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1

        161.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설현장 절취사면 함황철석 암석시료의 X-선분말회절자료를 이용하여 매트릭스플러싱법(matrix-flushing method)과 ROCKJOCK 프로그램 두 가지 방법으로 구성광물을 정량분석하고 두 방법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광물정량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광물학적 중화능과 산발생능을 산출하여 전통적 방법으로 구한 산발생능과 비교함으로써 그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광물학적 중화능과 산발생능을 좌우하는 물질인 방해석과 황철석에 대한 광물정량 분석결과, 두 방법 사이에는 약 0.95의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매트릭스플러싱법으로 구한 값이 평균 약 1.45배 정도 크다. 총 황 분석값을 이용한 황철석 추정량과 XRD자료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계산된 황철석 함량 간의 관계는 KB 시료를 제외하였을 경우에 매트릭스플러싱법과 ROCKJOCK방법에서 각각 0.98과 0.92라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전통적인 acid-base accounting (ABA) 시험에서의 AP값에 대하여 이러한 상관관계가 그대로 반영된다. 방해석을 포함하는 유일한 시료인 YJ의 광물학적 NP는 매트릭스플러싱법과 ROCKJOCK 방법에 대하여 각각 23.0과 34.0(kg CaCO3 equivalent per tonne)로 나타났다. 매트릭스플러싱법으로 산출된 AP값은 평균적으로 전통적인 산성배수 발생가능성 평가의 산발생능 값의 12%에 해당하며 ROCKJOC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된 산발생능 값의 47%에 해당한다. 따라서 황철석과 방해석 한 종에 대한 광물학적 AP와 NP 값의 산출만으로도 전통적인 산성배수 발생 가능성 평가 이전에 효율적인 예측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자류철석(pyrrohtite), 백운석, 능철석, 앵커라이트, 능망간석 등의 기타 개별 광물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하여 실제 건설현장 절토사면 시료에 대한 광물학적 NP와 AP 계산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산성암반배수 발생가능성 평가의 예비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62.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문모형의 많은 입력자료 가운데 강우 관측자료가 모의결과에 가장 주요한 원인을 가진다. 과거부터 수문모형은 유역에서의 평균강우량 자료를 한 지점에서의 강우량 자료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지점에서 측정된 강우량 자료를 유역을 대표하는 평균강우량 산정에 이용할 경우 부적절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그 계측망이 조밀하지 못할 경우 더욱 그러하다. 레이더의 경우 보다 넓은 유역 전체를 관측하기 때문에 유역에서의 평균강우량을 제공함에 있어 좋은 관측장
        163.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는 국내의 리그난 고함유 품종 개발이 미흡한 실정에서, 기존에 개발된 참깨 품종을 대상으로 항산화 성분인 리그난 화합물 및 지방산 조성 등의 품질을 분석 비교함으로써 리그난 고함유 품종 개발과 리그난 화합물의 건강기능식품으로의 소재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품질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02년, 2003년에 재배된 참깨 각각 21품종, 27품종을 대상으로, 2002년도의 세사민, 세사몰린의 평균함량은 각각 4.08±1.742.48±0.68mg/g 이었으며, 2003년도의 세사민, 세사몰린의 평균함량은 각각 4.08±1.512.48±0.67mg/g 이었다. 2. 흰깨, 검은깨의 2003년의 세사민 평균함량은 4.87±0.731.82±0.47mg/g , 세사몰린 함량은 2.85±0.251.42±0.31mg/g 으로 세사민, 세사몰린 모두 흰깨가 검은깨보다 함량이 2~~4 배정도 높았다. 3. 성분깨는 세사민, 세사몰린 함량이 2002년에는 각각 5.94, 3.26mg/g이었고, 2003년에는 각각 6.27, 3.21mg/g으로 모두 상위 1~~2 위 순위에 분포하는 양상이었으나, 다른 흰깨 품종들은 재배 연수에 따라 절대함량은 물론 함량 순위에도 약간의 변이를 보였다. 4. 세사민은 2002년에는 단백깨(6.22mg/g), 성분깨(5.94mg/g), 남다깨(5.83 mg/g), 남안깨(5.59 mg/g) 순으로 함량 순위를 나타내었고, 2003년에는 성분깨(6.27 mg/g), 다삭깨(5.53mg/g), 단백깨(5.50mg/g), 진백깨(5.45 mg/g), 서둔깨(5.41mg/g) 순으로 함량 순위를 나타내었다. 5. 세사몰린은 2002년에는 황백깨(3.27mg/g), 성분깨(3.26mg/g), 안남깨(3.22 mg/g), 한섬깨(3.17 mg/g), 단백깨(3.16mg/g)순으로, 2003년에는 성분깨(3.21 mg/g), 서둔깨(3.04 mg/g), 풍안깨(3.10 mg/g), 남안깨(3.09 mg/g), 단백깨(3.04 mg/g) 순으로 함량 순위를 나타내었다. 6. 세사민 함량이 높은 단백깨, 성분깨, 다삭깨, 남다깨, 풍안깨 등은 성분깨가 48.56~% 로서 기름함량이 다소 낮았으나 나머지는 50.00~% 이상으로 양호한 기름 함량분포를 나타내었다.
        164.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쑥의 eupatilin과 jaceosidin을 분리하여 그 화학구조를 분광학적 방법(1Hand13C-NMR,MS) 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지표물질로 하여 HPLC분석조건과 HPLC용 검체의 조제,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약쑥 eupatilin 성분의 검량선은 y=76069x+107329(r=0.9999), jaceosidin은 y=76651x+77399(r=0.9996)으로 각각 직선성이 인정되었다. 강화사자발쑥의 잎에는 eupatilin이 240mg(100g 잎), jaceosidin이 10mg(100g 잎) 함유되어 있고, 싸주아리쑥의 잎에는 eupatilin이 330mg(100g 잎), jaceosidin이 123mg(100g 잎)씩 각각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167.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는 무한화서로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을 동시에 하는 특성 때문에 생육후기 상위부 꼬투리의 등숙 불량에 의해 수량감소 및 품질 저하를 초래하여 고품질 다수성 참깨 품종 육성의 큰 난제가 되어왔다. 본 연구는 참깨 고등숙 양질 다수성 품종을 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유한형 2품종, 무한형 2품종 및 반유한형 1품종에 대해 이면교잡을 통하여 생육형 및 품종간 양적형질들의 유전분석을 실시하여 이들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면교배 유전분석결과 개화기간, 등숙기간, 경장, 주당삭수, 주당분지수 및 등숙율 등 주로 수량에 관련된 형질들에서 비대립유전자의 상호작용이 존재함이 인정되었다. 2. 분산-공분산의 회귀식이 개화기간, 등숙율은 원점을 통과하여 완전우성을 보였으나 경장, 주당삭수 및 분지수는 원점 위를 통과하여 부분우성을 보였다. 3. 경장, 분지수는 상가적 효과가 우성효과와 거의 비슷하였으며, 개화기간은 우성효과가 상가적 효과보다 컸다. 4. 광의의 유전력은 개화기간, 경장, 주당삭수 와 분지수에서 0.91-0.99로 높았으나, 협의의 유전력은 개화기간, 삭장,등숙율 및 천립중은 0.18-0.34로 낮았고, 경장주당삭수와 분지수는 0.77-0.81로 광의의 유전력과 협의의 유전력간에 차이가 적었다.
        169.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컨테이너터미널의 경쟁력과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고, 저비용 고효율의 컨테이너터미널을 만들기 위해서 만성적 야드 부족상태에 있는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의 야드 효율성을 높여서 운영개선을 해야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터미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출예약제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정의하고, 기존 4단적 컨테이너터미널에 반출예약제 적용 시 컨테이너 재조작 횟수 감소, 컨테이너 장치효율 증가, 트럭의 터미널 내 체류시간 단축 등의 반출예약제 기대효과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정량화 하였다.
        171.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enetic analysis for eight quantitative characters related to the plant type was examined using diallel cross among three different growth types of sesame(Sesamum indicum L.) in 2001. The parental varieties used for diallel cross were Ahnnam and Yangb
        172.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길경의 부탄올 분획으로부터 지표성분을 분리, 정제하기 위해 SiO2 컬럼크마토그래피를 실시한 결과 1종(화합물 1)의 단일 물질을 순수 분리하였으며 화합물 1의 구조는 1H, 13C NMR 등 분광학적 관측 결과 platycodin D로 확인되었다. Platycodin D의 HPLC 정량법을 검토한 결과, 검출기는 증기화광산란검출기(ELSD)를, 컬럼은 역상컬럼을 사용하여 길경 MeOH 추출액으로부터 효율적인 지표성분 정량이 가능하였다. 추출조건을 재검토한 결과 환류추출보다는 초음파 추출이 더 효율적이었으며 추출용매로는 80% MeOH이 다른 용매조건보다 추출효율이 우수하였다. 건조조건의 검토에서는 platycodin D의 함량이 양건이나 양건과 건조기 혼용건조 보다 건조기 단독 건조시 더 높았으며 특히 60℃ 열풍건조에서 그함량이 0.083%로서 가장 높았다. 묽은 에탄올 엑스 함량도 건조기만을 이용한 열풍건조가 양건과 건조기 열풍건조를 혼용한 방법보다 4% 정도 더 높았다.
        173.
        200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content in sewage sludge was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linked to ion trap mass spectrometry(GC/ITMS) with five deuterated PAHs as internal standards. The minimum detection limit was from 1.66 to 7.14 pg for individual PAH by GC/ITMS. For determining total PAHs(∑PAH) in sewage sludge 84 samples from 74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in whole country were analyzed. The average content of ∑PAH for whole samples was 3,289±3,098 μg/kg, and ranged from 142 to maximum 20,102 μg/kg. According to the number of population of the city, the areas were classified as five regions, ie. big, large, middle, small, and rural area in which the waste water treated plants were grown. The contents of PAHs were 4,689±5,503, 5,839±6,401, 3,725±2,053, 2,237±2,069, and 2,475±1,489 μg/kg, in big, large, middle, small, and rural area, respectively.
        174.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북, 경남, 강원, 경기지역에서 수집한 16개의 수집종 삽주의 정량적 특성을 비교하고, 다변량 분석법에 의하여 수집종 삽주의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함양1 수집종이 초장 86.2cm, 주당잎수 117.6개, 화경수 34.3개로 가장 좋았고, 수도1 수집종이 경수가 12개로 가장 많았다. 또한, 엽연거치는 평균 1.6mm로 모두 존재하였다. 삽주속 식물의 잎의 형태는 단엽과 장상복엽(3출엽)이 주로 존재하였고, 엽형은 타원형이 가장 많았다. 주요 18개의 형질을 대상으로 다변량 분석법에 의한 16개 수집종 삽주는 3개의 계통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제 1군에 속하는 진안1, 진안2 수집종과 제 3군에 속하는 정수, 거제 수집종이 유연관계가 가장 먼 것으로 나타났다.
        175.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word bean belongs to the subgenus Canavalia in the genus Canavalia. White and reddish varieties in sword bean were tes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yield, quality, and cultural environments through the quantitative growth analysis. Growing plants were sampled at intervals of 10 days from 20 days after sowing. Whole plant weight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11-20 days after sowing in both varieties. The weight of each organ between two varieties increased similarly except leaf area. Whole plant weight changed more close to pod weight than any other characters. The leaf areas of both varieties increased from 50 days after sowing, var. white displayed S type curved line but var. reddish displayed slow S type curved line. The SGR of whole plant weight in both varieties had 3 maxima and 2 minima, 3 maxima and first minimum were shown at the same period but the second minimum was shown at different period. Both varieties showed bimodal curved line. All SGR of each organ and leaf area were shown the 2 maxima and 1 minimum in both varieties. The changes of SLA and LAR were not remarkable between two varieties but these were united together with the maximum of whole plant weight and root weight. ULWR and ULWR were shown similar in both varieties. Reddish variety was more prosperous in early growth stage than white variety because SLA, LAR and LWR were high. In surplus weight, both varieties increased rapidly during the period of 111-120 days after sowing that was applicable to the maximum SGR of pod weight. Surplus weight of var. white increased markedly during the same period comparing those of var. reddish.
        176.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의 고품질 다수확 괴경 생산기술을 개발하고 품종선발 기준을 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세 가지 재배종에 대한 경시적인 생육특성에 대한 생장해석을 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의 초장과 엽수, 측지수 등의 경시적인 변화는 일반적인 S자의 생장곡선을 나타내었고 지하부의 근장, 근경과 생근중은 생육기간이 진전됨에 따라 8월 하순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2. 지하부의 특성을 보면 둥근마는 분기가 전혀 없으며 괴경장은 장마가 가장 길고 괴경폭은 둥근마가 가장 크며 형태적으로 둥근 형태를 보였다. 생체수량성은 단마가 가장 높아 2,123kg/10a를 보였고, 둥근마는 건조비율이 높아 가공용으로 유망시 되었다. 3. 각 기관별 RGR은 정식후 86일경에 신생마와 줄기에서 높은 값을 보였고 NAR은 생육초기에 극대값을 보인 후 점차 감소하였으며, LAI는 세 가지 재배종 모두 156일경부터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CGR은 156일경에 공시 재배종 모두 최대치를 보였다. LAR의 변화는 둥근마는 86일경부터 단마는 106일, 장마는 136일경부터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SLW의 변화는 둥근마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나 장마와 단마는 변화의 폭이 적었다.
        177.
        1999.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enty two varieties of pecan including wild types were classified based on 6 characters measur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core distan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ellow. Twenty two varieties were classified into 5 groups based in PCA score distance. Five groups were distinctly characterized by many morphological characters. Total variation could be explained by 51%, 95%, 99% with first, third and fifth principal components respectively. Varimax rotation of the factor loading of the first factors indicated that the first component was highly loaded with leaf characters, the second component with fruit characters, but fruit length was negative loaded. The second, the third and the fourths groups of cultivars had very close genetic parentage similarity.
        178.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yanidin 3-glucoside (C3G) extracted from pigmented rice seeds in 0.5% TFA (Trifluoro acetic acid) -95% ethanol was separat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 HPLC system using a Develosil ODS-5 column and 0.1 % TFA-H2O ~0.1 % TFA-CH3CN gradient elution was selected for separ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3G. Regression equation obtained for the standard content of C3G pigment was as Y=21.95293* X-14.726771 (r=0.99** ). Using this method, 326 domestic and introduced collections were evaluated for the C3G content. The Korean bred cultivar 'Heugjinjubyeo', showed highest C3G content (552 mg/100g seed) among the tested cultivars. Among the pigmented rice cultivars ten cultivars were selected for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C3G. The content of C3G per 100g seeds was in high order as follows: Heugjinjubyeo (552mg)>Cheng Chang (321mg)>Kilimgeugmi (240mg)>PI160979-2 (224mg)>Hong Shei Lo (221mg)>Heugnambyeo (191 mg)>Mitak =PIl60979-1 (186mg)>Suwon425 (163mg)>Sanghaehyanghyeolla (108mg). The C3G pigment was not detected in the common white rice cultivars.
        180.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적형질을 중심으로 다변량 해석법에 의해 택사 품종들간의 유연 관계를 추정하고 이에 기초한 cluster analysis를 실시하여 품종을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Euclidian distance (D2)에 의하여 공시한 62개 품종을 5개군으로 대별해 볼 수 있었는데 제1군이 12품종, 제2군이 21품종, 제3군이 17품종, 제4군이 5품종, 제5군이 7품종으로 군을 형성하였다. 제 1군은 건근중은 높고, 생근중이 낮으며 제2군은 생근중이 높고 제4군은 건근중이 낮은 품종군이었다. 지리적 분포와 유전적 변이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품종군내, 품종군간의 D2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형질은 경장과 생근중이었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