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기능올림픽대회를 준비하는 청년디자이너들에게 전국기능경기대회 기출과제의 경향을 분석하여 국제대회에서 원활한 과제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2009년부터 2024년까지 마이 스터넷에 공개된 전국기능경기대회, 국가대표선발전,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의 상디자인 직종 출제 과제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국기능경기대 회의 의상디자인 출제 과제로 가장 많이 다루어진 의복 아이템은 재킷과 스커 트로 구성된 수트이며, 스타일선으로는 숄더 프린세스라인이 가장 많이 사용 되었다. 여밈 형태에서는 싱글 여밈이 가장 많았으며, 칼라는 테일러드 칼라 와 노치드 라펠이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소매 디자인은 주로 두 장 소매가 사용되었으며, 포켓은 심 포켓과 웰트 포켓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국내 국 가대표선발전과 국제기능올림픽의 출제 경향을 비교해 보면, 국가대표 선 발전에서는 동일한 디자인의 의상을 정확한 치수로 제작하는 '의복 제조' 과제가 주를 이루는 반면, 국제기능올림픽에서는 선수들의 독창적인 아이 디어를 의상에 표현하는 '창작 디자인' 과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다. 따라 서 국내 기능경기대회의 과제 출제 방식을 국제대회 기준에 맞추어 조정 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우리 선수들이 국제무대에서의 경쟁력과 적 응력을 키워, K-패션의 글로벌 위상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온라인 태권도대회 출전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성장기에 있는 초등학생들이 COVID-19 상황을 잘 극복하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나아가 온라인 태권도대회를 통한 수련생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와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태권도대회에 출전한 초등학생(2학년~6학년) 60명과 미출전 비교집단 60명을 대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태권도대회에 출전 경험이 실험집단의 경우에는 사전(M=1.92)보다 사후(M=3.47)에 자아존중감이 1.55 증가하였다. 비교집단의 경우에는 사전(M=1.96), 사후(M=1.95)에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와 같이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46.747, p <.001). 참여자의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별로 없었으며, 성별 구분 없이 모두 비슷하게 사전에 비해 사후에 자아존중감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 시간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수련시간에 관계 없이 모두 자아존중감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대회 출전 경험이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about some errors of example sentences shown in the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because the importance of the example sentences in the dictionary cannot be overemphasized. Example sentences in the dictionary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parts: meanings, interpretations, and subsequent examples sentences. They hold an importance place in compiling a dictionary. If examples sentences are not accurate, the influences of the dictionary will be reduced by half. Contrary to the intentions of the dictionary editors, the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has significant problems in terms of sources and example sentences. For example, some of the errors include mistaken sources, incorrect volumes or volume numbers with correct sources, confusion about authors' dynasties, inaccurate authors' names, erroneous periods of historical research, and so on. Therefor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readers with the first step toward the solutions of these problems by analyzing basic types of errors and to play a role in revising the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in the near future. As a result, it is hoped that the influences of these errors presented in the dictionary should not be transmitted in the various academic fields and to the following generations.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about some errors of example sentences shown in the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because the importance of the example sentences in the dictionary cannot be overemphasized. Example sentences in the dictionary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parts: meanings, interpretations, and subsequent examples sentences. They hold an importance place in compiling a dictionary. If examples sentences are not accurate, the influences of the dictionary will be reduced by half. Contrary to the intentions of the dictionary editors, the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has significant problems in terms of sources and example sentences. For example, some of the errors include mistaken sources, incorrect volumes or volume numbers with correct sources, confusion about authors' dynasties, inaccurate authors' names, erroneous periods of historical research, and so on. Therefor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readers with the first step toward the solutions of these problems by analyzing basic types of errors and to play a role in revising the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in the near future. As a result, it is hoped that the influences of these errors presented in the dictionary should not be transmitted in the various academic fields and to the following gener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the origin of Nong Jung Shin Pyun ( 農政新編 ), a book of agricultural manual. This book was edited by An Jong-Soo who translated the agricultural manual of Japan and China, both were writted in Japanese. This book might be used not only as text book for agricultural workshop but as reference book for peasants.
본 연구는 올림픽 출전 경험의 심리적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2004 아테네올림픽, 2008 북경올림픽, 2006 토리노동계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선수단의 선수를 대상으로 올림픽 출전경험의 심리적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해 첫째, 올림픽 출전의 체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올림픽 출전경험의 긍정적 영향력은 무엇인가? 셋째, 올림픽 출전 경험의 부정적 영향력은 무엇인가? 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103명의 자료제공자를 대상으로 개발형설문과 비구조화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의 귀납적범주화와 연역적내용전개를 통해 자료를 창출하였다. 올림픽 출전의 체험 특성과 관련해 올림픽은 다른 대회와 대회성격, 사회적 관심, 대회구조, 심리적 경험, 경기력 향상 기회가 된다는 측면에서 차별화된다. 또한 올림픽 출전 경험은 선수에게 펀더멘틀 개선, 동기유발, 정서적 안정, 경기력 변화 계기가 되는 등 긍정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반면, 성취 증후군(승자의 저주), 동기약화, 불확실성 증폭 등의 부정적 영향력을 발휘하기도 한다. 논의에서는 경기 경험의 의미를 조직화했고, 경기 경험에 의해 유발되는 경기력 변화의 설명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가 경기 경험의 영향력을 학문적 관점에서 논의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