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9

        12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완전 기생성 침입종인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의 기주선호도와 기생부위를 야외현장과 기생유도 실험 통하여 확인하여 이들 식물의 기주다양성을 알아보고 잠재적인 위해성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미국실새삼의 기생은 구상나무와 신갈나무와 같은 목본성 식물종(12.1%)의 목질화가 되지 않은 소지나 잎에서도 관찰되었다. 미국실 새삼의 기주식물종은 국화과에 속하는 종이 가장 많았고, 과내 차지하는 기주식물종의 비율은 사초과, 마디풀과 그리고 콩과 등의 것에서 높았다. 기생 유도 실험을 통해 미국실새삼은 1종을 제외한 모든 식물에 기생할 수 있음이 확인됨으로 써 이 침입식물의 분포의 제한 요인은 분산과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주식물의 감염된 부위는 줄기와 잎 두 곳에서 대부분 나타났고, 드물게 잎이나 줄기에만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 연구로 12개 과의 기숙식물 45종(12개 과의 초본식물 33종과 목본식물 12종)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그 중에는 조와 같은 농작물뿐만 아니라 멸종위기야생식물 6종에도 기생하였고,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미국실새삼의 기생으로 식물체가 고사까지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미국실새삼이 잠재적으로 야생식물에게도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4,000원
        122.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antern fly, Lycorma delicatula (White), was firstly introduced at least around ten years ago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s now distributed throughout the mainland. We collected 37 L. delicatula isolates, totally 762 individuals from various loca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Our results, based on molecular comparison showed multiple introductions of L. delicatula into Korea from China as followed; 1) The population which was spreaded and prevalent in a wide area after 2008 was identical to that of Shanghi, suggesting that main routes was the seedlings of Ailanthus altissima imported a few times from Shanghi into Incheon port in 2004~2005. 2) The populations in Changwon and Samcheok collected in 2011 were from Beijing and Tianjin, respectively. 3) The population in Cheonan collected in 2006 was different from other populations.
        123.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가 심화되면 이에 따라 침입종의 반응이 어떻게 될지를 알아보고자, 온난화와 토양의 질소처리를 하여 우리나라에 넓게 분포하는 외래 목본식물 은단풍과 족제비싸리의 생장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대기조건은 야외환경 조건인 대조구(ACAT)와 온도를 상승시킨 온도처리구(ACET), 그리고 CO₂ 농도와 온도를 함께 상승시킨 기후변화 처리구(ECET)로 나누었다. 각 대기조건 내에서 질소비료를 처리하지 않은 비처리구(Control; C)화분을 만들었다. 그리고 은단풍은 질소비료를 2g(N1), 20g(N2) 처리하였고, 족제비싸리는 1g(N1), 5g(N2) 처리하였다. 은단풍과 족제비싸리를 2014년 3월에 파종한 후 2015년 5월에 각 환경에 맞게 이식하였다. 2016년 10월까지 각 환경조건에 적응 후, 은단풍은 지상부의 길이, 직경의 크기, 지상부의 무게, 지하부의 무게, 개체의 무게 그리고 잎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족제비싸리는 지상부의 길이, 직경의 크기, 지상부의 무게, 지하부의 무게, 개체의 무게, 잎의 무게, 맹아의 수, 맹아의 길이 그리고 맹아 직경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은단풍의 지상부 길이는 N2일 때, EC-ET가 177.73±35.40로 가장 컸고, AC-AT가 129.89±13.73로 가장 작았다. N1일 때, AC-ET가 180.43±17.86로 가장 컸고, AC-AT가 109.16±13.21로 가장 작았다. 그리고 C일 때, EC-ET가 121.58±24.13로 가장 컸고, AC-AT가 92.5±16.86로 가장 작았다. 은단풍의 직경의 크기는 C와 N2일 때, 대기조건 간의 차이는 없었다. N1일 때, EC-ET가 1.37±0.25로 가장 컸고, AC-AT가 0.98±0.09로 가장 작았다. 은단풍의 잎의 무게는 C와 N2일 때, 대기조건 간의 차이는 없었다. N1일 때, AC-ET가 15.9±3.66로 가장 컸고, AC-ET가 7.61±1.96로 가장 적었다. 은단풍의 지상부 무게는 N2일 때, 대기조건 간의 차이는 없었다. N1일 때, AC-ET가 50±15.55로 가장 컸고, AC-AT가 24±9.93로 가장 적었다. 그리고 C일 때, EC-ET가 21±5.09로 가장 컸고, AC-AT가 18±2.58로 가장 적었다. 은단풍의 지하부 무게는 C와 N2일 때, 대기조건 간의 차이는 없었다. N1일 때, AC-AT가 58±9.50로 가장 컸고, EC-ET가 38±14.68로 가장 적었다. 은단풍의 개체의 무게는 모든 질소구배에서 대기조건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족제비싸리의 지상부 길이는 C일 때, 대기조건 간의 차이는 없었다. N2일 때, EC-ET가 165.88±29.65로 컸고, AC-AT는 106.33±29.49로 작았다. N1일 때, EC-ET가 179.45±24.47로 컸고, AC-AT가 116.83±35.37로 작았다. 족제비싸리의 직경의 길이는 C와 N1일 때, 대기조건 간의 차이는 없었다. N2일 때, EC-ET가 1.12±0.13로 컸고, AC-AT가 0.8±0.16로 작았다. 족제비싸리의 잎의 무게는 N1과 N2일 때, 대기조건 간의 차이는 없었다. C일 때, AC-AT가 21.64±7.66로 컸고, EC-ET가 9.75±3.34로 작았다. 족제비싸리의 지상부 무게는 N1과 N2일 때, 대기조건 간의 차이는 없었다. C일 때, AC-AT가 66±44.41로 컸고, EC-ET가 16±8.49로 작았다. 족제비싸리의 지하부 무게는 N1과 N2일 때, 대기조건 간의 차이는 없었다. C일 때, AC-AT가 284±139.65로 컸고, EC-ET가 42±37.05로 작았다. 족제비싸리의 개체 무게는 N1일 때, 대기조건 간의 차이는 없었다. N2일 때, AC-AT가 134±22.00로 컸고, EC-ET가 77±26.46로 작았다. C일 때, AC-AT가 351±155.18로 컸고, EC-ET가 50±43.52로 작았다. 족제비싸리의 맹아의 수는 C와 N1일 때, 대기조건 간의 차이는 없었다. N2일 때, AC-AT가 2.5±1.69로 많았고, EC-ET가 0.17±0.40로 적었다. 족제비싸리의 맹아의 길이는 C와 N1일 때, 대기조건 간의 차이는 없었다. N2일 때, AC-AT가 75.84±15.34로 컸고, EC-ET가 17.17±42.05로 적었다. 족제비싸리의 맹아의 직경의 크기는 C와 N1일 때, 대기조건 간의 차이는 없었다. N2일 때, AC-AT가 0.72±0.14로 컸고, EC-ET가 0.08±0.20로 적었다. 위 결과는 은단풍의 경우 온도가 증가하거나 온도와 CO₂ 농도가 함께 증가한 조건에서 토양 질소농도가 증가하면, 지상부의 길이, 직경의 크기 그리고 잎의 무게는 증가하지만, 지하부 무게, 개체 무게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족제비싸리의 경우 온도가 증가하거나 온도와 CO₂ 농도가 함께 증가한 조건에서 토양 질소농도가 증가하면, 지상부의 길이와 직경의 크기는 증가하지만, 지하부 무게, 개체 무게 그리고 무성생식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124.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공원 주변지역의 토지이용변화로 인하여 외래식물 출현종수가 증가하고 점진적으로 생육지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공원주변에서 발생된 외래식물은 탐방객, 자동차, 동물, 바람 등으로 인해 국립공원 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도심형국립공원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국립공원 생태계 안정성과 건강성 증진을 위해서는 외래식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시설도입이 필요하다. 국립공원에서는 외래식물 확산방지를 위해서는 유입원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공원별, 유형별, 대상종별 유입 차단 시설을 도입 및 설치하여 국립공원 외래식물 통합관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에 분포하는 외래식물 확산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도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외래식물 확산 방지시설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도입사례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래식물 방지시설은 철제형 매트, 일반형 매트, 고정형 브러시, 간이형 브러시, 복합형 브러시, 살균형 브러시 및 에어형 등 총 7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유형별 특징으로는 철제형 매트는 매트 밑에 시트를 깔아 외래식물 종자를 회수하는 방식이며, 매트 브러싱 능력이 우수하고 중량감으로 밀리지 않는 특성이 있다. 일반형 매트는 바닥이 평탄한 탐방로 구간에서 고정장비를 이용하여 설치하며, 중량이 가벼워 고도가 높은 지역에 설치가 효율적이다. 고정형 브러시는 신발을 신은채로 사용가능한 내구성 있는 소재로서, 브러시로 털어낸 토사를 집적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있다. 브러시 설치장소 및 방법은 간단하지만 사용하기 힘이 들고 효과가 적다. 간이형 브러시는 신발을 신은채로 사용이 가능하나 종자포집이 어려운 특성이 있다. 복합형 브러시는 고정이 되어 있어 사용이 쉽고, 종자회수가 용이하며, 부피가 작아 어느 지역에서나 설치가 용이하다. 살균형 브러시는 탐방로 입구에서 안내판에 따라 살균제를 도포하고 스틸그레이팅 위에 설치된 브러시에 신발 밑면을 문질러서 사용하며, 살균효과 및 종자회수가 용이하지만 살균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특징이 있다. 에어형은 옷이나 신발에 부착된 흙먼지 털이용으로는 효과를 가지며, 부착된 외래식물이 바람으로 인해 비산 될 수 있는 특성이 확인되었다. 도입시설에 대한 효과성 검증을 위해 도심형국립공원인 북한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적지분석을 실시하고 4개 지역을 선정하여 외래식물 확산 방지시설을 제안하였다. 적지분석을 위해 외래식물 Hotsopt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패턴이 특정지역(은평구, 성북구)을 중심으로 출현빈도의 규칙성이 높게 나타났다. 유의성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정릉, 산성, 안골, 범골 등 4개의 시범지역을 설정하여, 매트형과 에어형 외래식물 확산 방지시설을 도입하였다. 시범지역에 대해 식물상과 외래식물 분포현황에 대해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정기적으로 수집된 매토종자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매토종자는 식물생장기에서 발아실험을 실시하여 효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철제형과 에어형방지시설에서 돼지풀, 주홍서나물, 미국자리공, 망초류와 같은 외래식물이 확인되었다. 방지시설 전체 유형에 따른 효과성 검증은 실시하지 못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적용된 유형에 대해서는 외래식물 종자 확산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25.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d the statu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alien invasive Red-eared slider (Trachemys scripta elegans) turtle on Jeju Island. We found thirty-two Red-eared slider habitats including twenty-five ponds, five agricultural reservoirs, a puddle and a stream. Among those, thirteen sites are newly determined habitats of the turtle. The remaining nineteen are previously reported. However, we could not find any turtles at nine sites, which were documented as turtle habitats in earlier reports. A total of one hundred thirty-three turtles were observed. Among them, we determined that thirty-nine were juvenile turtles, found in nineteen different habitats, indicating estimating that Red-eared sliders produced their progeny in the wild of this island. Because of geographical isolation by the ocean, no freshwater turtle had been found until 19th Century. Therefore, the increased number of finding sites and Red-eared sliders indicate the possibility of human release of their pets or for other purposes, and natural propagation in the wild on Jeju Island. Our findings will be useful for management planning to deal with this invasive species, and implementation of a conservation program for native wildlife on Jeju Island.
        4,000원
        126.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습지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의 생태적 제어를 목적으로 효과적인 생물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6종의 토종 포식성 어류와 6종의 조류를 이용하여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대상으 로 포식률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어류 중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 메기(Silurus asotus), 가물치 (Channa argus) 3종은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모두 포식하였고, 그 중 전자를 더 선호하였다. 그러나 끄리 (Opsariichthys uncirostris), 드렁허리(Monopterus albus), 뱀장어(Anguilla japonica) 3종은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전혀 섭식하지 않았다. 그리고 고니(Cygnus columbianus), 큰고니(Cygnus cygnus), 쇠오리(Anas crecca), 원앙(Aix galericulata), 홍머리오리(Anas penelope), 가창오리(Anas formosa) 등 실험에 사용한 6종의 조류 또한 황소 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전혀 먹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국내 습지생태계에서 토종 물고기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의 제어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2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pattern of lepidopteran adults in a paddy-upland rotation field and an organic upland field for 8 maize and 7 sorghum varieties was surveyed from May 8 to September 27, 2016. In addition, their damage ratio and the invasive pores by Ostrinia furnacalis larvae as well as harvest yields were monitored. The density of the lepidopteran adults in two fields showed similar pattern, although a little different pattern in Heliothis assulta. The damage ratio of maize and sorghum varieties by O. furnacalis at harvest periods was depended on both varieties and cultivated environments. A middle negative linear correlation was observed in damage ratios vs yields, the number of invasive pores vs yields, and the number of larvae in corn ears vs yields, but there was not a specific correlation between the damage ratio vs the number of invasive pores. These results may be useful for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strategy to control oriental corn borer in paddy-upland rotation or organic upland fields for maize and sorghum.
        128.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성 췌장염 중에 1차 검사에서 원인이 불명확한 경우 급성 특발성 췌장염이라고 하며 그 중 종양에 의한 것은 비교 적 드물지만 진단이 늦어질 경우 예후가 좋지 않아 먼저 의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증례는 급성 특발성 췌장염 환자에서 악성종양을 의심하고 적극적으로 추적관찰하던 과정에서 초음파내시경상 이상소견이 확인되었고,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결정하여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 관련 침습 암을 진단한 경우이다. 따라서 원인이 불분명한 췌장염에 대해 악성종양을 의심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함과 동시에 초음파내시경의 추적관찰이 진단에 도움이 된 실제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앞으로의 진료 및 의사결정에 유익할 것으로 보여 문헌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129.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anch duct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of the pancreas (BD-IPMN) without malignant features rarely developed into invasive cancer. However, invasive cancer is aggressive once an invasive change occurs. We report three cases of invasive cancers which developed in patients with BD-IPMN and they showed grave clinical courses. All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BD-IPMN < 3 cm without malignant features on imaging. Invasive cancer was detected at 2.5 years, 3.0 years, and 4.0 years after BD-IPMN detection in each patient. The intervals of invasive cancer and the last follow-up were 9 months, 3 years, and 1.5 years in the three patients, respectively. All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locally advanced pancreas invasive cancers and were treated with palliative chemotherapy or conservative management. The patients died at 3 months, 9 months, and 10 months after the diagnosis of invasive cancers, respectively. We report three cases of invasive cancer developed in BD-IPMN patients and followed fatal courses.
        4,000원
        130.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NA methylation is the most common and well-characterized epigenetic change in human cancer. Recently, the association between GATA-binding protein 5 (GATA5) methylation and carcinogenesis of various types of tumors was investigate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GATA5 methylation status on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prognosis in primary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NMIBC) patients with a long-term follow-up period. The GATA5 methylation status was determined for 171 human bladder specimens (eight normal controls [NCs] and 163 primary NMIBC patients) using quantitative pyrosequencing analysis. The primary NMIBC tissues were obtained from patients who underwent transurethral resection (TUR) for histologically diagnosed transitional cell carcinomas between 1995 and 2012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GATA5 methyl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MIBC patients than in NCs an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grade and more advanced stage of cancer. Kaplan-Meier estimat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umor recurrence and progression according to GATA5 methylation status (each p<0.05). Our results show that increased methylation of GATA5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ot only aggressive characteristics but also poor prognosis in primary NMIBC patients. Alteration of GATA5 methylation might be used as a biomarker for prognosis of NMIBC patients. However, prospective and functional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o clarify the role of GATA5 methylation in future clinical management of patients with NMIBC.
        4,000원
        131.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대한민국의 백두대간보호지역 (baekdudaegan protection area)은 ‘백두대간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된 국토골 격의 산줄기이다. 이곳은 탐방로 이용객이 증가하면서 교란 지역이 나타났고 그에 따라 침입외래종(invasive alien species) 의 정착사례가 많아졌다. 이에 본 연구는 침입외래식물 의 생물적 요인에 의한 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의 기 초자료로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 조사지역은 백두대간보호 지역이며, 조사대상은 침입자생, 관상용 식재, 복원용 및 복 구용 식재의 관속식물이다. 조사는 2012년부터 2015년까 지 침입외래식물의 정착가능성이 많은 능선탐방로, 단절된 고개(령) 및 생태통로 복원지, 임도 및 도로, 채광지 및 채석 지, 농경지, 헬기장 등에서 이루어졌다. 이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출현하는 침입외래식물은 52과 (family), 119속 (genus)에 딸린 192분류군 (taxa)이었으며, 종 (species) 이하의 계급분류는 181종, 10변종, 1품종이었 다. 이를 문 (phylum) 단위의 상급분류로 구분하면 양치식 물문 (pteridophyta)은 출현하지 않았으며, 나자식물문 (gymnospermae)은 14분류군 (7.3%)이었고, 피자식물문 (angiospermae)은 쌍자엽식물강 157분류군 (81.8%), 단자 엽식물강 21분류군 (10.9%)이었다(Table 1). 가장 많은 분 류군이 출현하는 과 (family)는 국화과 (39분류군, 20.3%) 이었으며, 다음으로 벼과 (19분류군, 9.9%), 콩과 (13분류 군, 6.8%), 마디풀과 (12분류군, 6.3%), 장미과 (11분류군, 5.7%), 소나무과 (10분류군, 5.2%) 순이었다(Table 2).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출현하는 침입외래식물의 토지피복 형태 (soil cover type)에 따른 분류는 귀화식물이 118분류 군 (61.5%), 식재식물이 74분류군 (38.5%)이었으며, 한반 도 토착식물이 10분류군 (5.2%), 외국식물이 182분류군 (94.8%)이었다 (Table 3).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출현하는 침 입외래식물의 생활형 (life form)에 따른 분류는 초본식물이 131분류군 (68.2%), 목본식물이 61분류군 (31.8%)이었다. 초본식물은 한해살이풀이 55분류군 (28.6%), 두해살이풀 이 27분류군 (14.1%), 여러해살이풀이 49분류군 (25.5%)이 었고, 목본식물은 교목이 37분류군 (19.3%), 아교목이 7분 류군 (3.6%), 관목이 17분류군 (8.9%)이었다 (Table 4).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출현하는 침입외래식물의 정착지역 은 고개(재) 주변이 109분류군 (56.8%)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임도 102분류군 (53.1%), 농경지 78분류군 (40.6%), 능선 74분류군 (38.5%), 기타(헬기장 등) 63분류 군 (32.8), 채광지 56분류군 (29.2%) 순이었다 (Table 5).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출현하는 침입외래식물의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은 가시박, 가시상추, 단풍잎돼지풀, 도깨비가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서양등골나물, 애기수 영의 9분류군이며, 주로 고개(령), 농경지, 임도 주변에 나타 나고 능선탐방로의 출현이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능선탐방 로는 인간의 간섭이 다양할 경우 교란에 의한 침입외래식물 이 증가할 것으로 여겨지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방안 과 함께 훼손저감방안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였다.
        132.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invasive pest is a non-native species which can cause damage to the economy, natural resources, or human health. The invasion of these non-native species is an escalating problem worldwide. In particular, it is estimated that ca. 50,000 nonindigenous species have been introduced into the United States, many of which have caused a total of > $100 billion losses in natural and agricultural ecosystems. Recently, two invasive pests, Halyomorpha halys (Hemiptera: Pentatomidae) and Drosophila suzukii (Diptera: Drosophilidae), have emerged as serious agricultural pests in the U.S. Both species are native to Asia, however the distributions of the pests have rapidly expanded across the U.S. causing significant economic losses especially in specialty crops, presumably due to similarities in host plant complex and climatic environments between the native and new regions. In this study, a series of research efforts to protect agriculture and the environment against H. halys and D. suzukii in the U.S. are summarized and reviewed.
        13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notorious lamiine species Asian Longhorn Beetle, Anoplophora glabripennis, is one of the major invasive pests of street trees, which is an endemic species of Korea and China. By far, the distributional range of Korean A. glabripennis population is restricted to only central to northeastern forest region of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found unreported A. glabripennis populations in 4 different port cities and adjacent cities. These new populations are found in very much urbanic regions; Incheon, western part of Seoul, Busan and Ulsan. These populations can be distinctly differentiated with previously reported populations by massive damage on trees, unusual usage of host plant and spotted elytral pattern. To test their identity, we analyse the genetic patterns of the A. glabripennis populations sampled across South Korea based on three mitochondrial genes, Cytochrome Oxidase I – leucin tRNA – Cytochrome Oxidase II (COI-tRNALeu- COII). Additionally, we used available sequences of COI - tRNALeu - COII of 104 Chinese and 15 Korean individuals from NCBI. Here we show that Korean population is distinctly divided into two major clades, namely native populations and non-native ones, with 0.7% ~ 1.2% of genetic divergence. Hence, the non-native ones can be divided into two subgroups, which we call Incheon-Seoul complex and Busan-Ulsan complex. We observed that these newly found groups, Incheon-Seoul complex and Busan-Ulsan complex share perfectly identical COI haplotype within each group. This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newly found populations are introduced respectively and these populations might be derived from very small number of introduced founders.
        134.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syllids are a serious pests of pears cultivated in temperate and subtropical regions. Pear psyllids are a member of the large genus Cacopsylla (Psyllidae: Psyllinae). Among the 28 psyllid species that infect pear trees, Cacopsylla chinensis (Yang and Li, 1981) is considered the most harmful. Recently, we found new pear psyllid pest affected Korean pear (Pyrus pyrifolia var. culta) orchards. The psyllid is morphologically identical to C. chinensis and is herein reported as a new record. In this study, we conducted DNA sequence analysi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leucine tRNA-cytochrome oxidase II (COI-tRNALeu-COII) and 16S rDNA regions to demonstrat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C. chinensis from pear orchards in Korea, and those recorded from China, Taiwan and Japan. The sequence of the COI-tRNALeu-COII and 16s rDNA regions were equivalent from Korea. Comparison of nucleotide sequences and phylogenetic analysis differentiated Korean psyllids from the Chinese and Taiwanese C. chinensis, but Korean and Japanese psyllids were closely related. Th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and Japanese C. chinensis are genetically homologous. It is presumable that these individuals descended from a single colony that was probably introduced recently.
        135.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vasive species are a major threat to ecosystems and cause enormous environmental and economic losse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full extent of the environmental damage by exotic species and control costs, it is estimated that invasive species cause > $100 billion in losses per year in the United States alone. The brown marmorated stink bug (BMSB), Halyomorpha halys, is native to Asia, but has become a recent example of serious biological invasion, expecially in the US. The BMSB is a voracious eater that damages fruit, vegetable, and ornamental crops in North America. To manage this destructive invasive pest, a team of more than 50 researchers is studying the pest's biology, behavior and ecology to find management solutions for growers, seeking strategies that will protect food, environment and agricultural industry. In this study, I address how the BMSB team were able to make successful team effort to battle the invasive species with funding from the USDA's Specialty Crop Research Initiative.
        13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4년에 시행된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외래생물의 사전예방적 관리 제도가 마련되었다. 아직 국내에 도입되지 않았으나 도입될 경우 생태계에 침입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래생물 중 포유류, 조류, 어류, 연체동물, 곤충, 식물을 포함한 24종이 위해우려종으로 지정되었다. 위해우려종을 국내로 수입 반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환경부장관으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제도는 기존의 법 체계에 비해 사전관리가 도입되었다는 측면에서 발전한 것이지만, 몇가지 개선해야 할 점이 있다. 첫째, 위해우려종의 범주 확대이다. 현재의 국내에 도입이 되지 않은 외래생물 대상에서, 국내에 도입되어 수족관, 식물원, 동물원 등의 사육 또는 재배시설 안에 제한적으로 존재하며 아직 생태계에는 정착되지 않은 외래생물까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에서는 수입 반입 신청자를 위하여 위해 우려종의 생태계위해성심사 세부 기준과 위해우려종이 자연 환경으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관리 지침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위해우려종의 탈출에 대한 조기 탐지 및 신속 대응 방법 및 프로토콜이 개발되어야 한다.
        4,000원
        137.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alyomorpha halys (Hemiptera: Pentatomidae) is an invasive species from Asia causing major economic losses in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United States. H. halys is also well known for nuisance problems as massive numbers of adults often invade human-made structures to overwinter inside protected environments. However, overwintering ecology of H. halys in natural landscapes is virtually unknown. We explored forested landscapes in the mid-Atlantic region to locate and characterize natural overwintering structures used by this invasive species. We also confirmed the identified overwintering structures by training and using detector canines in the natural landscapes. Overwintering H. halys were recovered from dry crevices in dead, standing trees with thick bark, particularly oak (Quercus spp.) and locust (Robinia spp.); these characteristics were shared by 11.8% of all dead trees in surveyed landscapes. Dispersal ecology of H. halys were evaluated in the laboratory and field to understand how this pest disperses among its overwintering sites, cultivated crops and wild hosts. In the laboratory, we evaluated the baseline flight capacity of H. halys using flight mill systems. Both foraging and overwintering populations flew on average 2.5 km over a day with some exceptional individuals flying >20 km. In the field, direction observations indicate that H. halys are not likely to initiate flight when temperatures are below 17oC. In addition, H. halys did not initiate flight even under very mild wind (2.4 m/s). We also evaluated the potential of using a portable harmonic radar system to individually track H. halys movements in the field. Our study demonstrates that a portable harmonic radar can be used to track adult H. halys without affecting its survival, walking mobility or flight capacity. In diverse semi-field settings, the success rates of locating radar-tagged H. halys were >85%. The knowledge of overwintering and dispersal ecology reported here would serve as baseline to develop and enhance the management programs of H. halys at landscape levels.
        138.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업의 발달로 인해 전세계적인 교류가 인적으로 또는 물적으로 매우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우리나라 도 적극 동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류는 지역과 지 역, 나라와 나라 등 어느 지역을 불문하고 확대되고 있으며, 각종 물자에서 사람, 그리고 동・식물분야까지도 확대되고 있다. 이 중 동・식물의 경우 특정한 목적에 의해 반입되는 경우도 있으나, 사람과 물자의 이동에 의해 부지불식간 유 입되는 경우도 상당수에 달한다. 특히 일단 유입된 종은 기 존에 서식하던 지역에 비해 경쟁종이나 천적에 해당하는 종이 없어지게 되면서 ‘생태적 해방(ecological release)’을 맞이함으로써 서식지를 넓혀가는 종들이 발생하게 되었으 며, 일부 유입된 종에 생태계교란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제강점기를 지나 한국전쟁 이후 교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서 외래식물의 유입이 급격히 증가하 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시기에 국토가 황폐화해지면서 국토녹화에 기여할 수 있는 외래종을 도입한 경우도 상당수 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당시에는 생물자원에 대한 중요성 과 가치인식도 매우 낮았을 뿐만 아니라 외래식물에 대한 연구도 사실상 거의 없었기 때문에 무계획적인 도입이 이루 어졌기도 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생물자원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생물자원에 대한 시장규모가 2003년 8천억 달러에서 2010년 현재 2조 5천억 달러로 증 가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대한민국정부, 2009). 특히 우 리나라의 경우 지리적인 위치와 기후인자의 특이성으로 인 해 식물자원이 4,130여 종 이상으로 식물종의 다양성이 매 우 높은 지역이며 생물다양성에 대한 보전 노력이 매우 절 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국립생물자원관, 2008). 특히 우리나라 기후조건의 경우, 다양한 식물종의 생육에 유리하 기 때문에 외래종의 침입도 매우 용이할 수밖에 없으므로 외래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 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토의 65%를 담당하고 있는 산림청의 경우 식물분야의 무수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외래식물에 대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 생물종의 약 33%가 생육하고 있다는 백두대간은 우리나라의 핵심 생태축이라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두 대간 지역에서 일부 생태계교란종이 보고되고 있는 반면 이들에 대한 모니터링은 종의 확인에만 그치고 있어 이에 대한 관리대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산림청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대규모 외래식물 모니터링 연구로서 남부지방산림청이 관할하고 있는 백두대간보호 지역 중 국립공원지역을 제외한 28,828ha에 대한 종합적인 분포현황을 파악하고 외래식물의 제거를 포함하는 관리방 안 수립을 목표로 시행되었다. 연구의 범위는 남부지방산림청이 관할하고 있는 지역으 로 백두대간 마루금을 기점으로 할 경우 부소봉에서 삼도봉 까지이며, 도상거리로 약 290km, 실거리로 550km 정도이 다. 조사는 2013년 4월부터 11월까지 수행되었으며, 외래 식물의 분포형태조사는 대부분 양지성 식물인 외래식물의 특성을 감안하여 외래식물의 분포가 예상되는 지역을 수치 지형도(1:5,000)와 수치임상도(1:5,000), 인공위성영상 등 을 기반으로 하여 GIS를 통해 사전에 추출한 후 조사를 실 시하였다. 즉, 마루금 등산로 전구간과 임도, 도로, 주택지, 채광‧채석지, 농경지, 헬기장 등 3,000개소 이상을 추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외래식물조사를 실시하였다. 외래식물 분포 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외래식물조사는 외래식물 분포지역 을 맵핑하고 개체단위로 분포할 경우 분포지역을 명시하고 조사된 종을 기입하며, 군락으로 분포할 경우 식물사회학적 방법(Braun-Blanquet, 1964)에 따른 층위별 출현 종 목록과 종에 따른 우점도(피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향후 외래식물 제거시 외래식물 분포현황을 손쉽게 판별하기 위해서 DB 의 구조는 분포지역 내 외래식물 종의 유무, 분포지역 내 특성, 방형구 내 외래식물 종의 유무, 방형구 내 특성 등 4개의 DB로 이루어졌다. 외래식물 분포실태에 대한 조사결과 남부지방산림청이 관할하는 백두대간보호지역 내 외래식물의 분포지는 총 907ha(687객체) 정도이었으며, 이중 조림지가 약 636.2ha(104객체)이었으며, 임도가 148.6ha(182객체), 그 리고 이들 지역을 제외한 외래식물의 면적이 122.1ha(401 객체)로 조사되었다. 특히 조사된 외래식물의 종은 총 86분 류군이었으며, 이 중 귀화식물은 67분류군이었고, 목본 3분 류군, 초본 64분류군이었다. 또한 주요 훼손지로 분류한 경 우, 마루금 등산로에 해당하는 능선부, 산정부, 헬기장이 각 각 34, 15, 12분류군(마루금 등산로 전체 36분류군)이었으 며, 도로 47분류군, 채광‧채석지 23분류군, 농경지 45분류 군, 임도 4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국화과가 20분류 군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개망초, 달맞이꽃, 망초 등의 출현빈도가 매우 높았다. 특히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된 12종 중 미국쑥부쟁이, 애기수영, 가시박, 단풍잎돼지풀, 도깨비가지, 돼지풀 등 6 분류군이 확인되었고, 반음지에서 생육이 가능한 붉은서나 물과 미국자리공, 주홍서나물 등이 확인되었다. 한편, 외래식물의 관리전략 수립을 위해 백두대간보호지 역 외래식물의 관리 목표를 백두대간보호지역 생태적 보전 과 생물종다양성 보전, 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 에 두고 제거 및 박멸과 억제, 유입차단,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 2+2 관리전략과 각 전략별 기본방향을 수립하였으며, 관리사업의 방향과 실행단계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139.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invasive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has been paid much attention as an excellent organic matter decomposer. We conducted the nationwide survey and the population genetic study using a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1 gene to understand its genetic diversity and distribution pattern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it has successfully settled down in South Korea and there are only 10 haplotypes and the populations of the insect are highly differentia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only few maternal lineages were introduced and their dispersal was restrained due to their short distance flying tendency since their introduction.
        140.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giant water bug, designated as an endangered specie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since 1997, can control American bull frog tadpole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an Invasive Alien Species(IA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since 1998.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hrough food preference between fish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and American bull frog tadpole(Rana catesbeiana) in laboratory condition (25±1°C) in HECRI. Potential food such as fish(weight: 8.2±0.6, length: 87.4± 1.6mm) and American bull frog tadpole(weight: 6.8±0.4g, length: 92.3±1.6mm) were inserted 5 individuals respectively in the nineteen acrylate cages with one pair of L. deyrollei simultaneously. Twice(10:00, 18:00) per a day was monitored. Once we confirmed prey was consumed by L. deyrollei, removed and replaced with same species to maintain same number immediately. Preference for American bull frog tadpole was significantly higher(93.6%) than fish(6.4%) (F=30.65, df=1, 18, P<0.0001).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