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024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dietary behaviors, nutrient intake,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compared to those in multi-person households. Data were obtained from 5,311 individuals aged 65 years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2015-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Nutritional intake was assessed by analyzing the proportion of individuals with insufficient intake relative to the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KDRIs) and the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 (AMDR).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using the EQ- 5D instrument. The results showe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more likely to be female, older, and have lower income and education levels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Additionally,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more likely to skip breakfast, eat at places other than home, eat alone, and dine out less frequently. Nutritional intake was lower among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Furthermore, after adjusting for relevant variables,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report poor quality of life (OR: 1.05, 95% CI: 1.07-1.28)—defined as being in the lowest 20% of EQ-5D scores—compared to those in multi-person households.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targeted nutritional support and policy interventions to improve dietary intake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4,000원
        3.
        2025.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도 스텐트 삽입 및 제거 시술 과정에서 담도 주위 혈관에 손상을 주어 혈액 담즙이 유발되는 경우가 드물게 보고된다. 불안정한 활력 징후를 동반할 만큼 심각한 혈액 담즙증이 발생한 경우, 구조요법으로 피막형 팽창성 금속 스텐트를 삽입할 수 있다. 본 증례는 급성담관염을 동반한 총담관 담석 환자에게 기계적 쇄석술을 시도하던 과정에서 발생한 바스켓 장치 감돈을 해결하던 중 다량의 혈액 담즙증이 발생하였고, 피막형 팽창형 금속 스텐트 삽입을 통해 내시경적 지혈술에 성공하였으나 이후 경과 관찰 중에 스텐트가 원위부로 이탈 되면서 주위 혈관에 가성동맥류를 동반한 재출혈을 경험하였고 혈관 중재술과 추가적인 지혈술에도 불구하고 결국 사망에 이른 사례이다. 지혈을 위해 삽입한 스텐트가 적절한 위치에 삽입되더라도 지혈이 잘 안될 수 있고, 스텐트가 이탈하게 되면 혈액 담즙증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출혈이 다시 발생하는지를 면밀하게 살피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4,000원
        4.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미국 대외정책의 맥락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AI 정책 방향 을 보다 체계적으로 조망해볼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미 대통령이 정책 방향을 제시할 때 활용하는 대표적 수단은 연두교서와 대 통령 행정명령(Executive Order)이다. 특히 트럼프 1기 행정부 초반 3 년간 서명한 행정명령이 137건에 이를 정도로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 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아울러 국가안보전략(NSS)과 같이, 대통령실 차원에서 발표되는 전략문서도 미 정부의 정책방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대통령 및 대통령실 차원에서의 AI 관련 내용 을 담은 문서로서는 우선 백악관 명의로 발표된 국가안보전략(2017.12.) 이 있다. 동 전략은 미국의 번영과 안보라는 측면에서 AI 이슈를 언급하 였다. 2019년 2월 발표된 연두교서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래 첨단 산업 투자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같은 달 트럼프 대통령은 AI 관련 행정명 령 제13859호를, 대통령실 과학기술정책실(OSTP)은 동 행정명령에 기초 해 “미국 AI 이니셔티브(American AI Initiative)”를 발표했다. 이후 2019년 6월 대통령실 산하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국가 AI R&D 전략계 획"을 발표했다. 이 일련의 문서들은 '미국 우선주의'에 기초하여, AI 분 야의 정책을 구체화해 나간다는 동일한 맥락 속에 있다. 상기 1기 트럼 프 행정부의 AI 정책 관련 문서를 검토한 본고의 논의는, 2기 트럼프 행 정부의 AI 정책을 조망하는데 함의를 제공한다.
        5,800원
        5.
        202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used an in-house beta version code, developed on the Microsoft® Excel platform and based on the Regulatory Guide 1.109 model, for radiation dose calculation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RCDose3 Code Version 1.1.4. Although most results were compatible, five significant discrepancies were identified. First, potential errors in the effective dose for 3H inhalation and ingestion were due to inadequate incorporation of dose coefficients based on chemical forms or absorption types in the GASPAR module. Second, potential errors in 14C effective doses resulted from incorrect application of age-specific consumption values and dose coefficients. Third, potential errors for 131I inhalation doses occurred due to inadequate consideration of dose coefficients for chemical form or absorption type in the GASPAR. Fourth, potential errors in equivalent dose for radionuclides (e.g., 60Co and 131I) were caused by inconsistencies in the ordering of organs or tissues in dose coefficients and output files. Fifth, in the LADTAP module, when “Salt water” was selected and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Publication 72 was applied, liquid effluent doses were incorrectly output for only three age groups instead of six. This study analyzes these errors and proposes interim corrective measures to ensure accuracy pending software revisions.
        6,000원
        7.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복숭아거위벌레속(딱정벌레목: 바구미상과: 주둥이거위벌레과)의 분류학적 재검토를수행한 결과 애복숭아거위벌레(Rhynchites (Rhynchites) fulgidus Faldermann, 1835)를 국내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복숭아거위벌레속 2종(애복숭아거위벌레, 복숭아 거위벌레)의 형태학적 재기재를 제공한다. 또한, 한국산 복숭아거위벌레속 종들의 분류학사에 대한 고찰과 2종에 대한 분류 검색표를 제시한다.
        4,000원
        8.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귀환이주자의 구술을 바탕으로 이주사를 살펴보고, 정착국 과 기원국에 정착하는데 개인적·사회적 사유와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했 다. 고령인 캐나다 국적 귀환이주 남성의 이주 과정과 사회적응의 과정 을 생애사 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이주 이전에 사업의 어려움을 겪고 이주를 진행하였고, 타국에 사는 동안 한인 커뮤니티에 속해 정보 를 얻으면서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였다. 정착국에서도 금전적 손해를 입 은 참여자는 우연한 기회에 지인의 추천으로 한국을 방문하게 되었고 25 년 전 떠날 때의 고향과 너무 달라진 모습에 충격을 받고 한국으로 귀환 이주 하였다. 참여자는 한국 국적을 회복함으로써 양국의 복지 혜택을 모두 누리고 있었다. 이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의식을 조사한바, 증가하는 고령의 귀환이주자들을 사회의 구성원으로 보기보다는 책임져야 할 복지 수혜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이 사회의 일원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복수국적자들을 대상으로 국내 거주기간을 고려한 복지 혜택 부여 등 선별적 정책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대상이 기존에 집중되었던 중국동포나 중앙아시아 출신 이주 3·4세대가 아닌 북미 출신인 고령의 이주 1세대의 이주·귀환 사유와 정착, 이에 대한 사회적 함의를 파악하 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이들이 사회에 기 여하며 주체적인 삶을 살아갈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5,500원
        9.
        2025.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increasing globalization and the urgent need for sustainable energy solutions, 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has emerged as a crucial technology for clean energy production. In this study, we report the successful synthesis of 0.1 % Fe-doped NiS2 via a one-step hydrothermal method. The incorporation of Fe into the NiS2 matrix significantly enhances its electrochemical performance, as evidenced by a remarkable reduction in overpotential, to 180 mV at a current density of 10 mA cm-2, compared to 250 mV for undoped NiS2. Additionally, the Fe-doped NiS2 exhibits a reduced Tafel slope, high double layer capacitance, and lower charge transfer resistance than undoped NiS2, indicating improved reaction kinetics for oxygen evolution. These improvements are attributed to the enhanced conductivity and catalytic activity imparted by Fe doping, which facilitates more efficient charge transfer and reaction processes at the electrode surface. The results suggest that Fe-doped NiS2 is a highly promising and robust candidate for applications in electrochemical energy conversion. Moreover, the doping strategy employed here offers a valuable approach for tailoring the properties of other metal sulfides and chalcogenides, paving the way for the design of next generation electrocatalysts that can drive large-scale energy conversion processes with minimal energy loss.
        4,000원
        10.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대류권부터 중층대기까지 전체 대기의 기체상 화학과정을 전지구 규모에서 수치 모의하도록 고 안된 두 가지 대기화학과정(Strattrop와 CRI) 각각을 영국 지구시스템모형(UKESM)에 연동시켜 CMIP6 과거기후 모의 를 수행하였다. 두 대기과학과정에 따른 모의 결과를 재분석자료와 비교하여 기체상 대기화학과정에 따른 전지구시스템 모형의 모의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단순화된 화학과정인 Strattrop를 기본 장착한 UKESM-Strattrop과 오존 화학과 정을 강화한 CRI 대기화학과정을 연동시킨 UKESM-CRI의 수치 모의는 1981-2010년 약 30년 기간 CMIP6 과거기후 모의이며, 모형의 가동은 CentOS-8 기반 리눅스 클러스터에서 수행되었다. 이 두 모의 실험 결과의 분석은 마지막 10년(2001-2010) 결과만을 이용하였다. 두 모델이 모의한 대류권 지상 기온과 강수량은 전지구 공간 분포와 월별 시계열 의 변동에서 기존에 보고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고, 대기화학과정에 의한 특징적인 변화는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 하지만 모델 모의 전지구 평균 기온의 선형 증가율의 경우, UKESM-Strattrop은 ERA5 재분석자료와 비슷한 선형 시간 변화 경향을 보였으나 UKESM-CRI는 더 크게 증가하도록 모의하였다. 에어로졸 광학 두께(AOD)의 공간 분포는 두 모델 모두 사막 지역을 제외하고 MERRA-2 재분석자료와 유사했다. 기체상 화학과정이 강화된 UKESM-CRI는 예상했 던 바와 같이 UKESM-Strattrop 보다 오존전량에서 MSR 재분석자료와 더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성층권 오존분포에 서는 MERRA-2 재분석자료에 더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특히, 적도 성층권에서 나타나는 준격년진동(QBO) 현상과 QBO와 연관된 적도 성층권 오존 농도의 증가와 감소 현상의 모의는 UKESM-CRI가 UKESM-Strattrop 보다 더욱 잘 일치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정교한 전지구규모 대기화학과정의 도입은 대기 조성 물질의 수치 모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더 나아가 중층대기 Brewer-Dobson 순환(BDC)의 모의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4,900원
        11.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ompare food procurement and dietary behavio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 A total of 949 single-person households that participated in the 2022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20~39 years (n=204), 40~59 years (n=317), and 60~74 years (n=428). Monthly expenditure on eating out was similar for the 20~39 and 40~59 age groups at around 145,000 KRW, while the 60~74 age group spent 79,823 KRW (p<0.001). The frequency of eating out was the highest at 2~3 days per week for the 20~39 age group, with take-out occurring 1 day per week (p<0.01). Regarding online food purchases, 35% of the 20~39 age group bought food online once every two weeks, whereas 40~59 and 60~74 age groups had higher percentages of those buying non-online food (44.7% and 89.0%, respectively, p<0.001). Regarding dietary competency index, healthy eating scores were the highest in the 60~74 age group (p<0.01). As the dietary competency index increased, monthly expenditure on take-out decreased for the 40~59 age group while satisfaction with current diet increased across all age groups (p<0.01).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tailored to different life stages.
        4,200원
        12.
        2025.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항암치료는 메토트렉세이트, 6-머캅토퓨린, 빈크리스틴, 아스파라기나제와 같은 약제를 기반으로 한다. 아스파라기나아제 관련 췌장염은 최대 18%의 발병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급성 발병 및 만성 합병증으로 백혈병에 대한 항암 치료를 중단하는 주요 원인이다. 백혈병 환자에서 항암제에 의한 췌장주위 체액저류를 치료한 사례는 다양하다. 최근 WON (벽으로 둘러 쌓인 괴사) 배액을 위해 내강 인접 금속 스텐트(LAMS)의 사용이 증가하였다. 전기 소작술로 강화된 전달 시스템을 통해 스텐트 배치가 더 간단하고 빨라졌으며 전체 절차가 간소화되고 잠재적으로 절차 시간이 단축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질환의 내시경 배액술에 LAMS를 사용하면 좋은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을 앓고 있는 성인 환자의 L-아스파라기나제 유발 급성 췌장염 및 췌장 가성낭종을 치료하기 위해 hot-system LAMS를 시행한 사례를 논의하고자 한다.
        4,000원
        13.
        2025.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관 협착 및 확장은 그 원인을 정확히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호산구성 담관염은 담관 협착 및 확장을 일으킬 수 있는 양성 질환으로, 발생빈도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직병리학, 방사선 사진, 내시경 및 혈액학적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할 수 있으며, 스테로이드 투여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드물지만 담관 협착 및 확장의 감별진단 시 고려해야 하는 질환으로, 이 증례를 통해 호산구성 담관염을 알아보고자 한다.
        4,000원
        1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layout was designed to adjust the location of the LPG fuel tank by combining a Z-Spring and an Airbag in an LPG 1-ton truck air suspension assembly, and a structural analysis based on the finite element method was performed considering the load conditions of extreme situations based on the weight taken into account. The study was performed under a total load condition of 2.1 tons per axle with a safety factor of 2,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stress value occurring in each part is within the yield strength value of the material.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gned LPG 1-ton truck air suspension assembly is a system with secured structural stability.
        4,000원
        1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4년 1월 1일 발생한 규모 7.5의 일본 노토지진은 강력한 지반 운동, 지진 해일과 함께 대기 압력 변동에 의 한 인프라사운드 신호를 동반하였다. 노토지진 인프라사운드 신호는 진앙에서 약 830 km 떨어진 국내 인프라사운드 관측소 뿐만 아니라 약 3,500 km 떨어진 국제관측망에서도 탐지되었다. 지진 발생 당시 성층권과 중간권 고도에 형성된 동-서 반대 방향의 강한 바람은 동북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관측소와 반대 방향인 태평양에 위치한 관측소에서 지진 인 프라사운드 신호 관측을 가능하게 하였다. 역-투사 방법으로 음원의 발생지역을 계산한 결과, 고주파수 대역(1-2 Hz)의 인프라사운드 신호는 주로 진앙을 포함한 일본 내륙의 지반 운동으로 발생했으며, 저주파수 인프라사운드(0.3 Hz 이하) 는 지진과 동시에 발생한 일본 서쪽 해안의 지진 해일(해수면 운동)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지표면-대기 상호 작용 관계식과 지진 해일 경보 높이(3 m)로 추정한 지진 해일 기원의 인프라사운드 음원 크기는 약 120 Pa로 육지 지 반 운동에 의한 음원의 크기(약 280 Pa)와 비교될 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4년 노토지진은 지구 표면의 지반 운동 과 해수면 운동에 의한 인프라사운드 신호가 다중 관측소에서 동시에 관측된 사례로 평가된다.
        4,600원
        16.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IM-1 (polymer intrinsic microporosity-1)은 뒤틀린 구조에 기인한 높은 기체 투과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 체 분리막 소재 중 하나로 활발히 연구되어졌다. 높은 기체 투과 특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높지 않은 기체 선택성의 한계점 이 존재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PIM-1 분리막에 PEG/PPG-CN을 첨가함으로써 CO2의 용해도 증가에 따른 기체 선택도를 높이고 열처리를 진행하여 PIM-1과 PEG/PPG-CN의 사이아노기가 트라이아진으로 전환되는 재배열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 2 wt%의 PEG/PPG-CN이 첨가되고 열처리된 PIM-1 분리막의 성능은 열처리만 된 PIM-1 분리막과 비교하였을 때 단일 및 혼 합 기체 조건에서 더 높은 이산화탄소의 투과도와 선택도를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혼합 기체 조건에서는 단일 기체 조 건에서 보다 높은 이산화탄소 투과도와 선택도를 보이며 실제 기체 분리 공정의 적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트 라이아진의 가교에 의하여 기체 분리막이 가소화 저항성(anti-plasticization)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800원
        17.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mmalian testis is a highly organized organ essential for male reproduction. Its structure comprises seminiferous tubules lined with Sertoli cells, which support spermatogenesis, surrounded by peritubular myoid cells. Within the connective tissue framework lie the Leydig cells, which synthesize testosterone in response to luteinizing hormone. Research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various ion channels and proteins in testicular function. The TWINK-related acid-sensitive potassium channel 1 (TASK-1), a two-pore channel, is vital for several physiological functions in the testis. Furthermore, Leydig cells uniquely express several key proteins, including c-kit, and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α. The co-expression of these proteins, including TASK-1, in Leydig cells suggest the presence of complex regulatory mechanisms critical for modulating testosterone production, release, and overall testicular function.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1 (TRPV1), a member of the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 family, also plays a crucial role in testicular function, influencing processes such as sensory function, steroidogenesis, and sperm function. Hormonal fluctuations and aging affect both the presence and function of TRPV1. This channel is thought to contribute programmed cell death within the testes, particularly impacting Leydig cell survival. Notably, testosterone appears to counteract these detrimental effects by downregulating TRPV1 expression, indicating a complex interplay between TRPV1, testosterone, and overall testicular function. Therefore, we aim to discuss the critical role of ion channels, specifically focusing on TASK-1 and TRPV1 channels, in the physiological and pathophysiological functions of testicular cells.
        4,000원
        1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mTeSR1 is a fully-defined, serum-free medium for the derivation and maintenance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ESC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incorporating mTeSR1 supplement during in vitro culture (IVC) on blastocyst productivity, qualitative characteristics, and outgrowth potential of bovine blastocysts. Methods: In vitro fertilized (IVF) eggs were cultured in IVC medium (control) with the addition of mTeSR1 supplement at concentrations of 1%, 2%, and 5%, respectively. The development rates of fertilized eggs and gene expression patterns of blastocysts were assessed on day 9 of culture. For outgrowth culture, blastocysts were cultured on a mouse embryonic fibroblast feeder cells (MEFs) for 7 days. Results: In vitro development of bovine preimplantation embryos in the 2% mTeSR1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p < 0.05). The apoptotic index in the 2% mTeSR1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RTqPCR indicated that SRY-Box Transcription Factor 2 (Sox2) gene expression in the 5% mTeSR1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p < 0.05). The 5% mTeSR1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CL2 associated X (Bax) ex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and other mTeSR1 groups. On day 9 pi, blastocysts from the control and 2% mTeSR1 groups were cultured for 7 days. The 2% mTeSR1 group showed higher efficiency in forming dome-shaped colonies with stronger SOX2 ex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Conclusions: The mTeSR1 supplement supports preimplantation embryo development and prevents apoptosis in blastocysts, leading to the efficient formation of domeshaped inner cell mass (ICM) colonies.
        4,000원
        1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no.15, op.28≫ 1악장의 발전부를 중심으로 주제적 구성의 양상을 살피고, 해당 발전부에 대한 해석으로서 ‘꿈과 현실의 내러티브’를 도입한다. 발전부를 세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을 현실에서 꿈속으로의 이동, 꿈속의 지속, 꿈속에서 현실로의 이동이라 는 구조로 파악한다. 이로써 전통적인 고전 소나타 형식에서 벗어난 발전부의 독특하고 모호한 음 악적 전개를 설명하는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4,300원
        20.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Lower back pain/injuries are common in caregivers, and physical stresses at the lower back during patient care are considered a primary cause. An instrumented hospital bed my help reduce the physical loads during patient repositioning. Objects: We estimated the physical stresses at the lower back during patient repositioning to assess biomechanical benefits of the instrumented hospital bed. Methods: Fourteen individuals repositioned a patient lying on an instrumented hospital bed. Trials were acquired for three types of repositioning (boosting superiorly, pulling laterally, and rolling from supine to side-lying). Trials were also acquired with two bed heights (10 and 30 cm below the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nd with and without the bed tilting feature. During trials, kinematics of an upper body and hand pulling forces were recorded to determine the compressive and shear forces using static equilibrium equations.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test if the peak compressive and shear forces were associated with repositioning type (3 levels), bed height (2 levels), and bed feature (2 levels). Results: The peak compressive force ranged from 836 N to 3,954 N, and was associated with type (F = 14.661, p < 0.0005) and height (F = 10.044, p = 0.007), but not with bed feature (F = 0.003, p = 0.955). The peak shear force ranged from 66 to 473 N, and was associated with type (F = 8.021, p < 0.005), height (F = 6.548, p = 0.024), and bed feature (F = 22.978, p < 0.0005). Conclusion: The peak compressive force at the lower back during patient repositioning, draws one’s attention as it is, in some trials, close to or greater than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afety criterion (3,400 N). Furthermore, the physical stress decreases by adjusting bed height, but not by using tilting feature of an instrumented bed.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