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4

        141.
        200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expedition of Mt. Chanbai-shan, China in 1999 to 2002, a total of 67 species belonging to 47 genera, 7 subfamilies are recognized. Of these, 11 species, Eudonia hiranoi Inoue, Scoparia yamanakai Inoue, Crambus argyrophorus Butler, Goniorhynchus exemplaris Hampson, Herpetogramma moderatalis (Christoph), Herpetogramma pseudomagna Yamanaka, Opsibotys perfuscalis Munroe et Mutuura, Pleuroptya harutai (Inoue), Pyrausta rubiginalis (Hubner), Hypsopygia regina Butler, and Orthopygia nannodes (Butler)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China. The synonymies, distributional ranges, and photographs of newly reported species are provided.
        4,200원
        142.
        200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enty eight new species of Acentropinae are described from the Philippines: Nymphieula negrosensis sp. nov., N. mindorensis sp. nov., N. zambalensis sp. nov., N. samarensis sp. nov., N. banauensis sp. nov., Eoophyla pulehralis sp. nov., E. naumanni sp. nov., E. fontis sp. nov., E. nussi sp. nov., E. riehteri sp. nov., E. yeni sp. nov., E. quezonensis sp. nov., E. bieolensis sp. nov., E. litoralis sp. nov., E. montanalis sp. nov., E. eallilithalis sp. nov., E. sehintlmeisteri sp. nov., E. ley tens is sp. nov., E. eernyi sp. nov., E. napoleoni sp. nov., E. eervinalis sp. nov., Eristena samaritai sp. nov., Margarostieha nigreseens sp. nov., Paraeymorizafuliginosa sp. nov., P. argenteolineata sp. nov., P. nigrella sp. nov., Parapoynx leueographa sp. nov., and P. pyenarmonides sp. novo New generic combinations: Ambia triehostylalis Hampson, 1897 from Sulawesi is transferred from the Musotiminae to Eoophyla (Acentropinae) where it stands as Eoophyla triehostylalis (Hampson, 1897) comb. n.; Eoophyla wollastoni (Rothschild, 1915) comb. n. (Aulaeodes), Eoophyla flavifaseialis (Hampson, 1917) comb. n. (Aulaeodes), Eoophyla longiplagialis (Hampson, 1917) comb. n. (Aulaeodes), the last three species are from Irian Jaya; and Eoophyla stresemanni (Rothschild, 1915) (Aulaeodes) comb. n. from Ceram. The male and female genitalia are illustrated together with pictures of the adults. The diagnostic features of the species are given and the nearest relatives are indicated. All new species are Philippine endemics. The rate of endemism in the Acentropinae of the Philippines is about 85%. This remarkable high percentage, corroborating the notion that the Philippines are a hot spot of biodiversity in South East Asia, points to the particular geographic situation and geological history of the Philippine Islands.
        9,500원
        143.
        200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examination of mayfly materials from Northeast China resulted in the recognition of 65 species, 28 genera, and 12 families of Ephemeroptera. Checklist, original reference sources, larval diagnoses, measurements, materials examined, distributions, and taxonomic remarks are provided. Macro-photos of larval body (dorsal view) and line-drawings of larval key characters are also provided.
        6,900원
        144.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콰로르의 수도인 키도와 갈라파고스에서 2000년 8월 1일부터 18일까지 거미상을 조사한 결과 총 562개체를 채집하였으며, 그 중 22과 48속 50종을 동정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키토와 갈라파고스 제도에는 배회성 보다 정주성 거미류가 더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Gasteracantha cancriformis (Linnaeus 1758)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이에 Gasteracantha cancriformis를 재기재하여 보고하고
        4,000원
        145.
        200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 review of the genus Pyrausta (Lepidoptera: Crambidae: Pyraustinae) in the Korean peninsula, 12 species including three species of North Korea are recognized. Among them, P. nigrimaculata Bae et Kim is described as new to science, and P. chrysitis Butler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 Key to species of the genus, based on the external characters, is provided. Morphological descriptions with illustrations of the genitalia for the all known species are given.
        4,600원
        146.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섬진강 중류의 전남 곡성군 수계의 담수어류상과 서식현황을 2001년 3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한 결과, 총 5과 22속 30종 1,786개체가 채집되었다. 출현한 어류는 26종이 잉어과 어류에 해당되었고, Rhinogobius brunneus의 1종만이 이차담수어에 해당되었다. 하천 전체에서 Zacco platypus (우점도 24.2%)가 우점종으로 확인되었고, 아우점종은 Pungtungia herzi (10.7%)로 나타났다. 한국 고유종은 Rhode
        4,000원
        148.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산 야생화초지(Native wildflower p pasture: NWP, turf grass 6종 + 국산야생화 11종) 및 외국산 야생화초지(Introduced wildflower pasture; IWP, turf grass 6종 + 외국산야생화 9종)를 조성하여 계절별 개화시간, 개화지속 정도, 꽃의 색깔, 식생변화 및 초지에서의 동물상 등을 조사 분석하여 야생화초지의 개발에 필요한 초종 선발 및 구성, 혼파조합 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4,600원
        149.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pider fauna in Anmyun-do Island was investigated from 20 th to 24 th Aug. 1999. As a result,94 species of 66 genera under 18 families were collected. Identified spiders were composed of Palaearctic (6%), Holarctic (7%), Oriental (0.8%), Cosmopolitan
        4,000원
        150.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계룡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계절별 야생조류의 서식 분포현황을 밝히고, 야생조류의 보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를 위하여 5개 지역을 조사지로 설정하여 2000년 4월부터 2001년 1월까지 4회에 걸쳐 야생조류 및 서식환경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룡산국립공원지역에서 조사기간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텃새 30종, 여름철새 26종, 겨울철새 9종, 나그네새 4종으로 총 10목 29과 69종 2950개체이며, 이 중 천연기념물은 참매, 새매, 붉은배새매, 소쩍새 등 4종이 관찰되었다. 서식 종 수는 봄철 46종, 여름철 39종, 가을철 40종, 겨울철 40종이었다. 서식밀도는 봄철 7.36마리/ha,여름철 5.17마리/ha, 가을철 15.61마리/ha, 겨울철 7.4마리/ha이며, 주요 우점종은 붉은머리오목눈이, 직박구리, 박새, 쇠박새, 곤줄박이 등의 순이었다. 특히, 봄철 종 수는 이용강도가 높은 동학사 지역이 이용강도가 낮은 다른지역들 보다 낮게 나타났다. 갑사 지역은 봄에 최대 종 수를 나타내어 조류의 번식지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겨울철새의 종 수가 가장 적게 관찰된 갑사와 신원사 지역은 겨울철새가 서식하기에 불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151.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거제도 남동 해안지역의 한려해상국립공원 보호구역에서 해상자원의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거제도 일운면 예구리, 남부면 다대리 및 남부면 저구리 해얀지역에서 1999년 6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어류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어류는 총 16목 47목 69속 85 종 2, 789개체가 채집되었으며, 45종이 출현한 농어목(Perciformes), 10종씩 출현한 가자미목 (Pleuronectiformes) 및 횟대목(Scorpaseniformes)의대부분 저서생활을 하는 어류가 주로 채집되었다. 전체 조사기간 동안 가장 만하은 개체가수가 채집된 어류를 줄비늘치(Coelorhyncus multispinulosus) 458개체(16.4%)로 확인되었고 칠서대(Cynoglossus interruptus) 384개채(13.8%), 노랑촉수(Upeneus bensasi) 285개체(10.2%) 등의 순 이었다. 조사시간 6월에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어류가 채집되었다.
        4,000원
        152.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list of Korean spiders was revised, including 46 families 225 genera 622 species which were reported by December 1999. Of these 61 added species and 37 alterated scientific names were supplemented, and 3 species, which have been reported since June 1994, were newly synonymized. The spider fauna of Korea is composed of 12 Cosmopolitan, 34 Holarctic, 66 Palearctic and 136 Korean endemic species. The spider fauna of Korea has much more similarity with Japanese spider fauna than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9,200원
        153.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 태백 일대에 분포하는 중기 석탄기의 만항층과 금천층은 주로 셰일, 사암 및 석회암으로 구성되며, 이 층들의 석회암에서 코노돈트, 방추충, 해백합, 완족류, 산호, 태선동물, 개형충 등이 풍부하게 산출된다. 이 연구는 연구 지역의 만항층과 금천충의 석회암 암상을 조사하고 이들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코노돈트의 종류와 수를 조사하여 코노돈트의 고생태를밝혔다. 또한, 만항층과 금천층에서 산출되는 여러 종류의 화석을 바탕으로 이들의 퇴적환경을 구명하였다. 연구 지역에 분포하는 만항층과 금천층의 석회암은 해백합과 여러 종류의 생물 파편을 많이 포함한 와케스톤(wackestone)과 팩스톤(packstone)으로 구성된다. 특히, 금천층 일부 석회암 내에서는 따뜻한 천해환경을 지시하는 Chaetetes산호화석이 발견된다. 연구 지역의 석탄계에서 발견된 코노돈트는 6속 12종이며, 이들 코노돈트는 대부분 생물 파편을 많이 포함한 팩스톤이나 와케스톤에서 많이 산출된다. 만항층 석회암에서는 Neognathodus bothrops, N. medexultimus, Hindeodus minutus,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D. edentulus, Idiognathodus delicatus,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S. sp. 등이 산출되며, 금천층의 석회암에서는 Neognathodus medexultimus, N. roundyi, N. dilatus, Gondolella bella,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D. edentulus, Hindeodus minutus, Idiognathodus delicatus, and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등의 코노돈트가 산출된다. 이들 코노돈트 중 Hindeodus minutus,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D. edentulus, 등은 얕은 바다에서 생성된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종들이다. 따라서 연구 지역의 만항층과 금천층 석회암의 암상과 이들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코노돈트는 이들 석회암이 해수의 순환이 좋은 얕은 바다에서 퇴적되었음을 지시한다.
        4,300원
        154.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섬 생물지리학에서 평형설(equilibrium theory)은 섬의 면적과 본토에서 떨어진 거리에 따른 이입율과 절멸율의 작용에 의해 섬에 분포하고 있는 종 수가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한반도 부속도서에서 여러 생태학적인 요인들인 섬의 면적, 격리정도, 위도 및 섬의 최고 고도로 표시한 서식지 다양성과 나비의 종 수에 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71개의 섬에서 기록된 나비의 종 수와 이들 요인들 사이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4,000원
        155.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라북도 서해에 위치하고 있는 새만금 지역 일대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에 대한 조사가 1996년 10월부터 1999년 4월까지 5개 지점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그 결과 본 구역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는 총 13목 52과 83속 107종이었다. 본 수역에서 출현하는 어종 중에서 농어목 어류가 총 50종으로 전체 어류의 46.7%를 나타내었고, 다음이 16종인 횟대목과 14종인 가자미목 순으로 나타나 이들 3목 어류가 전체 출현 어종의 74.8%를 차지하고
        4,200원
        156.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척추동물상에 관한 문헌을 정리한 결과 제주도산 담수어류는 9목 12과 24종, 양서류는 2목 6과 9종, 파충류는 2아목 5과 10종, 조류는 18목 49과 4아과 236종, 포유류는 6목 9과 16종으로 총 35목 2아목 80과 4아과 295종이 분포, 서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제즈도의 특산 척추동물은 제주족제비(Mustela sibirica quelpartis), 제주등줄쥐(Apodemus agrarius chejuensis), 제주멧밭쥐(Micromys minutus hertigi) 및 제주땃쥐(Crocidura russula quelpartis)등 4종의 포유류가 있고, 조류는 제주오목눈이(Ageithalos caudatus trivirgatus), 제주동고비(Sitta europaea bedfordi), 제주밀화부리(Eophona personata personfumigatus), 제주박새(Parus major minor) 및 제주휘파람새(Cettia diphone antans) 등 7종이며, 양서류는 유미류의 제주도롱뇽(Hynobius leechii quelpartis) 1종 등, 총 12아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한편 본토에는 서식하지 않고 제주도에만 서식하는 종은 비바리뱀(Sibynophis collaris)과 무태장어(Anguilla mauritiana)이다. 제주도는 신생대 3기말에서부터 4기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지질학적으로 빙하기가 시작되는 Donau 빙하기 이후부터 척추동물이 이주하여서식하기 시작하였고, 제주도가 형성된 후 척추동물이 생존하기에 적합ㅎ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중기 홍적세 이후 현세로부터 약 30만년전부터 빙하기와 간빙기의 반복과 더불어 본토집단과 지리적 격리가 거듭되면서 척추동물의 종분화가 진행되고 있다.
        4,900원
        158.
        199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8년 북한의 4개 주요 지역(평양, 해주, 묘향산, 백두산)에서 헝가리 학술조사단에 의하여 채집된 표본을 이용하여 하루살이목의 분포상이 조사되었다. 조사의 결과 하루살이목의 12개 과에서 46종(미동정종 10종 포함)이 밝혀졌고, 그 채집지와 함게 목록을 작성하였다.
        4,000원
        159.
        199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6년 체코 학술조사단에 의하여 북한의 5개 지역(평양, 개성-해주, 묘향산, 금강산, 백두산)에서 하루살이가 집중적으로 채집되었다. 그 결과 59종(미동정종 13종 포함)의 하루살이가 확인되었고, 그 중 Labiobaetis atrebatinus(Eaton), Ephemerella(Serratella) ignita(Poda), E. (S.) zapetkinae(Bajkova), Ephemera sahalinensis Matsumura, Cinygmula kurenzovi Bajkova, Rhithrogena binotata Sinitshenkova, Metretopus borealis Eaton 및 Siphlonurus palaearcticus Tshemova는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이다. 채집지의 일반적인 서식환경과 28개 채집지점의 미소서식처를 기술하였고, 어떤 종은 분포 특성 및 분류학적 변동을 논하였다.
        4,900원
        160.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지역 동계 사과원의 절지동물상을 조사한 결과 사과나무 유인밴드 내에서는 3강 19목 58과가 채집, 분류.동정되었고, 그중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 53%, 사과면충(Eriosoma lanigerum Hausmann) 16.7%, 은기문목(날개응애류) 13.3%, 톡토기목(Collembola) 9.3%순으로 나타나 초식자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부식자였으며 천적은 드물게 조사되었다. 사과나무 낙엽에서는 2강 12목 17과가 조사되었는데, 그중 점박이응애가 63.1%로 우점이었고, 톡토기목이 13.7%였으며, 기타 절지동물은 몇 개체씩만 조사되었다. 사과나무 아래 토양에서는 2강 9목 18과가 조사되었는데, 톡토기목이 37.9%, 날개응애류가 34.4%, 점박이응애가 16.1% 순으로 나타나 부식자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초식자였고 천적류는 몇 개체씩만이 조사되었다.
        4,000원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