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4

        144.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s of a short-perio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dietary behavior and the dietary intake were investigated in sixty nine healthy female college students. Questionnaires for general health information, character type, dietary behavior and dietary intake were answered by the subjects. All the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hich was carried out twice during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adiposity indices (AI), which are low AI (33 subjects), normal AI (31), and high AI (5). In the normal and the high AI group,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ppeared to influence the dietary behaviors of the subjects significantly. However the program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dietary intake of three groups, except PUFA ratio. It appears that a longer-perio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s required for influencing both the dietary behavior and the dietary intake of the subjects.
        4,000원
        145.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promotes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118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were surveyed to understand of children's food preferences and prejudices. The preference for vegetable showed the lowest score(2.345) and fruit was the favorite food(4.11). These results imply the consequence of teaching balanced diet with emphasizing vegetables for preschoolers. Thu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cluding teaching material were developed to provide the preschoolers with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ctivities in order them to the familiar with vegetables. The program were consisted of following five parts: 1. Read-A-Story includes six stories with follow-up activities. 2. Grow-A-Plant gives instructions for growing vegetables. 3. Play-A-Game stimulates children's imagination and learning. 4. Take-A-Trip suggests places to visit that grow, sell, and prepare vegetables. 5. Eat-A-Treat presents easy ways to prepare and enjoy vegetables. Twenty one-Standardized recipes for vegetable dishes were also developed for preschooler's luncheon and snack in daycare center.
        4,500원
        146.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nutrition education and training needs as a basis for program planning for day care children. Nutrition achievement test developed by American National Dairy Council and Iowa state University was modified and used for measuring the level of basic knowledge of food and nutrition for day care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ver 70% of mothers indicated their children had a certain degree of food behavior and feeding problems in terms of unbalanced food habit, irregular meal period. 2. Mean score for the nutrition achievement test for day care children was 9.3. 3. The nutrition achievement test score for children with high socio-economic statu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hildren with middle and lower group. 4. Inspection of the difficulty difference indices showed that over the 50% of the children had more items that were easier in the content of physiological facts than in the food handling and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of foods.
        4,600원
        148.
        202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n educational program could alter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auses of and solutions to climate change. On October 23, 2020, a 3-hour climate change educational program was provided to 400 high school students in Suncheon City, (Jeonnam Province,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program, climate change represents a social dilemma, or tragedy of the commons; it also asserts that collective action aimed at strengthening government policy is the optimal solution to climate change, and concludes that motivated citizens should convey their opinions directly to the government through political action. After the program, the students made and shared placards calling for policy-based responses to climate change. Questionnaires completed by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vealed that their perceptions of the causes of and solutions to climate change changed significantly. This case study indicates that education programs have the potential to alter students’ perspectives and promote actions aimed at mitigating and adapting to climate change.
        149.
        202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lectrical Conductivity (EC) or Total Dissolved Solids (TDS) has been often used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in some water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and youth.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EC (or TDS) can be used as a water pollution criteria in water education program. To clarify it, we used the water analysis data of July 2019 and January 2020 from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Data from 332 points in Han-river were use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the parameters, such as BOD, COD, TN, TP vs EC. Correlation(r) for all data of BOD vs. EC was 0.347 for July 2019 and 0.483 for January 2020. No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BOD Ia and BOD Ib for July 2019 (r=-0.041, -0.030, respectively) and BOD Ia for January 2020 (r=0.041). Better correlation for all data of COD vs. EC was obtained (r=0.543 for July 2019 and r=0.610 for January 2020). However, no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COD Ia for January 2020. High vlaue of EC or TDS does not always mean water pollution, especially for clean water environment. Thus, EC (or TDS) alone can not be used as a water pollution criteria.
        150.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중국 요보호아동들의 심리건강을 증진 시키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중국 허베이성 A지역의 요보호아동을 7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 하여 초등학생 심리건강 척도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중국 요보호아동에게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 계 분석(correlations analysis), t-test 분석(independent samples t-test analysis)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요보호아 동들의 학습 장애, 정서 장애, 성격 장애, 사회적응 장애, 성품 장애, 불량습관 장애, 특수상황 장애, 그리고 불안행동 장애를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무용교육이 앞으로 더 많은 요보호아동들에게 적용될 수 있도록 향후 무용교과가 필수교과에 포함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데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151.
        202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ducation policy is a dynamic process featuring social development trends. The world countries have focused their education program on empowering the learners for future life and work. This paper aims to assess the higher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a survey of 280 students, employers, alumni, and lecturers in both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in Ho Chi Minh City, Vietnam. The fuzzy decisionmaking method, namely the Fuzzy Extent Analysis Method (F-EAM), was applied to measure the relative weight of each parameter. Seven factors under the curriculum development have been put in the ranking. Input with emphasis on foreign language was the highest priority in curriculum development, given the expected demand of the labor market. Objective and learning outcome and teaching activities ranked second and third, respectively. The traditional triangle of teaching content, methodology, and evaluation and assessment are still proven their roles, but certain modifications have been defined in the advanced curriculum. Teaching facilities had the least weight among the seven dimensions of curriculum development. The findings are helpful for education managers to efficiently allocate scarce resources to reform the curriculum to bridge the undergraduate quality gap between labor supply and demand, meeting the dynamic trends of social development.
        152.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9년 8월까지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장애학생의 행동문제 중재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시방법과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련의 논문 선정 기준과 과정에 따라 총 20편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20편의 논문의 전반적 연구 동향과 부모교육 프로그램 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은 어머니가 대부분이었고, 실시 장소는 치료센터가 많고, 실시 횟수는 주 1회가 많았다. 종속 변인인 학생의 문제행동은 외현화 행동이 가장 많았다. 일부의 논문에서 일반화, 유지, 사회적 타당도를 측정하였으며 일반화는 측정이 어려우며, 유지와 사회적 타당도는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9가지 의 종류의 프로그램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중재가 효과적이었던 문제행동은 9가지로 나타났다. 또한 15편의 논문에서 학생의 문제행동의 변화를 포함한 부모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셋째, 상호작용과 관련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장애학생의 외현화적인 문제행동과 내재화적인 문제행동 이외에도 사회성과 관련한 문제행동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학생의 행동문제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153.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를 이끌어갈 주역인 초등학생들이 다문화 인권 인식을 함양할 필 요성과 함께 어린이가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다문화 인권교육 요소를 충실히 포함하고 있는 최근 개봉 영화 ‘가버나움’ 에 주목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이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또래의 상황을 통한 감정이입과 교육적 효과가 기대되는 ‘가버나움’ 영화 를 활용한 다문화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생에게 적합한 ‘소수자 보호’, ‘차이의 존중’, ‘행복 추구’라는 세 가지 다문화 인권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가버나움’ 영화 중 위 요소에 적합한 2~3분 정도의 5개 장면을 선정하였고, 이를 활용한 총 5개 주제의 10차시 교수학습과정 안을 개 발하였다. 위와 같이 설계된 프로그램은 경기도 소재 H 초등학교 2학년 한 학급 28명을 대 상으로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에 주 1회 2차시로 총 10차시 수업을 시행하였고, 학생들의 수업 참여 관찰과 학습결과물 및 소감 발표 등을 통해 정성적인 평가를 시행하였다. 개발 된 프로그램은,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가버나움 영화 속 등장인물이 되어 일기 써보기 활동, 성차별을 인지하고 차별받는 등장인물이 되어 양성평등을 다짐할 수 있도록 역할극 수행, 난민 문제를 알아보고 도와주는 방법 생각하기, 인종차별 문제의 심각성을 깨 닫고 이와 관련된 표어 짓기 및 캠페인 활동, 다문화가족의 어려움을 알아보고 도와주는 방법 토의의 총 5개 주제로 구성하였다.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소수자 보호, 차이의 존중, 행복 추구라는 세 가지 다문화 인권요소 측면에서 학생들의 소감 발표 및 활 동 결과물을 통해 학생들의 인식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버나움’이라는 한 종류의 영화로 수업을 적용하니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성상 주인공에게 더욱 몰입하게 되어 다문화 사회에서 고통받는 인물들에 대해 진심으로 공감하고 진지하게 고민하는 모습이 관 찰되어 다문화 인권 인식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가버나 움’ 영화는 학생들의 인지발달단계의 수준에 맞도록 활동을 개발한다면 초등학교뿐만 아니 라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 현실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다문화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소재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54.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과의 도형의 기초, 여러 가지 삼각형과 사각형, 다각형, 원의 구성 요소, 평면도형의 이동을 중심으로 포디프레임과 지오지브라, 3D 펜을 활용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4학년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융합 역량에 대한 효과를 검증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남 창원시 소재 U초등학교 4학년 영재학급 학생으로 남학생 10명, 여학생 8명, 총 18명이었다. 연구방법은 프로그램의 개발과 단일집단 사전사후 측정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 영재학급 학생들의 창의·융합 역량 발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하위요인 중 인본주의 요인의 경우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동료평가지 분석 결과 학생들이 생각하는 창의·융합 역량 하위요인 별 핵심 요인 중 소통과 협력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배려’, 창의적 통찰력에서는 ‘사물이나 현상을 다르게 볼 수 있는 발상’, 타 분야의 지식에서는 ‘결합되는 각 기술(교과)자체에 대한 이해력’, 인본주의에서는 ‘공감 능력’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성장과 발달 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미래사회의 주축이 될 학생들의 창의·융합 역량 증진을 위하여 개발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55.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까지 등재학술지(KCI)에 게재된 유아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논문 28편을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 교육 활동 및 프로그램의 내용구성과 효과검증방법을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의 내용구성과 관련하여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개발의 기초가 되는 이론적 배경에 대한 설명이 누락되어 있었고,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내용은 문화이해였으며, 다문화 교육목표에서는 다문화에 관한 지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반수이상의 프로그램에서 다문화 교육이 자료를 제공하거나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의 효과검증과 관련해서 살펴본 결과,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활용한 연구가 절반이었고, 대부분의 연구들은 프로그램 실시 직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유아의 다문화 지식 변화로 측정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수의 연구에서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보고하였지만, 타당도의 보고는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56.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의 변화에 대비하여 농특산품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농업인 역량 범위가 생산에서 가공 및 유통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농촌 관련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농업인 역량 범위 확대에 속하는 포장 및 브랜드 등 농산물 가치를 높이는 디자인 관련 교육이 한시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한계성이 있으며 체계적인 교육의 요구도가 높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참고하여 브랜드 디자인을 중심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며 기초설문을 통해 브랜드 디자인 교육 필요성 및 요구도가 높음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참고하여 농업인(10인)과 전문가(10인)로 나누어 심층면담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농업인 의견과 전문가 의견으로 비교 분류하여 종합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브랜드 디자인 및 교육 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하여 3회차를 통해 농업인 브랜드 디자인 단계, 수준, 역량 정의, 교육시간, 방식, 커리큘럼, 세부내용 등을 구성하여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농업인 브랜드 디자인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및 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정부기관과 연계하여 시범 적용을 실시하여 실용화하였다.
        157.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 주제선택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다문화교육이 문화감수성 함양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보고 그 효과가 다른 시민교육 프로그램과 차이가 있는 것인 지, 학생들의 문화감수성 함양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 외적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수도권 소재 A 중학교 1학년 학생 162명을 대상으 로 한 분석에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문화감수성 함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시민교육 프로그램과 비교했을 때 문화감수성 함양 효과는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학생들의 문화감수성 함양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이 전에 학교에서 받은 다문화교육,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하는 활동에 참 여한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이나 외국 거주 경험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이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효과와 관련하여, 체험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의 성격을 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문화감수성을 함양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상할 때, 문학․예술 체험을 바탕으로 한 컨텐츠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아야 한다. 셋째, 핵심역 량을 함양하기 위한 체험 중심 프로그램이라면 다른 시민교육 프로그램에서도 문화감수성 함양효과를 조심스럽게 기대해볼 수 있다.
        158.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국악영재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대구예술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백워드를 활용한 수업활용방안을 통해 국악영재교육과정에 대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예술영재교육이 가지는 가치를 알고 국악영재교육에 대해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제시하여 국악영재교육이 활성화 되는 방안을 모색하고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예술영재교육 수업에 있어 교사와 학생의 내러티브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영재교육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159.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삼국유사』설화를 활용하여 유아들을 위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또한 다문화 인식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려고 한다. 우선, 이 논문은『삼국유사』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을 분석하여 다문화와 다문화 교육에 관련된 요소들을 찾고자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 프로그램의 목적 설정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러한『삼국유사』설화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몇몇 교육 전문가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개발에 이르렀다. 다음,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한 유치원의 5세 아동 30명에게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 아동들은 10주에 걸쳐 15차시의 수업을 받았다. 데이터는 독립표본 T 검정 과 대응 표본 T 검정을 통해 처리되었다. 이 결과는 유아들을 위한 다문화 프로그램이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시했다. 이 결과는 또한 유아들의 다문화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이 프로그램이 유아들에게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160.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초․중등 대상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효 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연구 목표는 첫째, ‘초․중등 대상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를 분석한다.’ 둘째, ‘범주형 변인별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한다.’ 셋째, ‘연속형 변인별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한다.’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 ‘다문화 교육’, ‘다문화 프로그램’, ‘다문화 효과’를 키워드로 하여 논문을 검색하였고, 2차에 걸친 자료 수집 과정과 대상 논문에 대한 질적 분류 결과 학위논문 30편, 학술지 논문 6편, 총 36편의 논문이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총 효과 크기는 .816으로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으며, 이를 비중복 백분위 지수(U3)로 변환한 결과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는 79퍼센타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다문화 교육을 시행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약 29% 높다는 것이다. 하위그룹분석 을 실시한 결과, 비교과 영역보다 교과 영역의 효과가, 중등보다 초등교육의 효과가, 언어 적 프로그램보다 비언어적 프로그램의 효과가, 개인․심리적 변인보다 다문화적 변인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가운데 프로그램 내용(교과/비교과)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의 평균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다. 또한, meta-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 집단크기와 교육 기간은 효과 크기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