 지질 구조 공간 배치에 대한 인식 능력 및 시각 투시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질 전개도를 활용한 수업에 대해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 모두에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지질 전개도는 ‘지질도의 작성과 해석’에 관한 수업을 위해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 고등학교의 지질 수업에서 과학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에의 적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5,500원
        13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ollocation task type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llocation learning and learning attitudes. A total of 118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group, receptive treatment group, productive treatment group and combination treatment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ocation task types on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each group of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a high proficiency group and a low proficiency group. The students took a pre-test before the experiment and a post-test after the experiment. After the post-test, the post-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udents' learning attitud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hree types of collocation tasks were effective in learning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s; (2) in the delayed retention test, it wa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the three types of collocation tasks on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 learning lasted; and (3) the result of post-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learning collocation through collocation tasks had positive influence on most students in terms of raising their interest and increasing their self-confidence.
        6,700원
        134.
        201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영화영상을 전공하고 현재 영상 특성화고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수행평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공교육 차원에서 영상 콘텐츠의 실효성 있는 교육을 위해 수행평가의 도입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수행평가와 유사한 주제의 연구들은 교육과정이나 교육만족도 혹은 시설조건 등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영상미디어 교육과정 자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를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교육에서 평가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특히 미디어 콘텐츠 교육의 경우처럼 제작과 같은 수행적 의미가 강한 교육에서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학교 내의 실상과 교사들의 심정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심층면접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수행평가의 특성과 활용은 단순하게 파악될 수 없고, 그것은 지역성,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장비의 구비현황이나 특히 교사의 교육관에 따라 다르게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다양하고 지속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6,700원
        135.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current situation of safety education to improve safety awareness and practice in Korean school student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practice with the actual status of accident occurrence. Furthermore it is try to figure out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on the safety education for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412 students were taken from a random sample. The samples were one class of 2nd grade students in five different middle schools and four different high schools in Seoul,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29 September 2010 through 15 October 2010. An additional samples for the questionnaires posted in web were collected. The 305 respondents from school students and 80 respondents from web survey were used to analyze for this study out of 800 respondents.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questionnaires. The overall safety-awareness score was relatively high at 4.56/5 for fire safety and 4.32/5 for traffic safety. Safety awareness was higher for girls than boys and also for high school student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afety education by parents at home gives a good impact on high safety practices. Safety awareness was improved by feeling of necessity for safety training. The safety prevention training provided during the class by teacher and home training by parents improved safety practice. The correct direction of safety education for younger students can be easier in future.
        4,600원
        13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imed at integrating English novels into a Korean high school English curriculum. To accomplish the objective, the study adopted diverse post-reading activities using an English novel, The City of Ember by Jeanne DuPrau. Data were collected from diverse sources such as students’ worksheets, transcripts of students’ presentation, answers to survey questions, and the teacher’s field not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educational effects when an English novel with diverse post-reading activities was used in high school English classrooms. Student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lass and expressed satisfaction in terms of classroom management. Second, students responded to the novel through diverse post-reading activities. For example, students had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lives, became active in solving problems, and deepened their thoughts through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ovided.
        6,900원
        137.
        201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現 중・고등학교 현장의 한문과 내용체계에서는 ‘한문 산문을 활용한 글쓰기’ 영역이 따로 편성되어 있지 않다. ‘글쓰기’란 ‘읽고’, ‘이해’하기 다음 단계로 ‘고도의 사고활동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요즘 대학입시에 급박하여 작성되는 ‘일회성 자기소개서’가 아닌 자신만이 쓸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정체성을 구축해 나가는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 교육과정이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를 어떤 방법을 가지고 한문과 교육과정에 접목 시켜 학생들에게 투입시킬 수 있겠는가? 본고는 학생들에게 자기소개서라는 결과물만을 얻고자 하는 실용적 글쓰기에 그 목적이 있지 않다. 과거의 자신과 현재의 모습과 미래의 나는 사전이나 검색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나이테만큼 자아도 성장했는지? 자신이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자신이 가장 관심 있어 하는 분야는 무엇인지? 자신만의 반성적 성찰 방법은 무엇인지? 독창적인 언어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지? 과거의 자신과 현재의 자신은 어떻게 변화 되었는지? 다른 사람의 삶에 대해궁금해 본 적이 있었는지? 내가 하고 싶은 일과 내가 잘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해 봤는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미래의 자신을 예견하며 상상해 본적이 있는지?를 고민해 보며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본다. 본고의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란 선현들이 수천 년 동안 쌓아온 생활 속의 정서, 지혜, 사상이 담긴 한문산문을 감상하고 이해하여 자신만의 자기소개서를 구체적 또는 점진적 과정을 거쳐 작성해 보도록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간접체험을 바탕으로 직접 실천한 사례들을 발표・토론함으로써 극복방안을 찾아보도록 한다.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는 대학입시 수시전형의 서류로 제출 할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일반전형 심층면접에 까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처럼 자기소개서의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본고에서는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 글쓰기 방법을 모색하고자 ‘讀盈反切’의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讀盈反切’ 전략이란, 讀書尙友・盈科而後進 成章而後達・反求諸己・切磋琢磨의 첫 字를 취하여 ‘讀盈反切’ 전략을 구안했다. 2007・2009개정 한문교과서에 제시된 ‘金得臣傳’, ‘看書痴傳’, ‘李安訥傳’의 작품을 활용해 대교협 공통양식에 의거하여 자기소개서 글쓰기 교육을 실시한다.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 글쓰기 교육’이 지니고 있는 가치는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 주는 교육적 활동이 될 것이다. 또 본고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4년 4월 15일)에 발표된 ‘대교협 自己紹介書 공통양식’을 바탕으로 ‘자신에게 묻는다! <부록 1> 100문 101답’ 문항을 만들어 학습자들이 쉽고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동안 자신의 성장과정을 한눈에 확인해 볼 수 있는 간단한 방법(체크리스트□)이 될 것이다. 자기소개서 글쓰기는 학습자들 간의 개인차를 극복하기는 힘들 것이다. 하지만 투박하고 서툴더라도 대필과 표절이 아닌 자신만의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작업은 분명 한 인간을 성장 발전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 글쓰기’는 두 영역을 융합시켜 교수하였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독특한 과정의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12,800원
        13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igh school students' school uniform wearing attitude by group according to clothing attitude targeting Gyeongnam area.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in the field of school uniform and marketing that clothing propensity by groups is considere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762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for Window 14.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sponse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alysis and Duncan's ex-pos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n the clothing attitude, students were divided into 4 segmentation of fashion seeking group, fashion indifference group, conformity group and modesty group.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toward wearing school uniform by groups which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pensity of clothing attitude, activity, stability, and practicality were all varied according to the propensity of clothing attitude. 4 group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consent to wearing school uniform, price of school uniforms, tendency to prefer famous brand when purchasing school uniform, experience of transforming school uniform, opinion about school uniform modification and reason for school uniform modification. While low graders were many in 'modesty group', upper graders were many in 'fashion seeking group', which means that more segmentalized satisfaction of clothing by group may be raised if such a fact is considered when planning clothing for high school students segmentalized by age.
        4,300원
        139.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ominent role of basic reading sub-skills, such as decoding abilities and reading fluency,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younger and proficient first and second language readers,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 of these skills in older and less skilled readers in foreign language context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relate to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such readers, and to identify the relative strengths between the two. Two hundred twenty tw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ir performance on deco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asks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were strongly correlated to reading comprehension. Moreover, between the two fundamental reading sub-skills, decoding skills outperformed reading fluency in explaining reading comprehension, making a unique contribution beyond the effects of reading fluen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basic skill like word decoding still deserves instructional attention even at the secondary schools in EFL contexts.
        5,700원
        14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ating habits and health among adolescents in Shanghai and Heze,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2013 on 2,089 adolescents; 1,089 students were from Shanghai and 999 students from Heze region. Eating habits, weight, height, and nutritional knowledge were assess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Eating habits score wa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healthy eating habits and unhealthy eating habits, based on「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Associations between eating habits, BMI, and nutritional knowledge were examined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with adjustment of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such as region, gender, age, parents’ education level, and pocket money.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AS (version 9.3) program. Proportions of healthy eating habits group were 90.0% for breakfast (3-7 times/wk), 29.1% for fruit (≥once/d), 12.5% for vegetable (≥3 times/d), 7.3% for milk (≥2 times/d), 90.0% for fast food (<3 times/wk) consumption, respectively. The average BMI score was 20.1 (Shanghai 20.5 Heze 19.6), which is in the range of normal weight. Rates of obesity and overweight were 16.5% and 8.3% in Shanghai and Heze,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intake frequencies of breakfast, fast food, biscuits, sugar, chocolate, and BMI score.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scor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se results showed better eating habits regarding eating regularity and consumption of fruits and soft drinks in Chinese adolescents compared with Korean adolescents, although cultural differences were not fully considered. This study demonstrated significant associations of BMI and nutritional knowledge with dietary behavior in Chinese adolescents in two regions of China. Further studies on Chinese adolescents from other regions in China should be considered.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