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7

        166.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fty-four Korean native and 28 foreign varieties harvested in 1998 and 1999 were examined for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peroxidase (POD) activities. The SOD and POD activities of leaves extracts in Korean native and foreign rice varieties showed variation at the heading stage. The activities of SOD and POD changed with growth stage. In comparison of storage duration, the SOD and POD activities of the extract from three months stored seeds in Korean native (CV=53.3%) and foreign rice (CV=57.9%) varieties were higher than that of stored rices for a year in seed extracts although the activities among varieties did not show significant variation. Also, the averaged activity of foreign rice varieties (SOD=12.9%)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korean native rice varieties (SOD=10.7%). The test of activity at the enzymatic level related to antioxidative activity suggests that the rice varieties with higher antioxidative potentials can be developed and also may provide information with rice breeder to breed rice variety with a high antioxidative activity
        167.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세기에 재배되었던 우리나라 벼 품종 중에서 육성년대별로 비교적 널리 보급되었던 15개 품종에 대하여 수량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수량의 연차간 안정성을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량구성요소 가운데 연차간 변이가 가장 작은 품종은 주당수수에서 다산벼, 수당립수에서 조동지, 등숙비율에서 용문벼, 천립중에서 낙동벼, 수량에서 다산벼였다. 2. Stroike and Johnson의 모델을 이용한 분석결과 자포니카에서 일품벼, 화성벼, 동진벼 통일형에서 안다벼, 다산벼가 평균 이상의 연차간 안정성을 보였다. 3. Grafius의 모델을 이용한 분석에서 universal variety의 만족조건을 충족시키는 품종으로는 자포니카에서 일품벼, 동진벼, 화성벼, 낙동벼, 조동지 등이었고, 통일형에서 다산벼와 삼강벼 등이었다. 4. Finlay and Wilkinson의 모델을 이용하여 안정성을 검정한 결과 자포니카에서 다마금. 동진벼, 화성벼, 일품벼 통일형에서 다산벼와 용문벼가 연차간 환경변이에 대하여 적응성이 높았다. 5. 이상의 3가지 검정방법으로 연차간 수량과 안정성을 추정하여 볼 때 공시품종 중에 최근 육성 품종들이 높은 안정성과 수량성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168.
        2000.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selects Sunwol local group, Gusang local group and Yongjun local group to examine the appropriate amount of applied fertilizer in cultivating the double crop seed of Alisma plantago by transplantation in the southern area, improve and complements the double cropping techniques and contribute to stable production. While the plant height is 45,47 and 49cm and the number of leaves is 11.7, 12.5 and 14.4 at non-fertilizing plot, the plant height is 67, 72 and 75cm and the number of leaves is 15.8, 17.2 and 19.3 at all fertilizing plot and their growth is active and in the character of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leaves, especially in the groove of N-P2O5-K2O= 30-15-45kg/10a, the mean plant height of Sunwol is 75cm and mean number of its leaves is 19.3, the mean plant height and number of leaves in Gusang are 72cm and 17.2 respectively and those of Yongjun are 67cm and 15.8 respectively. While the number of floral axis is 1,2 in non-fertilizing plot, that of the whole varieties in all fertilizing plot is 3, 4, 5 and the mean floral axis of Sunwol is N-P2O5-K2O = 10-5-15, 20-10-30, 30-15-45 kg/10a and 18-0-18 of complex fertilizer and 21-17-17kg/10a and it is small in all fertilizing plot. The yield of dry root per 10a is high in all fertilizing grooves and especially in the groove of N-P2O5-K2O = 30-15-45 kg/10a, it is 372.6kg, in the groove of 18-0-18kg/10a using complex fertilizer, it is 389.1kg and in that of 21-17-17kg/10a, it is 376.7kg.6.7kg.
        169.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남내륙지역에서 직파재배용 벼 품종인 동안벼, 대산벼, 농호벼, 호안벼, 광안벼를 공시하여 적정 파종기를 구명하기 위해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소요기간은 5월 30일 파종기에서 12일로 가장 짧았으며, 입모수는 5월 10일과 5월 30일에서 많았다. 2. 4월 30일과 5월 10일 파종에서 수수가 많아 10a당 쌀수량이 485-494 kg으로 다른 시기 보다 증수되었으며, 품종별로는 5월 10일 파종의 동안벼가 513 kg으로 가장 많았다. 3. 완전미비율은 5월 10일 파종이 90.4%로 가장 높았고, 5월 30일 파종은 83.1%로 가장 낮았다. 4. 품종별 완전미비율은 5월 10일 파종한 대산벼에서 92.1%로 가장 높았으며, 4월 20일과 5월 30일 파종한 광안벼에서 각각 동할미 및 청미의 비율이 높아 완전미비율은 78.8%로 낮았다. 5. 회귀식에 의한 적정파종기는 호안벼는 5월 10일, 동안벼는 5월 3일, 농호벼는 5월 8일, 광안벼는 5월 1일, 대산벼는 5월2일이었다.
        170.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llelopathic potentiality of Korea traditional seventy-nine rice (Oryza sativa L.) cultivars on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 P. Beauv. var. oryzicola Ohwi) and to identify possible allelopathic compounds from selected rice cultivars, such as Seogandodobyeo, Huadobyeo and Heugbalbyeo. In the straw mixture, Seogandodobyeo showed the greatest inhibition (67.07%) on total emergence percentage. The greatest inhibition on total seedling length and dry weight of barnyardgrass occurred in Huadobyeo (58.32 %) and Heugbalbyeo (81.20%), respectively. An HPLC analysis with nine standard compound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and compositions of allelopathic compound depend upon the cultivars. Four compounds including Ο-coumaric acid in Seogandodobyeo extracts, four compounds including p-coumaric acid in Huadobyeo extracts, and seven compounds including Ο-coumaric acid in Heugbalbyeo were detected, respectively. Ο-coumaric acid (0.97 mg/g) in Seogandodobyeo, p-coumaric acid (0.92mg/g) in Huadobyeo and Ο-coumaric acid (1.02 mg/g) in Heugbalbyeo was detected as the highest amounts, respectively. The preliminary identification by HPLC analysis resulted in peaks with retention times close to those of standards which were confirmed with EI/MS. The mass spectra of p-coumaric, and Ο-coumaric acids showed molecular ions (m/z) at 164 and 164, and their base peaks (m/z) at 164 and 118, respectively.
        171.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netic diversity of 31 rice varieties including 25 japonica and 6 indica varieties was evaluated using a combination of 19 microsatellite or simple sequence repeats (SSRs) and 28 random decamer oligonucle-otide primers. All 19 microsatellite primer sets representing 19 loci in the rice genome showed polymorphisms among the 31 varieties and revealed 91 alleles with an average of 4.80 bands per primer. Also all 28 random decamer primers used were informative and generated 114 non-redundant bands with a mean of 4.07 bands. Microsatellite markers detected higher number of alleles than random primers .although the mean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cluster analysis based on Nei's genetic distances calculated from the 205 bands resolved the 31 varieties into two major groups that correspond to indica and japonica subspecie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genealogical information. As few as six random decamer primers or a combination of one microsatellite and four random decamer primers were sufficient to uniquely differentiate all 31 varieties. These combinations would be potentially useful in rice variety protection and identification considering that 25 out of 31 varieties used in this study are japonica rices with high grain quality and have close make up.
        172.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앙시기 이동이 유색미인 흑진주벼와 흑남벼의 수량 및 주요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중부지역인 대전에서 5월 18일 부터 10일 간격으로 4회에 걸쳐 이앙 재배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부지역에서 출수기는 이앙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지연되었으나 만식인 6월 18일 이앙에서도 출수기는 흑진주벼에서는 8월 9일, 흑남벼는 8월 24일로 안전출수한계기 이전에 출수되었다. 2, 이앙시기별 m2당 수수는 흑진주벼의 경우는 이앙시기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흑남벼에서는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m2당 영화수는 흑진주벼에서는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증가되었으나 흑남벼는 6월 8일 이앙에서 제일 많았다. 3 중부지역에서 수량성을 높일수 있는 이앙적기는 흑진주벼의 경우는 만식일수록 수량이 많아 6월 중순이었고, 흑진주벼는 5월 하순에서 6월 상순 사이 이었다. 4. 530nm에 서 측정한 상대흡광도값(흡광도x농도)은 품종별로 보면 흑남벼에 비해 흑진주벼에서 월등히 컸다. 이앙시기별로는 흑남벼에서는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되었으나 흑진주벼에서는 5월 28일 이앙에서 가장 많았고 그 이후에는 이앙시기가 늦어 질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5. 현미 중에 함유된 양이온 즉 K, Ca, Mg 및 Fe 함량은 일반벼인 동진벼에 비해 향미인 흑진주벼와 흑남벼에서 많은 경향이었고, 이앙시기별로는 K, Ca, Mg의 함량은 이앙시기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Fe의 함량은 조식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173.
        199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of 111 glutinous rice varieties were evaluated by Rapid Visco Analyzer. Gelatinization viscosity of glutinous rice tested varied with ecotypes or varietal groups: indica, japonica, and Tongil type. Indica rice showed the highest average value of initial pasting temperature. The average values for peak, hot, and cool viscosities were highest in Tongil-type rice, and lowest in japonica rice. Japonica showed the lowest breakdown and consistency, but the highest setback value. Indica was lower in alkali digestion value (ADV), and shorter in gel length after gelatinization thanjaponica and Tongil-type. Glutinous rices tested could be divided into six groups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ir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Group I-A was mostly early maturing japonica varieties while I-B was mostly indica and Tongil-type rices. Groups II-A and II-B were consisted of very early maturingjaponica, and III-A and III-B included medium or medium late maturingjaponica varieties. Group III-A showed the lowest average values of peak, hot, cool, and consistency viscosities, and also in breakdown and setback ratios. Group I-B revealed the highest values in peak, hot, cool, breakdown, and consistency viscosities. ADV was low in groups I-A, I-B, and II-B, and gel consistency was not different among the six varietal group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seven traits related with gelatinization produced four effective components, and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all the gelatinization characters evaluated
        174.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fteen varieties of Oryza sativa mainly includig those of Korean native rice were exactly cutted into three layers such as L1 layer (the outer part of 90% from rice center), L2 layer(the part of 81 ~ 91% from the rice center) and L3 layer(the inner part of 80% from the rice center) and ferulic acid derivativ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of antioxidative action, were quantitiavely analyzed by UV absorption spectrometric method at fixed 314nm. From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more it enters from the surface into the rice center, the more those secondary metabolites contents were highly reduced. The varieties showing contents more than 20 mg/g were as follows: Hwasunchalbyeo(25.8mg/g), Jojeongdo(24.1mg/g), Suwon425(21.2mg/g), Daigolbyeo(20.6mg/g) and Nonglimna 1(20.2mg/g) by this order. Estimation onthe anthocyanin contents of both Suwon 425 and Sanghehanghyeolna revealed that its total. contents were very exactly close each other. However, it was charateristically differentiated in the contents of L2 layer with respect to showing a considerably higher content of Suwon 425 than of Sanghaehanghyeolna. Conclusively, the selected Suwon 425 variety, which is coloured and flavour volatile one, showed relatively higher contents of anthocyanin, ferulic acid derivatives in the L2 layer as well as L1 layer when compared with Sanghaehangyeolna and even other varieties. This fact suggested that Suwon 425 could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rice food.
        178.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벼품종들의 입형을 조사하여 입형에 따른 품종군을 구분하고 도정율과 발의 상품가치를 높히고자 1995년 경기도 여주군 가남면 건국대학교 농과대학 실습농장에서 47개의 주요 품종을 재배, 수확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중의 현미 장폭비는 1.57∼2.25범위로서 통일형 품종을 제외하면 장폭비가 모두 2.0이하의 단원형에 속하였다. 2. 단립(장폭비 2.0이하)에 속하는 품종들의 평균 장폭비는 1.77, 변이계수는 4.79%로서 입형의 균일도에 차이가 심하였다. 3. 현미의 장폭비에 의하여 1군은 1.75이하, 2군은 1.76∼l.80, 3군은 1.81∼l.90, 4군은 1.91∼2.00, 5군은 2.01 이상으로 5등급하면 현재 분류방법보다 더 균일한 입형을 가진 품종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4. 1군과 2군에 속하는 품종들은 도정시 체눈의 크기가 1.7mm(001체)를 사용하는 것이 도정율과 쌀알의 균일도를 높일 수 있으며 3군과 4군에 속하는 품종들은 체눈의 크기가 2.0mm를 사용하는 것이 좋았다. 5. 쌀의 이화학적 및 취반특성은 품종 고유의 특성으로 위에서 분류한 등급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으며 일반적으로 1군에 속하는 품종들이 밥맛이 좋다고 평가되었다.
        180.
        199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 입모중 벼 직파재배에 있어서 콤바인 수확에 따른 보리짚 피복량의 불균일에 의한 표면수의 화학성분 변화와 그 표면수가 벼 품종의 발아율 및 초기 유묘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H는 보리짚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구가 낮았으며, 피복량이 많을수록 낮았으나 15일 이후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2. 용존산소는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량이 많을수록 낮았으나, 시일이 경과할수록 증가경향을 보였으나, EC는 용존산소와는 반대로 피복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처리간 차이가 컸고 15 일에 가장 높았으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N H4 -N는 처리 초기(5일)에 높고 피복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급격히 감소되어 10일 이후에는 처리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 O3 -N는 N H4 -N와는 반대로 10일과 15일까지는 증가 경향을 보인 후 감소하였다. 그러나 피복량간에는 N H4 -N와 같이 기복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인산(P O4 3- ) 및 양이온( K+,C a2+ Mg2+)함량 들은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양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10일과 15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감소하였다. 4. 보리짚 피복량별 논물이 벼 품종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은, 피복량이 많을수록 발아율은 현격히 떨어졌으며, 생태형간에는 중만생종이 가장 높았고 중생종, 조생종 순이었다. 품종별로 보면 전량 환원구에서는 금오벼, 간척벼, 일품벼, 동진벼 및 계화벼가 우수하였던 바, 이러한 경향은 피복량간에도 같았다. 5. 치상 11일의 유묘신장은 무처리 대비 피복량이 많을수록 유묘의 신장률은 떨어졌으며, 전량 환원피복에서는 일품벼가 가장 우수하였고, 농안벼와 신운봉벼 는 50% 이하의 낮은 신장률을 보였으며, 2배 피복에서는 신운봉벼, 운장벼, 농안벼, 동진벼 등이 신장률이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