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0

        162.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OP계(系) 살충제 oxydemeton-methyl (Metasystox-R 25 Ec)을 공시(供試)하여 실내(室內) 감수성(感受性) 계통(系統)의 복숭아혹진딧물(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을 인위적으로 누대(累代) 도태(淘汰)하여 저항성(抵抗性) 발달(發達)을 유발(誘發)하고, 그들의 발달속도(發達速度)와 정도(程度), 타살충제와의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 유무(有無) 및 그들 저항성(抵抗性) 감수성(感受性) 계통(系統)들의 esterase isozyme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는데 본(本)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아래와 같다. 1. Oxydemeton-methyl 에 대한 복숭아혹진딧물의 저항성(抵抗性) 발달(發達)은 도태세대(淘汰世代)가 진행됨에 따라 크게 증대(增大)되었다. 2. Oxydemeton-methyl 20 세대(世代) 도태계통(淘汰系統)의 가(價)는 이었고 감수성계통(感受性系統)의 가(價)는 이었다. 3. Oxydemeton-methyl 20세대(世代) 도태계통(淘汰系統)의 복숭아혹진딧물은 oxydemeton-methyl 에 대하여 배(倍)의 저항성(抵抗性)을 나타내었으며 도태(淘汰)에 전혀 관여되지 않은 타살충제들 중 cypermethrin 에 대해서는 고도(高度)의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배(倍)을 나타내었으나, acephate에 대해서는 낮은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배(倍)을, pirimicarb 에 대해서는 비교차저항성(非交叉抵抗性)배(倍)을 나타내었다. 4. 검출(檢出)된 esterase isozyme 중 는 감수성(感受性) 계통(系統)에 비하여 oxydemeton-methyl 20세대(世代) 도태(淘汰) 저항성계통(抵抗性系統)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4,000원
        163.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실내(室內)에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을 OP계(系) 살충제 acephate로 누대도태(累代淘汰)시켜 저항성(抵抗性) 발달속도(發達速度)와 정도(程度), 다른 살충제와의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 유무(有無), 나아가 그들 계통(系統)에서 esterase isozyme을 검출(檢出)하여 살충제) 저항성(抵抗性)과의 관계를 검토(檢討)코자 하였다. 1. 복숭아혹진딧물의 acephate 저항성(抵抗性) 발달(發達) 속도(速度)는 5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배(倍), 10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배(倍), 15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배(倍), 20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배(倍)로 증대(增大)되었다. 2. Acephate 20세대(世代) 도태저항성(淘汰抵抗性) 계통(系統)은 24시간(時間) 조사(調査)에서는 acephate자체(自體)에 대하여 31.7배(倍), cypermethrin에 대해서는 507.3배(倍), oxydometon-methyl에 대해서는 49.7배(倍), pirimicarb에 대해서는 7.5배(倍)이었고 48시간((時間) 조사(調査)에서는 acephate 자체(自體)에 대하여 32.0배(倍), cypermetherin에 대하여 475.6배(倍), oxydemeton-methyl에 대하여 21.5배(倍), pirimicarb에 대(對)하여 8.9배(倍)이었다. 3. Acephate 저항성(抵抗性) 계통(系統)은 cypermethrin과 oxydemeton-methyl에 대하여 높은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을 나타내었고 pirimicarb에 대해서는 낮은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을 나타내었다. 4. Esterase isozyme의 영동대(泳動帶)에 있어서 는 저항성(抵抗性), 감수성(感受性) 두 계통(系統) 모두에서 검출(檢出)되었으나 는 acephate 저항성(抵抗性) 계통(系統)에서만 검출(檢出)되었다.
        4,000원
        164.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종의 수도용 살충제들에 대하여 벼멸구와 이의 주요천적인 황산적거미에 대한 상대독성을 실내에서 미량국소 처리방법으로 반치사약량을 조사 비교한 결과 PAP(0.4), MPP (0.7), MEP(1.8), Diazinon(2.8) , Carbofuran(7.5), NAC(11.3), BPMC(17.5), Pyridaphenthion(35.9), MIPC(65.7)의 순이었으며 특히 MIPC, Pyridaphenthion은 벼멸구와 황산적거미에 대해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3,000원
        165.
        197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애멸구의 MEP제에 대한 저항성이 유전적 특성에 기인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나주지역의 야외집단을 채집하여 감수성인 실험실 계통과 교배하고 및 에 대하여 Probit 법으로 분석하고 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나주지역의 애멸구 야외집단은이 자충충의 경우 0.0029ug/충으로 감수성인 실험실계통의0.0008ug/충에 비하여 저항성의 차를 타나내었다. 2. 나주지역 야외집단이 나타내는 저항성은 과 의 분석에서 및 사충율의 회귀가 저항성인 친쪽으로 가깝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유전적 특성에 기인된다고 생각되었다. 3. 집단의은 양친의 중간 정도였으며 넓은 분산을 보이고 있어 MEP제에 대한 저항성의 유전은 수개의 유전자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166.
        197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애멸구의 발생이 심한 남부지방 몇 개 지역을 대상으로 Malathion과 NAC(Sevin)에 대한 애멸구의 감수성차이를 미량국소처리법(Arnold microapplicator 사용)에 의한 검정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내감수성계통에 비하여 공시된 각지역계통의 애멸구들은 Malathion에 대하여 감수성이 크게 낮았으나 NAC에 대해서는 실내계통과 지역계통간에 감수성차이가 없었다. 실내계통에 대한 지역계통의 저항성차이는 Malathion에 대하여 진주계통은 암컷에서 27.7배, 숫컷에서 24.9배, 선산계통은 암컷에서 18.4배, 숫컷에서 13.8배이었으나 밀양, 광주, 이리계통은 암수 모두 3-4배 정도에 불과하였다. Malathion에 대하여 27.7배의 저항성을 보였던 진주계통도 NAC에 대해서는 감수성에 차이가 없었다. 즉 유기인계 살충제 Malathion 저항성 해충에 대하여 Carbamate계 살충제 NAC는 비교채저항성반응을 보인다. 애멸구 성충 일두당 은 공시계통 대부분 숫컷에 비하여 암컷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체중당 은 반대로 공시계통 모두 암컷에 비하여 숫컷에서 높은 수치를 나태는 등 애멸구 암수에 따라 약제에 대한 감수성차이도 관찰할 수 있었다.
        4,000원
        167.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developing natural preservatives and insecticide contained in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Elsholtzia ciliata and Agastache rugosa, the composition of two plants were analyzed and tested on microorganism survival and insectcide effect from TD-GC-MSD analysis. Main components of Elsholtzia ciliata were elsholtzia ketone, dehydroelsholtzia ketone (82%) and caryophyllene (10%). Main components of Agastache rugosa were estragole (88.2%), dl-limonene (4.5%), and trans-caryophyllene (2%). Inhibition activity of 70% methyl-alcohol extract of A. rugosa against growth of Enterobacter cloacae and Salmonella typhimurium was signifcant effect of observed clear zone and that of E. ciliata was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respectively. The mosquito larvae was totally died treated by 0.5g powder of A. rugosa for 3 hours, while 80% of the mosquito larvae was died in E. ciliata powder processing. Mortality of mosquito is the first 5 minutes after the smoked incense treatment showed 65% is E. ciliata and 80% in A. rugos and then finally all mosquito died after 20 minutes.
        170.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esticides on insect pest control of Rhophalosiphum nymphaeae, growth characteristies and dry root yield from the cultivated after early maturing rice cropping. All pest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h period, flowering rate of Alisma plantago. The major pesticides were methomyl-Lf, 24.1 %, imidacloprid-Wp, 10%, carbosulfan-Wp, 20%, and methomyl-Wp, 45%. Dry yield of root were increased largely with imidacloprid-Wp, 10% (10g/20~ell ), pesticide than the other pesticides and control. All pesticides were had no injury with recommended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all pesticides were slightly harmful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Alisma plantago.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