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5

        161.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s the drying shrinkage strains regard to fiber reinforcement in order to reduce cracking of the lean concrete mix so as to control the damage of the pavement by means of fiber reinforcement
        162.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arried out test construction of fiber reinforced lean concrete for composite pavement system. Sensors were installed in order to measure temperature, humidity, and strain at 3cm and 12cm depth from surface. The measured results revealed that temperature variation of variables were similar each other at same depth
        16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d improve the constructability and structural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R/C interior beam-column joints regions, with or without the shear reinforcement, using high ductile fiber-reinforced mortar. Specimens designed by retrofitting the interior beam-column joint regions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showed a stable mode of failure and an increase in load-carrying capacity due to the effect of enhancing dispersion of crack control at the time of initial loading and bridging of fiber from retrofitting new high ductile materials during testing.
        164.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ny existing building in korea, constructed according to an out-date standard, were found to be inadequate to withstand major earthquake. Accordingly, significant research effort has been devoted to develop and evaluate different strengthening techniques to increase to seismic resistance of R/C structure. In our previous research[1], the galss fiber sheet and carbon fiber brace system for seismic strengthening was developed. In the study, a three-story R/C building that represent a typical Korean school constructed in 1980s was selected, and its seismic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strengthening was evaluated based on the seismic capacity evalution method.
        165.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reinforced concrete beam retrofitted by strengthening methods(embedded FRP rod of hexagon, metal fittings) i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load carrying capacity of retrofitted specimens(BCR, BCR-AC1, BCR-AC2) were increased by 55%, 47%, and 52%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specimen BSS.
        166.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evaluaties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high strength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SFRC) with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The test variables such as aggregate maximum size(8, 13, 20mm) and steel fiber volume faction(0, 1.5%). The test results indicate, SFRC of smaller aggregate size is expected to prvention of brittle fracture and promote of compression toughness.
        167.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 results from effect of fiber volume fraction on direct shear property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SFRC). Steel fiber with crimped end was used this work. Principal variable is fiber volume fraction; 0, 0.5, 1, 1.5, 2%, and aggregate size; 8, 13, 20mm. Specimen cross-sectional is 100 x 100 x 400mm. In order to induce the shear failure 2mm notch was sawed all around the specimen. Test result, there are little different between the aggregate size, and the improvements in shear strength of SFRC were more significant for 1% steel fiber volume fraction.
        168.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의 투수성능을 평가하는 여러 가지 비파괴시험방법 중의 하나는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콘크리트내에 강섬유로 인한 판단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강섬유 보강콘크리트에 본 표면전기저항측정방법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강섬유 분산도가 표면전기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3개의 정방형 및 원형 실험체의 4개면에서의 저항치를 3번 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 서로 비교하였다. 측정결과에 의하면, 원형실험체를 이용한 실험결과가 정방형 실험체의 결과에 비하여 강섬유의 영향을 일관되게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강섬유의 분산도는 강섬유 혼입량에 비하여 측정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표면전기저항측정을 이용한 비파괴 평가법은 0.5%까지의 강섬유를 포함한 SFRC의 투수성 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69.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slab-column joints designed by the application of reducing of joint regions damage using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Test results showed that specimens(RCFPS series) were increased the maximum load-carrying capacity by 1.12~1.23 times and showed stable hysteresis behavior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specimen(SRCFP).
        170.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mprove and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 using carbon fiber sheets i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Test result shows that retrofitting specimen(LBCJ-CS1, CS2) designed by the improvement of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s load-carrying capacities were increased 1.26~1.35 times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specimen.
        171.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oad pavement in Korea generally undergoes in-service shorter than an expected life cycle. There are many reasons including increased traffic load and other attacks from exposure conditions. In order to extend service life and upgrade the pavement a new multi-functional composite pavement system is being developed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strength of fiber reinforce lean concrete which used fly-ash and reject ash as a cement replacemen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 an appropriate compaction method in order to minimize the experimental scatters that used to come from non-unified specimen fabrication.
        172.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sidering the probabilistic distribution of fibers in amorphous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ASFRC), the number of amorphous steel fibers crossing the critical section were theoretically derived as a function of fiber geometry, specimen dimensions and fiber volume fraction. The developed theoretical expressions reasonably predicted the number of amorphous steel fibers at different sections.
        173.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경제성이 뛰어나지만 낮은 인장강도로 인하여 구조성능상의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와 결합된 다양한 합성재료의 특성을 활용한 구조부재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SFRC)는 높은 인장강도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재료적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우수한 합성재료로서 알려져 있고,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의 화재시 폭렬현상에 대한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PSC) 부재는 장경간 구조에 매우 유리하며 일반철근콘크리트(RC) 부재에 비해 높은 전단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SFRC에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섬유 보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SFR-PSC)부재의 전단거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총 22개의 직접전단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SFR-PSC부재의 균열면에서의 균열전달 구성방정식을 제안하였다. SFR-PSC의 거동특성을 반영하여 제안된 재료관계식은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4.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 섬유복합 보강근이 콘크리트 표면저항치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 실험에서 콘크리트의 표면저항치는 Wenner기법에 의하여 4probe 방식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이형철근과 국내에서 생산된 GFRP 보강근 및 CFRP 보강근이 사용되었으며, 비교를 위하여 무보강 실험체의 표면저항치도 측정되었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내부에 보강된 이형철근에 의하여 저항치가 영향을 받게 되는데, 보강근의 위치, 깊이 및 보강방향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후된 콘크리트구조물의 보강재와 신설구조물의 철근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는 GFRP 및 CFRP 보강근이 사용되었을 때, 표면저항치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이 결과는 향후 FRP가 사용된 구조물의 부식상태 파악을 위한 비파괴시험 결과에 대한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175.
        201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격 하중 재하 실험의 경우 빠른 하중 재하 속도로 인해 실험 데이터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부재의 국부적 손상을 측정하지 못함으로써 부재의 동적 거동을 왜곡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격 실험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명시적(explicit)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LS-DYNA를 이용하여 FRP Sheet 및 강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의 저속 충격 하중 하에서의 동적 거동을 분석하였다. 해석 모델은 1방향 및 2방향 부재이며 충격 하중 재하 시 부재의 국부적 파괴를 고려하고 있다. 해석결과 강섬유에 의해 보강된 SFRC와 UHPC 부재의 경우 충격 저항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FRP Sheet로 보강한 경우 GFRP가 CFRP보다 우수한 충격 저항 성능을 보였으며 FRP Sheet의 방향성에 의한 영향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해석은 충격 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그 신뢰성이 검증되었다.
        176.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섬유보강재인 하이브리드 섬유시트(HFC)와 하이브리드 섬유바(HFB)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섬유보강재(시트, 바)로 보강된 보는 무보강보에 비해 약 60%~2배 이상의 높은 보강효과를 보였고 보강된 보는 항복점 이후 연성적인 거동을 보이며 파괴되는 이상적인 파괴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하이브리드 섬유바 보강의 경우 하이브리드 섬유바를 에폭시 주입과 접착제로 부착한 보강보는 비슷한 파괴거동을 보여줌으로써 부착방식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78.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FRC) 보는 강섬유의 우수한 인장강도로 인하여 일반 철근콘크리트 보에 비하여 높은 전단강도를 가진다.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 혼입율에 따른 SFRC 보의 전단거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압축영역에서의 비균열 콘크리트 단면의 전단저항 분담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실험결과 및 기존에 보고된 87개의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여 SFRC보의 전단예측식들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강섬유의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전단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강섬유 혼입율이 0.5%인 실험체는 사인장 균열 이후 갑작스럽게 파괴되었고, 강섬유의 혼입율이 2.0%인 실험체에서는 전단보강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최대 전단보강효율을 가질 수 있는 혼입율은 1~2% 사이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압축영역에서의 비균열 콘크리트 단면의 전단저항 분담율은 약 21% 이상으로 관찰되었으며, 이 연구에서 평가된 SFRC보의 전단강도에 대한 기존 제안식 중에서 오영훈 등이 제안한 식이 비교적 정확하게 전단강도를 예측하였다.
        179.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친환경 재료와 구조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친환경 재료인 황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황토는 건설 및 마감 재료로 사용된 전통적인 친환경 건설 재료 중의 하나이다. 황토는 높은 축열성, 습도 조절 능력, 자정력, 탈취 및 항균성능, 인체에 유익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점 등 건설 재료로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황토는 낮은 강도특성과 건조수축 균열 특성 때문에 현대 건설에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연구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황토는 플라이 애쉬나 포졸란 같은 천연 포졸란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황토와 슬래그, 재생 PET 섬유가 혼입된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질과 구조적인 휨 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황토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탄성계수는 기준 시멘트 콘크리트 시편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으며, 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180.
        201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폐 PET병을 재활용하여 만든 섬유(RPET)를 콘크리트 부재에 적용시키기 위한 성능 평가에 있다. RPET 섬유 보강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압축강도, 탄성계수, 쪼갬인장강도와 같은 기초물성실험과 건조수축균열실험을 수행하였다. 기초물성실험에서 RPET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RPET 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탄성계수는 감소하였고, 쪼갬인장강도는 증가하였다. 건조수축실험에서 자유건조수축은 증가하였다. 반면에 구속건조수축의 경우 RPET 섬유에 의한 인장 저항성의 증가로 인해 균열 발생을 지연시켰다. RPET 섬유와 PP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시편의 특성을 비교해보면 두 섬유가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RPET 섬유는 PP 섬유의 대체 재료로서 충분할 뿐만 아니라 폐 PET병을 재활용하고 환경오염을 저감시킨다는 측면에서 친환경적으로 더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