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8

        143.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 Astronomy Observatory (KAO) recently developed a new model of CCD imaging system for astronomical purpose. This paper presents system structure and electrical circuit descriptions with the performance of the CCD imaging system. The developed system can handle astronomical image acquisition with additional functions of on-chip binning, sub-image acquisition using a SITe 1024×1024 1024×1024 CCD chip. Particularly the controller design of the system allows us great flexibility and versatility with the software system control an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ny format CCDs by any manufactures, in principle. The system performances are derived by mean variance test in our laboratory, which shows that the total system noise 10.5e-(R.M.S), Gain 1.9e-/ ADD, non-linearity 0.37% 0.37%
        4,200원
        146.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urved channel duct is designed, built and used specifically to produce Dean vortices as a result of flow around a 180℃ curve. We present evidence using optical reflection of the existmace of the vortices in the curved section and following flat section. Also, three different feed soludons(DI water, a monodispersed styrene-divinyl-benzene latex particle suspension and a yeast suspension)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Dean instabilities to destabilize polarization layers. For each suspension, the flux data were compared as a function of time for flow conditions with and without Dean vortices, for a 0.2μm microfiltration membrane. Any permeation flux improvement was not sustained for 2.0Dec due to the vortex-decay in the flat section after the curved channel, but a 15~30% permeation improvement was obtained for 3.8Dec
        4,000원
        148.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자기컴퍼스 카아드의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공자장발생장치에 의한 수평자장의 세기와 카아드의 크기 및 컴퍼스액의 점성계수별 제진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에 사용한 컴퍼스 종류별 수평자장의 세기에 따른 제진특성은 A, B, C, D컴퍼스 모두 수평자장의 세기가 강할수록 주기와 감도는 짧고, 과행각은 크게 나타났으며, 극지와 같이 수평자장이 약한 0.03gauss에서는 진요회수와 마찰각등이 ISO의 허용범위 보다 미달되거나 크게 나타나, 컴퍼스 카아드의 지북단이 자북으로 복귀하지 않았다. 2. 한국근해의 표준자장인 0.30gauss에서 측정한 컴퍼스 종류별 성능제요소를 IMO NAV/ANNEX II 의 성능표준과 비교해 본 결과, 주기를 제외한 전 요소가 IMO NAV/ANNEX II의 성능표준의 허용범위 이내로 한국근해의 사용이 적합하나 지자기의 수평자장이 0.18gauss보다 약한 위도 60˚이상의 고위도 해역에서의 사용은 부적합하다고 생각된다. 3. 한국산 자기컴퍼스 카아드의 크기별 clearance에 대한 제진특성은 clearance가 클수록 감도는 예민하고 주기는 짧아져 방위지시부의 지북단이 자북으로 복귀하는 시간이 짧아진 반면 마찰각은 각각 1.5˚, 0˚, 0.5˚, 2.0˚가 되어 카아드의 크기가 170mm와 175mm로써 clearance가 10.0mm와 12.5mm일때가 마찰오차는 IMO NAV/ANNEX II의 성능표준의 허용범위 이내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4. 카아드의 크기가 175mm, 자침의 자기능률이 1,925 C. G. S. E. M. U인 자침을 사용할 경우 한국근해의 수평자장 0.30gauss에서는 컴퍼스 액의 점성계수가 0.021poise로서 에칠알콜과 증류수의 혼합비율이 4 : 6일 때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149.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안강망어패의 흠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새로 설계된 어구의 모형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실물 크기의 시험어구를 제작하여, 그 전개성능에 관한 해상시험을 실시함과 아울러 선미식 조업방법의 가능성과 문제점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1. 어구의 전개성능 시험어구가 현용 어구와 다른 점은 그물의 등판.밑판의 아궁이 쪽을 만곡되게 사단하여 성형율이 25%정도 되게 뜸줄과 발줄을 붙이고, 양옆판의 아궁이쪽의 뻗힌 폭을 20%정도 줄이는 대신에 옆구리의 폭을 10%정도 크게한 점, 전개장치의 높이를 현용어구보다 17%정도 작게 한 점, 전개장치의 상단에 붙이는 부력을 16%정도 크게 한 점, 또 각판의 그물감을 서로 잇대는 네모서리에는 적당한 성형율을 주면서 힘줄을 붙인 점, 네갈랫줄의 길이를 맨 아랫것부터 차례로 75m, 77m, 80m, 78m로 다르게 한 점등이다. 어구의 전개성능은 어군탐지기를 써서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망구의 전개높이는 시험어구가 유속이 비교적 느릴 때는 현용어구보다 3m 정도 낮으나, 다소 빠를 때는 오히려 1m 정도 더 높고, 망구의 전개간격은 시험어구가 현용어구의 1.4배 정도이며, 망구의 전개면적은 1.3~1.6배여서 시험용어구가 현용어구에 비하여 어획성능이 상당히 클 것으로 기대된다. 2. 선미식 조업방법 선미식조업은 시험선의 선수를 조류에 향하게 해 놓고, 그물은 선미 슬립웨이에서 투양망하며, 전개장치는 선미갤로우스의 양현쪽에 있는 톱로울러를 통한 돋움줄에 의하여 오르내리게 하였다. 이와 같이 선미식 조업방법으로 개량하면 기계화로 성역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조류와 바람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을 때는 전개장치와 그물이 서로 얽힐 우려가 있으므로 이 점을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4,000원
        150.
        198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자기컴퍼스의 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공자장발생장치와 컴퍼스 회전태를 이용하여, 수평자장의 세기와 컴퍼스 보울의 선회각속도 및 컴퍼스액의 점성계수에 따른 수반각을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평자장의 세기를 한국근해의 표준자장인 0.30 gauss로 하고, 보울의 선회각속도를 (π/2×rda.)/min. 으로 하여 2회전(0~720˚ 시켰을 때의 컴퍼스 종류별 수반각의 과도특성은, 회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A, B 컴퍼스의 180˚를 주기로 편각의 최대, 최소치가 크게 나타났으며, C, D 컴퍼스는 90˚를 주기로 편각이 1~2˚ 범위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2. 컴퍼스 종류별 수반각의 크기는 A, C, D 컴퍼스는 각각 0.7˚, 0.7˚, 0.5˚로써 IMO/ANEX-II의 성능표준이나 ISO의 허용범위 1.0˚보다 적어 한국근해에서의 사용이 적합하나, B 컴퍼스는 1.5˚로써 다소 크게 나타났다. 3. 수평자장의 세기에 따른 수반각은, 전자장내에서 C컴퍼스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다음 D, A, B컴퍼스 순으로, 수평자장이 약해짐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으며, 지자기의 수평자장이 0.18 gauss 보다 약한 위도 50˚ 이상의 고위도해역에서의 사용은 부적합
        4,000원
        151.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very important for a navigator on bridge to know the maneuverability of his ship sufficiently at sea. Generally, the data of a turning circle test have long been used to study and evaluate the maneuverability of a ship. But referring only the data of the turning circle test method, he can not evaluate his ship's maneuvering characteristics sufficiently. So nowaday the test method added Z test to turning circle test for more detail references is considered to be desirable. In this paper, the authors performed PAL test and Z test together in order to study the maneuverability of M. S.Pusan 403, training ship of th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AL test, the rudder effect in port rudder angle of the M. S. Pusan 403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at in starboard one, because her changing amounts of angular velocity, turning radius and tangent speed in port rudder angles were found to be larger than those of them in starboard rudder one in unsymmetry. The relation between her drift angle(.8) and rudder angle (0) was found to be changing with .8=0.640 in direct proportion. As it appeared that her calculated K'-values were smaller than the standard K'-values of different kinds of ships in accordance with her Z test, her turning ability was found to be lower. The running distance of a turn in her 10˚ Z test was about 8.3 times her own length and was found not to be exceeded the standard maneuvering distance, therefore she was considered to have good maneuverabilities synthetically.
        4,000원
        152.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연평균 지진발생 횟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경주와 포항에서 규모 5를 초과하는 지진이 발생하여 상수도관의 피해가 다수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상수도관의 지진에 대한 대비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수도관은 상수도 공급시스템에 있어 혈관과도 같은 중요한 시설로서 다양한 규격과 재질의 배관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지진에 의한 상수도관의 손상은 식수공급, 화 재진압 등의 문제를 일으키게 되며,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게 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시험 검증 및 경험에 의해 매립상수도관의 내진 성능이 평가된 예를 찾아보기 어렵다. 지진에 의한 상수도관의 손상은 액상화와 단층과 같은 지반의 변위지배적인 거동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지진에 의한 상수도관의 주된 파손은 배관 이음부에 집중되며 특히 직경 200mm 이하 배관이 위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칭 150mm의 클램프로 고정된 이음을 가지는 iPVC 매립 상수도관에 대하여 시험적인 접근으로 내진 성능 및 내침하 성능을 평가 하였다.
        15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철도 목침목은 양질의 목재 수급이 어려워짐에 따라 목침목의 품질이 저하되고 있고, 제작 과정에서 첨가되는 방부제의 일종인 크레오소트유의 환경 유해성으로 인해 국내외 철도 궤도분야에서 점차 그 사용이 감소되고 있다. 목침목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품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목침목 대비 환경부하를 저감시키고 하중 저항성 및 내구성 향상이 가능한 플라스틱 침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침목 대체를 목표로 하는 플라스틱 침목의 성능 정립을 위하여 목침목의 정동적 강성 및 강도 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154.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고성능 섬유보강 복합체(HPFRCC)의 전자파 차폐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전기전도도, 전자파 차폐능, 역학적 강도를 조사하였다. 강섬유, 제강슬래그 미분말, 카본블랙이 전도성재료소 HPFRCC 배합에 첨가되었다. 또한, MWCNT를 수 분산 시켜 제조된 2% wt. CNT 용액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HPFRCC의 전기전도도는 1% 카본블랙이 첨가된 시편을 제외하고는 매우 낮은 특성을 보였다. 시멘트 매트릭스의 미세구조는 시간에 따라 변하였고, 그로 인해 HPFRCC의 전기전도성 네트워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0.083 S/cm의 전도도를 갖는 HC1 시편의 경우, 수분에 의한 효과를 배제하기 위하여 72시간 60도에서 건조 양생한 후에 측정한 전기전도도가 0.0003 S/cm로 상당히 감소하였다. 전자파 차폐 성능에 가장 중요한 인자는 강섬유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카본블랙과 제강슬래그 미분말의 효과는 미미하였다. 전기전도도와 전자파 차폐능의 상관관계는 이 연구에서는 뚜렸한 경향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15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ovides a simple introduction to photo-catalyst technology to self-clean the organic dirts and degrade the air pollution in urban environment. Moreover, it shows the spray coating technique was applied to effective coating on the surface of concrete specimen by using as-developed integral photocatalyst solution. In order to examine photo-catalytic activity and degradation effectiveness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pecimen, the UV-LED lamp was used as a light source to activate the photo-catalysis. Methyl-orange dye was used as an indicating method to speculate the photo-catalytic reaction and UV-VIS spectrometer to determine the molar content of the organic dye.
        156.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자기치유 재료에 대한 연구는 보수하기 힘들거나, 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구조물에 대해 구조물 스스로 손상을 치유하여 사용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많이 수행되어오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기치유 평가 방법으로는 투수시험이 있다. 하지만, 자기치유 평가 방법에서 자기치유 성능은 콘크리트의 초기 균열 폭에 큰 영향을 받지만 일관된 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균열 폭과 투수량을 기반으로 균열 폭-투수량의 상관관계와 시간-투수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광학현미 경을 이용하여 측정한 초기 균열 폭은 신뢰성이 떨어지므로 Poiseuille flow에서 α값을 도출하여 시간-균열 폭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시간-투수량과 시간-균열 폭에 대한 경향을 분석하였다.
        15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develop the waterborne silicon acrylic surface finishing material of parking lots. Adhesion strength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enhance performance of the finishing material by adopting modified polyamide resin. The results qualified the standard regarding bond strength which is prescribed in KS F 4937. They are confirmed that the strength tend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polyamide increased and could be an optimum surface finishing material applicable for parking lot floor.
        158.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development of an optimized cross section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median barrier(SB6). A series of numerical analyses and full-scale crash tests were was conducted to develop optimized section of SB6 concrete median barrier The suggested section of SB6 concrete median barrier satisfies all requirements provided by MO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60.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carry out test for the surface finishing material of parking lot using Cross-linking agent(Zinc Oxide). The specimen was fabricated by KS F 4937, Cross-linking agent 2%, 3%, 4% is mixed in water soluble acrylic resin. As a result, bond strength of surface finishing material using Zinc oxide 4% was confirmed to be superior than surface finishing material using ordinary Acrylic resin.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