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26

        16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nergy and environmental are always two major challeng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modern human being. For avoiding the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in the fabrication process of porous carbon, a popular energy storage material, we reported a facile, green and activating agent free route hereby directly carbonizing a special biomass, Glebionis coronaria. A nitrogen doped hierarchical porous carbon with a specific surface area of up to 1007 m2 g−1 and a N doping content of up to 2.65 at.% was facilely fabricated by employing the above route. Benefiting from the peculiarly hierarchical porous morphology, enhanced wettability and improved conductivity, the obtained material exhibits superior capacitance performance, which capacitance reaches up to 205 F g−1 under two-electrode configuration, and no capacitance loss is observed after 5000 cycles. Meanwhile, the capacitance retention of the obtained material arrives up to 95.0% even under a high current density of 20 A g−1, illuminating its excellent rate capability. The fabricated nitrogen-doped hierarchical porous carbon with larger capacitance than commercial activated carbon, excellent rate capability and cycle stability is an ideal cost-efficient substitution of commercial activated carbon for supercapacitor application.
        4,000원
        16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미소 해충의 자동 영상 인지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화질에 따른 해충의 인지율을 조사하였다. 2. 곤충 영상은 스캐너를 이용하여 300, 600, 900, 1,200, 2,400, 4,800 dpi의 6단계 화질로 획득하였고 곤충 연구자에게 화질에 따른 인지율을 설문 조사하였다. 3. 나방류인 담배거세미나방과 배추좀나방의 경우 모든 dpi 에서 높은 인지율을 보였다. 4. 크기가 작은 포인세티아총채벌레와 담배가루이의 경우 모든 dpi에서 50% 미만의 낮은 인지율을 보였다. 5. 크기가 작은 총채벌레와 담배가루이 인지 시스템 개발에는 100 mm 매크로렌즈를 사용하거나 hand-held 형태의 디지털 현미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000원
        16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삼투 공정(forward osmosis, FO)은 역삼투 공정(reverse osmosis, RO)에 비해 저압으로 운영되므로 오염 제어, 유지 보수, 막 세정 및 잠재적 에너지 저감 측면에서 큰 이점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특히, 정삼투 공정의 막오염층이 비교적 느슨하고 분산된 특성을 가지므로 역삼투 공정과 달리 물리세정만으로도 충분한 막오염 제어가 가능하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의 경우 정삼투 물리세정에 적합한 세정 유속을 적용하지 않아 최적화 운전을 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경제적인 에너지량으로 높은 효율의 세정을 보일 수 있는 적절한 유속의 정당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정삼투 공정 막오염 실험을 8.54 cm/s 순환 유속으로 유지하고 세 가지 세정유속으로 회복률과 SEC(specific energy consumption) 비교 평가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로 2배속 세정이 3배속 세정의 수투과도 회복률 만큼의 높은 효율을 보 이는 동시에, 2배속 세정이 높은 세정효율 및 경제적인 SEC를 보이는 적절한 유속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164.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사회 맞벌이부부 여성이 일․가정양립 으로 저 출산에 미치는 요인을 사회가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사와 양육에 대한 책임이 여성의 몫으로 노동을 병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 맞벌이 부부가 맘 놓고 아이를 낳을 수 있도록 하고, 출산 가능한 부부는 사회에 이바지 함으로써 출산의지를 갖고 스스로 출산율을 높이는데 공헌하여야 하겠다. 저 출산 해결을 위한 연구는 주로 맞벌이 여성과 여성의 연령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나 출산 계획 시 둘째자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하여 검토하고 부부간의 합리적인 출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맞벌이 가정에서도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출산 계획 시 저 출산에 대한 자료가 없어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제도와 정부의 지원으로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
        5,100원
        168.
        2019.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Al/N source ratios and growth rates on the growth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AlN films on c-plane sapphires by plasma-assisted molecular beam epitaxy. Both growth rates and Al/N ratios affect crystal qualities of AlN films.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values of (1015) X-ray rocking curves (XRCs) change from 0.22 to 0.31° with changing of the Al/N ratios, but the curves of (0002) XRCs change from 0.04 to 0.45° with changing of the Al/N ratios. This means that structural deformation due to dislocations is slightly affected by the Al/N ratio in the (1015) XRCs but affected strongly for the (0002) XRCs. From the viewpoint of growth rate, the AlN films with high growth rate (HGR) show better crystal quality than the low growth rate (LGR) films overall, as shown by the FWHM values of the (0002) and (1015) XRCs. Based on cross-sectional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 the HGR sample with an Al/N ratio of 3.1 shows more edge dislocations than there are screw and mixed dislocations in the LGR sample with Al/N ratio of 3.5.
        4,000원
        169.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low processing rate for producing polyacrylonitrile (PAN)-based carbon fiber is a critical to obtain a homogeneous radial microstructure with high resistance to oxidation, thereby resulting in their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The dry-jet wet spun PAN organic fibers were processed (e.g., stabilized and then carbonized) utilizing two different rates; one is 1.6 times longer than the other. The effect of processing rate on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s of carbon fibers was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fter slow etching in air, as well as Raman mapping after graphitization. The rapidly processed fiber exhibited the multilayered radial structure, which is caused by the radial direction stretching of the extrusion in the spinning. In case of the slowly processed fiber, the layered radial structure formed in the spinning process was changed into a more homogeneous radial microstructure. The slowly processed fibers showed higher oxidation resistance, higher mechanical properties, and higher crystallinity than the rapidly processed one. Raman mapping confirmed that the microstructure developed during spinning was sustained even though fiber was thermally treated up to 2800 °C.
        4,000원
        170.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작물의 일중 광합성량을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는 일중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른 작물의 정확한 수광량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많은 시 간, 비용, 노력이 소요되며, 측정의 어려움이 수반된다. 현재까지 다양한 모델링 기법이 적용되었으나 기존 방식으로는 정확한 수광 예측이 어려웠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파프리카의 3차원 스캔 모델과 광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일중 시간 별 캐노피 수광 분포와 광합성 속도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휴대용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온실에서 재배되는 파프리카의 구조 모델을 구축하였 다. 주변 개체의 유무에 따른 캐노피 수광 분포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작물 모델 별 간격을 60cm로 1×1, 9×9 정 방형 배치하여 광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광합성 속 도는 직각쌍곡선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3차원 파 프리카 모델 표면의 수광 분포는 오전 9시, 정오, 오후 3 시의 태양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캐노피 총 수광량은 9×9 배치로 주변 개체 수가 늘어남에 따라 감소하였고, 태양 고도가 가장 높은 정오에서의 감소율이 가장 적었다. 캐노피 광합성 속도와 CO2 소모량 역시 수 광량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작물 상단부 엽의 광합 성 속도 포화로 인해 수광량 변화에 비해 적은 감소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의 3차원 스캔 모델과 광 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가상 환경 조건에서의 캐노피 수광과 광합성 분포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이는 추후 다 양한 재배 조건에서 작물 수광량과 광합성 속도를 예측 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79.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한국인의 개방각 녹내장 및 폐쇄각 녹내장의 평균 발생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표본코호트 자료에서 2011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등록된 총 1,033,624명의 대상자 중 기존에 녹내장 진단을 받은 14,306명과 2011년도에 편입된 신생아 9,631명을 제외한 1,009,687명(남성 505,466명, 여성 504,22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표본코호트 자료를 검색하여 2011년도부터 2015년도 사이에 1차성 개방각 녹내장과 1차성 폐쇄각 녹내장 진단을 받은 대상의 수를 분자로 하고 연구대상 집단의 총 관찰기간(인년, person-year)을 분모로 하여 전체 대상, 성별, 연령별, 그리고 지역별로 발생률을 계산하였다. 결과 : 원발성 개방각녹내장의 5년간 발생률은 10만 인년 당 98.99명이었고, 남성에서 98.92명, 여성에서 99.07명이었다. 연령대에 따른 원발성 개방각녹내장의 5년간 발생률은 10만 인년 당 10세 미만에서 0.93명, 10대에서 10.36명, 20대에서 26.78명, 30대에서 47.37명, 40대에서 78.93명, 50대에서 147.04명, 60대에서 294.47 명, 70대에서 418.66명, 80세 이상에서 327.86명으로 나타났다. 원발성 폐쇄각녹내장의 5년간 발생률은 10만 인년 당 전체 대상에서 15.36명이었고, 남성에서 9.34명, 여성에서 21.37명으로 여성에서 높았다. 연령대에 따른 원발성 폐쇄각녹내장의 5년간 발생률은 10만 인년 당 10세 미만에서 0명, 10대에서 0.29명, 20대에서 2.06명, 30대에서 3.15명, 40대에서 5.95명, 50대에서 19.08명, 60대에서 69.03명, 70대에서 80.62명, 80세 이상에서 56.95명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한국인의 녹내장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젊은 층의 녹내장 발생률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40세 이상 성인뿐만 아니라 최소 20대부터 적절한 검사와 관리를 해야만 한다고 보여진다.
        4,000원
        180.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y-making is one of the most common way for forage preservation in livestock industry. The quality and production of hay could b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dding time and frequency on drying rate and feed value of forage rye (Secale cereale L.) hay. Rye was harvested on heading stage using mower conditioner. Hay was tedded at each set hour(09:00, 13:00 and 17:00) and sampled at each set hour to determine dry matter (DM) content. After two months’ preservation, CP (crude protein), ADF (acid detergent fiber), NDF (neutral detergent fiber), IVDM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RFV (relative feed value), DM loss, visual scores and total fungi count were determined for estimation of hay quality. Tedding was necessary for both speeding up drying rate and improving forage quality. Tedding at 17:00 showed lower NDF content (p<0.05), and also higher RFV value was found compared with tedding at 9:00 and 13:00 (p<0.05). On the other hand, it was observed that more DM losses would be found when tedding later (p<0.05). Tedding in 1~3 times per day were lower in ADF and NDF content (p<0.05), increased CP, TDN and RFV (p<0.05), got less DM loss (p<0.05), and contained less fungi during conservation compared with no tedding (p<0.05). On the other hand, tedding too frequent caused more DM loss (p<0.05). In conclusion, for shorter drying process and higher quality of forage rye hay, tedding at 13:00∼17:00 for 1∼2 times per day was recommended in this stud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