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6

        162.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is one of major pests in greenhouse strawberry. Two predator mites, Neoseiulus californicus (McGregor) and Phytoseiulus persimilis (Athias-Henriot), have been widely used for control of T. urticae because they have good functional and numerical responses and searching behaviors. The study of single species releasing and combined releasing of two predatory mites, N. californicus and P. persimilis, was conducted on connected strawberry leaves. The experiments were run under laboratory conditions, 24±1oC, 50-65% RH, and a photoperiod of 16:8 (L:D) h. The excised leaf disk (diameter 3cm) of two strawberry varieties – Maehyang, Sulhyang– were placed upside down on a water-saturated cotton pad in an aluminum pan (width × length 17.4 × 21.5 cm). Twenty leaf disks were placed on each experimental set and the disks (width × length 4×5 cm.) were connected with each other for dispersing of T. urticae and its predatory mite. There were four different experiments – two strawberry varieties and two treatments (releasing single predatory mite, releasing two predator mites). The experiment sets were covered with plastic cage to protect from invading other insects and mites. All life stages of T. urticae and predatory mites were recorded until all mites were vanished. The data were transformed by ln (x+1).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compare the temporal variation in the overall T. urticae and predatory mite density. The average number of T. urticae per leaf aren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in Sulhyang (Treatment, df=3, 196, F=17.86, P=0.0001; Time, df=6, 1176, F=47.76, P=0.0001; Time ×Treatment, df=18, 1176, F=22.06, P=0.0001) and in Maehyang (Treatment, df=3, 196, F=42.07, P=0.0001; Time, df=6, 1176, F=64.51, P=0.0001; Time x Treatment, df=18, 1176, F=24.19, P=0.0001). When N. californicus was introduced to P. persimilis system with diminishing prey, P. persimilis population increased more rapidly than N. alifornicus but P. persimilis was displaced by N. californicus. In single or combined releasing system, N. californicus persisted longer after prey depletion than P. persimilis. We examined population growth of P. persimilis and N. californicus in single and combined predatory mite released system with diminishing prey.
        163.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hytoseiulus persimilis Athias-Henriot (Acari: Phytoseidae) is well known as an effective natural enemy of two-spotted spider mite, Tetrnychus urticae Koch (Acari: Tetranychidae). However, successful biological control usually requires adequate management of temperature. While P. persimilis did suppress T. urticae at moderate condition (20~25oC) in a week or so, the density of P. persimilis was barely increased at cold condition (5~10oC) in three weeks or so. The problem is that winter temperature is too cold for the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P. persimilis in greenhouse for forcing strawberry. Night temperatures in greenhouse were even mostly lower than 6oC. So, winter application of P. persimilis against T. urticae is useless. To avoid damage from T. urticae in early spring season, it was better that the release amount of P. persimilis was double at middle- and late-October, instead of early-November to next early-February. If necessary, the double releasing of P. persimilis might be good for control of T. urticae at middle- and late-February.
        164.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hrysanthemum flower model trap (CFMT) developed to attract the flower thrips was evaluated for its optimal trap density that is required to manage the population of flower thrips in a strawberry greenhouse. CFMTs were installed in different rates per unit area (10m×5m), i.e., control (no trap), low (5 traps), medium (10 traps), and high (20 traps), in three different strawberry greenhouses at Namhoo, Andong. From each plot, 10 flowers were sampled every week from 16 May 2008 to 6 June 2008. Five traps were also randomly collected from each plot every week to record the number of flower thrips trapped. The seasonal number of both female and male thrips collected in the flowe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lots with high density of traps compared to the control. In the plot with medium level of traps, less seasonal number of male F. intonsa were found in the strawberry flowers compared to the plot with low level of traps or control. When the numbers of thrips in the flowers were plotted against the numbers of thrips trapped in the CFMTs,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in female thrips on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asonal number of male and female thrips trapped in the CFMTs randomly collected from the plots among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CFMT used in medium or high density in the strawberry greenhouse reduced infestation of F. intonsa in the flowers and can be a good addition to integrated pest management tactics against anthophilous thrips.
        165.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x kinds of insecticides, fenpropathrin, dicofol, milbemectin, tebufenpyrad, monocrotophos and propargite,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ng LC50s to local two spotted spider mite(TSSM) strains. The TSSMs were collected from peach (Cheongdo area) and apple orchards (Chungju, Kunwi and Sobo areas) in 2005, from strawberry plastic house (Nonsan and Damyang areas) in 2006 for experiment and some insecticides selected TSSM strains for more than 20 generations were also used. Each strain was clustered by LC50 value got from six selected insecticides treatment. Every insecticide showed about three-fourfold LC50 difference among TSSMs caught in same area. There are no specific differences in LC50 patterns of TSSM to insecticides within peach orchard and among apple orchards. But TSSMs of apple orchard and peach orchard were clustered into different group each other. Grouping of selected TSSM strains with insecticides in lab artificially showed good relationship between action mechanisms of insecticides. In strawberry strains TSSM showed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Damyan and Nonsan. The TSSMs of Nonsan showed more resistance to Tebyfenpyrad and Propargite, but TSSM of Damyang was more resistant to fenpropathrin than that of Nonsan. The TSSMs selected with monocrotophos and bifenazate, known as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and also pyridaben and chlorfenapyr, known as inhibitors of mitochondrial electron transportation, were grouped close respectively.
        166.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oad-map for the environmental friendly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of insect pests was drawn up on the strawberry vinyl-houses of farmer’s field. Major insect pests were occurred Tetranychus urticae and Aphis gossypii during the strawberry plant seeding in the vinyl house and open field. Also, same insect pests were occurred in the vinyl house during harvesting season of strawberry. For the control of T. urticae and A. gossypii, Phytoseiulus persimilis and Aphidius colemani as natural enemies were input to the vinyl house, respectively. However, because these natural enemies could not control insect pest populations, acaricide and insecticide were sprayed. Then natural enemies were input again in the vinyl house. Natural enemies could not endure the intense cold and differences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between day and night during strawberry harvesting season. So, their behavior and control activity of pests were more decrease than pests. Firstly, natural enemies are input in the vinyl house during the early breeding season of strawberry, secondly, acaricides and insecticide are sprayed for the control of mites and aphids, respectively, during the middle breeding season in the hard winter. Finally, natural enemies are re-input in the vinyl house during the middle and late breeding season.
        4,600원
        167.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그네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매향' 딸기를 관비재배하면서 Mg의 시비수준이 생장과 결핍증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건전생육을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그네슘 결핍증상은 하위엽에서 발생하였으며, 초기에 하위엽의 엽맥 사이에서 반점 형태의 황화현상이 나타난 후 점차 반점 부위가 확산되어 엽맥간 황화현상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증상이 심해지면서 엽맥 사이가 검게 변하고, 하위엽 선단의 갈변 및 괴사하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Mg시비농도를 조절하여 관비하고 정식 120일 후에 지상부 생육을 조사한 결과 Mg 1.0 또는 2mM의 처리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0.5 이하나 4mM 이상으로 Mg 시비농도를 조절한 처리의 생장이 저조해지는 경향이었다. 건물중은 마그네슘 시비농도에 대하여 3차 곡선회귀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식물체당 약 8.2g의 건물중을 생산할 때 정점이 형성되었다. 최대 생장량의 90%를 최저 한계점으로 간주하면 식물체당 7.4g 이상의 건물중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Mg 함량이 0.30~0.65%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하며, 최적 시비농도는 약 2mM 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최대 생산량인 식물체당 생체중 36.2g의 90%를 최저 및 치고 한계점으로 간주 할 경우 엽병 추출액의 Mg농도가 19~40mg·kg-1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4,000원
        168.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육성 딸기 신품종인 '매향'을 Ca 농도를 조절한 관비용액으로 재배하면서 결핍증상의 특징과 결핍증상을 유발하는 건물중 및 생체즙액내 한계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Ca 결핍증상은 신엽에서 발생하였고, 신엽의 엽맥 부분이 갈변하는 증상과 함께 신엽이 기형화되면서 선단부가 괴사하는 증상이었다. 정식 후 120일에 지상부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엽수, 엽장, 엽병장, 생체중 및 건물중은 4.5mM과 6mM 시비구에서 생육이 우수하였고, 3mM 이하나 9mM의 칼슘 농도에서 생장량이 적어 2차곡선회귀가 성립하였고 경향이 뚜렷하였다. 식물체당 건물중 4.9g에서 2차 곡선회귀의 정점이 형성되었으며(y=2.4026+1.0209x-0.09852, R2=0.3546***), 최대 생장량의 90% 이상 생장량을 최저 한계점으로 설정하면 식물체당 약 4.4g이상의 건물중을 생산해야 하며 건물중에 기초한 Ca함량이 1.6~2.25%의 범위에 포함 되도록 시비량을 조절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생체중도 Ca 시비농도에 대하여 3차 곡선회귀적인 반응을 보였으며(y=9.273+4.882x-0.42452, R2=0.4935***), 식물체당 239에서 정점이 형성되었다. 최대 생장량의 90% 이상을 확보하려면 엽병 추출액의 Ca 농도가 63~79mg·kg-1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Ca 시비농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4,000원
        170.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spersal of T.urticae and its predatory mite on connected strawberry leaves. The experiments were run on laboratory conditions, 24±1℃, 50-65% RH, and a photoperiod of 16:8 (L:D). The excised leaf disk (diameter 3cm) of two strawberry varieties- Maehyang, Seolhyang- were placed upside down on a water-saturated cotton pad in an aluminum pan (width x length 17.4 x 21.5cm). Twenty leaf disks were placed on each experimental set and the disks (width x length 4 x 5 ca) were connected with each other for dispersing of T. urticae and its predatory mite. There were six different experiment sets - two strawberry varieties and three treatments (no predatory mite, releasing Neoseiulus californicus, and releasing Phytoseiulus persimilis). The experiment sets were covered with plastic cage to protect from invading other insects and mite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y examining two or three times per week and all life stages of T. urticae and predatory mite were reported until all leaves were occupied by mites. Repeated-measures data were analyzed by MANOVA. The average number of T.urticae per cm2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trawberry varieties in no predatory mite system (F=0.65, p>0.4195). Although the external structure of two strawberry varieties is very similar the dispersal rate of T. urticae was different between two strawberry varieties in all experiment sets. However, the number of T. urticae per cm2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df=1, F=1.28, p>0.2628). Within the same strawberry variety T.urticae populations among experiment sets were significant different (df=2, F=14.95, p<0.0001 Seolhyang, df=2, F=15.03, p<0.0001 Maehyang).
        17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s of different application of nematic ides (fosthiazate 5% G, ethoprophos 5% G, and diazinon 34% EC) for the control of Aphelenchoides fragariae in strawberry were evaluated in a greenhouse experiments. Mother strawberry (Fragaria grandiflora) cv. Yeohong were dipped in solution of nematicides (fosthiazate or ethoprophos at 2.5 g a.i./liter in 20℃ or 46℃) for 10 min. and planted in a greenhouse for dipping treatment. For the compare, mother strawberry were dipped in hot water for 10 min. without chemicals. For soil treatment, fosthiazate or ethoprophos at 3 ㎏ a.i./㏊ were mixed into soil. For foliar spray, diazinon at 3.4 g a.i./liter was sprayed at foliage until runoff. At 40, 80, and 100 days after planting, runners were harvested from each treatment and the rate of nematode infestation and the number of nematodes per plant were examined. After 100 days of planting, mother strawberry plants dipped in fosthiazate solution (2.5 g a.i./liter, 20℃) for 10 min. produced more number of healthy runners and reduced % of infected runner as much as 90% and also had fewer nematodes per runner. Fosthiazate was more effective than ethoprophos. Foliar application of diazinon was reduced A. fragariae populations only in early season. Hot water treatment and nematicide soil treatment were less effective.
        4,000원
        172.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온기의 딸기 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아키히메(章姬)'품종을 재료로 딸기의 뿌리 발달에 미치는 저온의 영향과 지하부의 온도와 관련된 지상부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18℃의 근온처리구에서 1차근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8℃의 저온에서 뿌리의 신장률이 가장 낮았으며, 특히 측근의 수와 길이가 가장 저조하였다. 근부의 온도는 지상부의 생육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서, 낮은 근권 온도에서는 지상부의 생체중, 엽면적, 엽장, 엽폭 및 엽수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지하부 온도관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딸기 촉성재배농가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75.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딸기의 백납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몇 가지 요인 중에서 규소가 백납과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배양액 내에 규소를 첨가하면 약 1개월 후부터 백납과가 발생하였는데 potassium silicate (K2SiO4) 200mL·L-1 처리에서는 최고 90%이상의 백납과 발생율을 나타내었다. 배양액에 규소를 제거하면 약 7~8주 후에 백납과의 발생이 중단되었으나 potassium silicate(K2SiO4)의 200mL·L-1 처리에서 가장 늦게까지 발생이 지속되었다. 과실의 길이는 대조구에 비해 규소 처리구에서 약간 길었으며, 과경과 과중은 고농도의 규소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과실내의 가용성 고형물과 과실수, 주당 수확량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백납과의 발생비율은 규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에서 왕겨배지를 사용하는 수경재배의 백납과 발생은 왕겨에서 유출된 규소의 영향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는 수경재배농가의 백납과 발생 방지에 유효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7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딸기의 고설수경재배에 이용 가능한 적정한 배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코코피트 배지에서 엽수가 가장 많았으며, 원예용 상토배지에서 엽장과 엽폭이 가장 우수했다. 과중은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지만 원예용 상토배지에서 25.8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장, 과경, 당도 등도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원예용 상토배지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주당 수확과수는 원예용 상토와 코코피트 배지 모두 왕겨 혼합배지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주당 수량은 원예용 상토배지가 545.9g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코코피트 배지에서 높았으며 왕겨 혼합배지에서 가장 낮았다.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수경재배에 적합한 고형배지로서 생산자가 구입과 작업이 편리하고 물리성이 좋은 원예용 상토의 우수성을 입증하여, 딸기 재배농가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타 작물의 고형배지 재배에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77.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철딸기 '페치카' 품종의 고설벤취 양액재배에 의한 고랭지 여름생산(6월-9월)에 적합한 배지를 선발코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재배기간 중 시설 내 상온은 최고온도는 33~34℃였고 최저온도는 2003년에는 16℃, 2004년은 4.9℃로 연차가 변이가 심하였다. 배지의 물리성에서 비중은 펄라이트가, 용수량은 입상암면+피트모스가 다른 배지에 비해 높았고 처리별 근권온도는 입상암면과 피트모스 혼합배지가 최고온도 25.5℃, 최저온도 18℃로 가장 낮았으며,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혼합배지, 왕겨와 피트모스 혼합배지, 펄라이트 순으로 낮았다. 입상암면과 피트모스 혼합배지가 펄라이트 단용배지 보다 주간에 최고3℃, 야간에 최저 1℃정도 낮았다. 배지에 따른 초기생육(엽수, 엽장, 엽폭, 생체중)은 펄라이트 단용배지에서 가장 억제되었으며 다른 배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총수량은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혼합배지에서 연평균 1,632kg/10a로 다른 처리에 비해 가장 높았지만 2003년에 3,013kg/10a, 2004년에는 732kg/10a로 연차간 변이가 심한 경향이었고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9.5~10%로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여름 고온기 딸기 양액재배를 위한 적정배지는 과실품질은 비슷하면서 수량이 높은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혼합배지가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178.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출 유망작목인 사철딸기의 페치카 품종을 이용하여 코랭지(해발 약 800m)의 여름 생산(6-9월) 가능성과 고설벤취식 양액재배의 적합한 양액관리 농도를 검토한 결과가 아래와 같다. 고랭지한천)에서는 평지(분산)보다 하우스내 상온이 4℃ 정도 낮았고 야간온도가 1℃ 정도 낮았다. 근권온도는 고랭지(최고 25.5℃, 최저 19℃)가 평지보다 평균 3℃ 정도 낮았다. 초기생육(엽수, 엽장, 엽폭, 생체중 등)은 고랭지에서 평지보다 좋았으며 기형과 발생율도 낮았다. 주당과 중은 고랭지에서 평지에 비해 많았으며 특히 수출규격품 과실(8~15g)중도 높았다. 총수량은 고랭지에서 2,967kg/10a로 평지에 비해 52%증수하였으며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과 유기산 함량이 높았고 Citric acid가 95% 이상이었다. 양액농도 관리에서는 S(EC 0.75dS m-1)에서 생체중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양액농도가 증가할수록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특히 5/3S(EC 1.25dS m-1)에서는 뿌리의 갈변이 심하고 근활력이 낮았다. 총수량은 S(EC 0.75dS m-1)에서 2,064kg/10a로 가장 많았으며 양액농도와 수량간의 추세선은 y=-808×2+967x+1703(R2=0.7994, 꼭지점 =3/5S)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페치카의 여름재배에 알맞은 양액농도(EC)는 3/5S이고, 1.0dS m-1 이상에서는 과실의 당도는 높아지나 기형과의 발생이 많으므로 낮은 농도로 관리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79.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tch of garden thrips, Frankliniella intonsa, on sticky traps was assessed by color and height in commercial plastic vinyl house strawberry crops grown on 40-㎝-high trellises. Yellow, blue and white sticky cards were tested for color attractiveness, and upper (50 ㎝), lower (10 ㎝ above the floor) and ground were for height. At each height, trapped thrips on yellow, blue and whit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lue sticky card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raps on yellow and white. The trapped thrips were also significantly greatest at 50 ㎝ above the floor, less at lower and ground.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opulation of garden thrips on the flower in each tested site.
        4,000원
        180.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고랭지에서 사계성딸기의 고설벤치식 양액재배시 묘의 생산 및 저장방법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처리는 주냉장묘, 노지월동묘, 폿트냉장묘와 1년생묘였다. 정식시 묘의 생육량은 폿트냉장이 가장 많았다. C/N율은 1년생이 19.5로 가장 낮았고, 폿트냉장은 39.2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첫 수확기의 생육량은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년생의 첫 수확시기는 다른 처리에 비해 5~9일 늦었다. 1년생의 평균과중은 12.6g으로 가장 무거웠다. 상품수량은 폿트냉장이 가장 많았고, 1년생, 주냉장, 노지월동 순으로 많았다. 따라서 고랭지에서 단경기생산을 위한 사계성 딸기의 정식묘는 폿트냉장이 가장 좋았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