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6

        123.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tudy on the standard food cooking method of perilla seed soup, author analyzed the fatty acids of the soup by gas chromatography, and estimated its appearance, flavor, taste, viscosity, and overall taste by the sensory evaluation. We measured the change of TBA (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the oil from perilla seed soup during the period of storage at 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e best level at the S4 group, the ratio of rice powder to perilla seed was 50 to 40. 2. The most fatty acid of S4 group (perilla seed: 40 g) was linolenic acid. 3. The TBA values of the oil from perilla seed soup increased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storage duration at 4℃.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perilla seed soup would supplement essential fatty acid, linolenic acid.
        4,000원
        125.
        199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5 vol% ZrO2가 첨가된 Na β"-alumina 복합재를 1단계와 2단계 소결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ZrO2는 효율적으로 Na β"-alumina에 비해 약 51%정도 증가하였으며 열처리 시간에 따른 Klc값의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 복합재의 굽힘 강도 값은 열처리 시간이 60분을 초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2단계 소결법으로 제조한 Na 복합재의 전기 전도도는 1단계 소결법으로 제조된 시편과 달리 열처리 시간에 따른 전도도 값의 분산성이 거의 없었으며, 그 값은 다결정 Na β"-alumina의 전도도와 거의 동일하였다. Na 복합재 및 이온교환법에 의해 제조한 K 복합재의 전기전도도 값은 300˚C에서 각각 1.3x 10-1과 5.9x20-2Scm-1로 측정되었다.2Scm-1로 측정되었다.
        4,000원
        126.
        199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Nb O370 mol%와 SrTi O330 mol%의 고용체인 (Na0.7S r0.3)( Ti0.3N b0.7) O3는 완전 고용에 의한 one phase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온도변화에 대한 유전 특성 측정 결과 100K 부근에서 완만한 유전 피크가 관찰되었다. 유전 피크를 전후한 상온과 12K에서 결정 구조 해석을 Rietveld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결과 상온에서는 단순 페로브스카이트의 a, b 그리고 c격자를 2배로 하는 격자를 격자 상수로 갖는 사방정계의 단위포를 형성하며 공간군은 Pmmm이였고, 12K로 온도를 낮추었을때 역시 단순 페로브스카이트의 a, b 그리고 c격자를 2배로 하는 격자를 격자 상수로 갖는 사방정계 단위포를 형성하나 공간군은 Pnma로 바뀌었다. 이러한 결정 구조의 변화는 c축 방향의 (Ti, Nb)-O-(Ti, Nb) 결합 각도에는 거의 변화가 없이 팔면체 중심의 (Ti, Nb)-O간의 결합 거리가 대칭성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이로인해 산소 팔면체가 distortion되어 생기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l00K 부근에서의 완만한 유전 피크는 산소 팔면체의 distortion에 의한 구조상전이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수 있었다.다.
        4,000원
        128.
        199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황산금나트륨염을 이용하여 형성된 약 20μm 금도금층의 표면형상 및 우선적 결정 성장 방향에 대하여 전류밀도, 온도, 농도, pH, 교만속도, 금이온농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표면형상은 cathode 근처의 금이온농도가 증가하는 조건[전류밀도(13.0mA/cm22→4.6mA/cm2)], 온도 (30˚C→60˚C), pH(12.0→9.0), 교반효과(Orpm→3200rpm), 금이온농도(10g /1→l4g/1)으로 갈수록 porous한 조직에서 미세한 조직으로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X선분석에 의하면 금도금층의 결정성장의 주방향은 표면형상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표면형상이 미세화되는 조건인 전류밀도(13.0→14.6mA/cm2), pH(12.0→9.0)는 감소 할수록, 온도(30˚C→60˚C), 교반속도(0rPm→3200rpm), 금이온농도(10g/1→g/1)]는 증가 할수록 결정성장의 주회절피크는 (111)에서 (220)으로 그 성장면이 변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4,000원
        132.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액상요구르트의 제조시에 분유에 의한 산생성불량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의 개선방법을 검토하였다. TCA-soluble peptides이 함량이 낮은 탈지분유는 모두 요구르트 제조시에 산생성이 불량하였고, TCA-soluble peptides의 함량이 높은 탈지분유는 모두 산생성이 양호하였다. TCA-soluble peptides의 함량이 낮은 불량탈지분유에 Na-caseinate의 trypsin 분해물 첨가는젖산균의 산생성을 촉진시켰다. 그러나 Na-caseinate의 papain 분해물 첨가는 촉진효과를 나타내지 못했고, 세균성 중성 protease 분해물의 첨가는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Na-caseinate의 trypsin 분해물 첨가는 탈지분유의 TCA-soluble peptides 함량이 낮고 starter 젖산균의 단백질 분해능력이 약할 경우에 젖산균의 증식 촉진효과와 산생성 촉진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TCA-soluble peptides의 함량이 부족한 탈지분유에 Na-caseinate 미분해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액상요구르트는 유단백질의 침전이 발생하였으나, Na-caseinate의 trypsin 분해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은 정상적인 탈지분유에서와 같이 단백질의 침전이 발생하지 않았다.
        4,000원
        133.
        199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ite 복합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인 (Na1/2 La1/2)TiO3 세라믹스의 고주파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1000˚C에서 4시간 하소하고 1350˚ ~ 1450˚C에서 소결했을 때 치밀한 소결체가 되었다. NLT의 겉보기 밀도는 4.95g/cm3, 상대밀도는 96.4%였으며, 격자상수(a)가 3.873Å인 단순 입방정 구조였다. NLT의 유전율은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품진계수 Q는 평균 결정립 크기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1400˚C에서 4시간 소결한 NLT는 εr=125, Q=2842(fo=3 GHz), τf=465의 유전특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136.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F(Mg,Cu,Na,Si) 형광체의 γ선과 β선에 대한 TSEE 특성을 조사하였다. 상(60)Co γ선에 대한 감도는 약 450 counts/mR이었고, 여러 가지 β선에 대한 TSEE 에너지 의존성은 β입자의 평균에너지 0.02MeV에서 0.8MeV 사이에서 ±10%이었다. 그리고 제작된 형광체 앞면에 7mg.cm 상(-2)의 인체 등가물질을 두 면 입사 β입자의 에너지에 무관하게 피부 흡수 선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
        3,000원
        140.
        197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arlier findings on the radiative heating through the umbral walls in large sunspots are further investigated. No significant evidence for the umbra! heating has been found in small-sized sunspot umbrae.
        4,000원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