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를’ 중출문 구조는 한국어에 존재하는 특색 있는 일종의 언어 구조 형 식이다. 본고는 ‘를’의 통사·의미론적 기능과 화용론적 기능을 고찰함으 로써 ‘를’의 기능을 밝히고 그 역할을 정립하며 ‘를’ 중출문의 원인을 살 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 ‘를’ 중출문의 유형은 박성미(2014)가 분류한 유형을 기준으로 삼고 동족목적어 중출문을 보충해서 각 중출문 의 원인에 대해서 분석했다. 본고의 논의는 기존에 ‘를’을 격조사로 볼 것인지, 보조사로 볼 것인지에 대한 이분법적 논의에 시사하는 바가 크 다. 격조사 ‘를’과 보조사 ‘를’은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며, 보조사 ‘를’ 의 의미는 격조사 ‘를’이 갖는 담화 층위의 초점 의미와 다르지 않다는 점이 그것이다. 나아가 본고의 논의는 ‘를’이 격조사의 기능을 하되 때에 따라 ‘강조’ 의미의 보조사적 쓰임도 있다는 다의어적 입장을 뒷받침해 줄 수 있다고 본다. 본고는 ‘를’의 대격 조사로서의 역할 및 초점 표지로 서의 역할을 정립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6,000원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콘크리트 편개형 방폭문은 외피 구조로서의 강박스 내에 콘크리트 슬래브가 채워진 구조로서 힌지 및 렛치와 같은 지지부재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폭압이 작용하는 방향과 같은 정방향으로의 처짐 거동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되어 왔으나, 부방향 처짐 거동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폭압을 받는 편개형 방폭문의 부방향 처짐 단계에서 발생하는 반발 거동(rebound behavior)에 대해 유한요소해석으로 변수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방폭문의 소성변형 내지는 파괴 정도, 반발작용 전후의 운동량 및 운동에너지 변화가 반발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로 분석되었다. 또한, 방폭문의 거동 특성이 준정 적 영역에 속하는 경우에 비해 충격영역에 속하는 경우에서 더 큰 반발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변형에너 지 보다 운동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하는 충격영역에서의 거동 특성이 원인인 것으로 사료된다. 반발작용의 결과로 인해 지지부재에 과도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성능분석 및 설계 과정에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부압이 미치는 영향을 검 토한 결과에 따르면 강-콘크리트 방폭문의 경우에서도 반발에 의한 영향 및 부압 모두가 방폭문의 부방향 처짐에 기여할 때 반발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중첩 효과의 발생조건은 구조체 특성 및 폭발조건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500원
        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어 연동문은 그 성분 간의 의미의 복잡성으로 한국어 번역과 교수에 많은 어려움을 준다. 이 논문은 연동문이 한국어 번역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오역현상을 지적하고 이런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여 선행연구에서의 구조주의 문법이론의 연구방 법에서 탈피하여 기능문법에서 타동성의 정도성 이론에 근거하여 연동문을 타동성의 정도성에 따라 기본구조 연동문과 선행동사가 ‘着’를 가진 연동문, 그리고 이동동사 연동문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기본구조 연동문은 선행동사가 빈어(宾语)를 가지는 연동문과 후행동사가 빈어를 가지는 연동문, 선후행동사 모두 빈어를 가지는 연동문으로 하위분류를 하여 살폈고 이동동사 연동문은 선행동사가 이동동사인 경우와 후행 동사가 이동동사인 경우를 나누어 살폈다. 이 분류를 바탕으로 연동문의 한국어 번역양상 분석에서는 각 연동문의 특성과 연동문에서 구성성분의 의미관계에 대하여 처음으로 개념구조와 의미지도를 그려 보이고 연동문의 한국어 번역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연동문의 한국어 기계번역과 인공번역연구 및 번역교수에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5,500원
        4.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외피 구조로서의 강박스와 내부의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로 구성되는 양개형 방폭문은 방호 및 대피 구조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구조체이다. 방폭문과 그 후면의 벽체 사이에는 일정의 설치 간격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지지조건 및 구조거동의 변화는 방폭 해석 및 설계에 적절히 고려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치 간격에 의한 지지조건 및 폭압의 변화에 따른 방폭문의 구조응답 및 파괴거동을 유한요소 해석방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해석 결과에 따르면, 설치 간격 및 폭압의 변화는 방폭문의 최대 처짐 및 영구 처짐과 같은 처짐 거동에 영향을 미치며, 설치 간격이 크고 작음에 따라 방폭문과 벽체의 충돌 접촉 정도 및 이에 의한 충격력이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폭문에 작용하는 이와 같은 충격력의 변화는 슬래브의 전단파괴와 같은 파괴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설치간격 10mm 미만의 방폭문은 전단파괴에 취약해지고, 15mm 내외 수준인 경우가 휨성능 발현에 비교적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설치 간격 및 폭압과 같이 기본적인 조건의 변화에 한해서 비교 해석을 하였다. 향후, 부 재 재원 및 강도변화, 전단설계 여부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구조거동 변화에 대해 실험적 및 해석적 연구가 필요하다.
        4,200원
        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르고노트섬에 대한 기존 연구는 영국의 상선 아르고노트호가 1791년 여름 울릉도 부근 해상에서 섬을 발견한 것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밝히는 수준에 머물렀는데, 이 연구는 의문의 섬 아르고노트를 발견한 영국 탐험가 제임스 콜넷의 생애, 세계일주 배경과 항해 경로, 아르고노트호의 동해진출 배경과 의문의 섬의 발견 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첫째, 콜넷의 2차 해달 모피 무역 항해는 북서 태평양 해안의 모피 무역 중심지였던 누트카에 영구적인 거점을 마련하는 동시에 모피를 중국에 판매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며, 둘째, 콜넷 선단이 해달 모피를 싣고 마카오로 들어가던 무렵, 중국 정부가 모피 무역 금지령을 내림에 따라 콜넷 일행은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기 위해 조선과 일본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 셋째, 조선과 일본에 접촉을 시도하였 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으며, 또 다른 판로를 찾기 위해 조선의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다가 울릉도 부근 해상에서 발견했다 는 ‘의문의 섬’은 서구의 지도제작에 반영되어 반세기 이상 전파·유통되었다. 넷째, 1798년 지도에는 아르고노트호가 악천후를 만나 방향타가 부러진 지점만 표현되었는데, 1811년 지도에는 실존하는 섬으로서의 아르고노트가 표현되기 시작하였다. 결과적으 로, 19세기 중엽 일본 해군성이 영국에서 제작된 해도를 모사하는 과정에서 일본은 그들이 전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던 다케시마(울릉 도)와 마쓰시마(독도)를 아르고노트와 다즐레에 비정함에 따라 일본식 독도명칭이었던 마쓰시마는 울릉도를 가리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4,000원
        8.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러 해석이 난립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명칭과 위치 및 성격 등을 둘러싸고 여러 이설이 존재하고 있다. 민간에서는 척주동해비를 재앙을 막는 부적(符籍)처럼 간주하기도 하고 혹자는 축문(祝文)으로 보기도 하는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비문(碑文)에 기술된 여러 해외의 이국 풍속에 대해 하 나하나 고증을 하면서 아울러 동해송의 문체를 분석해서 그 내용을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척주동해비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결론적으로 허목은 동해바다를 신비화하거나 주술적인 기원을 하려 고 한 것이 아니다. 그는 ‘동해송’(東海頌)이란 제목에서 보는 바와 같 이 동해바다의 아름다움과 덕을 찬탄하고자 한 시문을 써서 비석으로 세운 것이 동해척주비이다. 이 동해송은 조선시대 학자들 사이에서 존 경감을 가지고 읽혀지고 연구되었던 명문장으로 간주되었다. 여기에 더해 그의 독특한 서체(書體)와 이국적인 내용으로 인해서 척주동해비 가 재앙을 막아주는 신비한 힘을 가진 글로 신비화되었다고 본다. 허목(許穆, 1595∼1682)이 지은 척주동해비는 예로부터 난해하기로 유명해서 그 내용에 대해
        9,200원
        10.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nefactive verbs in Japanese can be classified into 1) ‘site ageru’(「してあげる」, 2) ‘site kureru’(「してくれる」), and 3) ‘site morau’(「してもらう」)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action. ‘Site morau’ sentences are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similar to passive sentences in the sense that a benefactive of an action is in the subjective position and an agent is in the dative position. However, they morphologically take an active form. Thus, they shar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active and passive voice.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ondition in which a ‘site morau’ sentence changes into a causative sentence. In addition, it analyzes the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ausative sentences and ‘site morau’ sentences. It also shows that ‘site morau’ sentences can be changed into causative sentences, since causative sentences have semantic properties of both ‘giving’ and ‘receiving’. Lastly, ‘site morau’ is subcategorized into 1) typical ‘site morau’, 2) moderate ‘site morau’, 3) causative ‘site morau’, with each type studied in depth.
        4,500원
        13.
        200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는 현재 사용후핵연료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차세대관리 종합공정의 실증용 핫셀을 건설중에 있다. 이 핫셀에서 모든 물품의 반출입은 후면 차폐문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차폐문의 사용빈도가 매우 크며, 따라서 후면 차폐문의 구조적 안전성 유지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핫셀의 후면 차폐문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후면 차폐문을 닫을 때 벽면의 차폐문틀과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구조적 변형 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해 이 상황을 충돌-접촉 문제로 가정하고 동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충돌시 반력에의한 후면 차폐문의 전도 가능성 및 이동중 갑작스럽게 정지할 경우 관성에 의한 전도 가능성에 대해서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를 통해 차폐문과 차폐문틀 모두 충돌에 의한 구조적 변형에 대해 충분히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러 사고 조건에 대해서도 후면 차폐문의 전도가 일어나지 않고 안정성을 유지함을 보였다.
        4,000원
        15.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16.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선 후기 정기적인 수토제(搜討制) 실시는 1694년(숙종 20) 장한상(張漢相)의 울릉도 수토로 시작되었다. 수토사(搜討使)들은 자신들이 다녀간 흔적을 남기기 위해 각석문(刻石 文)을 남겼는데, 수토(搜討)의 가장 확실하고 직접적인 증거이다. 그동안 단편적으로 울릉도 수토 각석문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아직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대 략적인 현황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그동안 수토 각석문의 조사와 연구 현황을 종 합하여 비교·검토하고, 현재까지 발견된 각석문의 내용을 비교 검토하는 동시에 그 특징을 살 펴보고자 하였다. 1711년(숙종 37) 박석창(朴錫昌)이 남긴 ‘울릉도 도동리 신묘명 각석문’은 수토제 시작 후 불과 17년이 지난 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그가 남긴 울릉도도형(鬱陵島圖形)에도 같은 내 용이 기록되어 있다. 또 그의 울릉도도형에는 ‘각석입표소(刻石立標所)’를 표시하였는데, 이 표시는 이후 제작된 조선 후기 지도에 동일하게 그려져 있다. 따라서 박석창의 각석문은 현재 까지 남아있는 울릉도 수토 각석문 중 가장 오래된 것일뿐만 아니라 울릉도 수토 각석문 중최초의 것일 가능성도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울릉도 수토 각석문은 크게 8개로 볼 수 있으며, 시기적으로는 1700년대 2개, 1800년대 5개, 1900년대 1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류하면 서로 다른 14명의 각석 문으로 나눌 수 있다. 지역별로는 서면 태하리에 4개 8명, 울릉읍 도동에 3개 4명, 북면 현포 리에 1개 2명의 각석문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은 총 4개 7명의 각석문으로 발견된 수의 50%에 지나지 않는 다. 울릉도의 개발 등으로 행방불명되거나 마모가 심해 판독이 어려운 각석문이 다수가 존재 한다. 또한 울릉도 주민들의 증언에는 각석문이 수없이 많았다고 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인 각 석문이 발견된 가능성이 있다. 울릉도 수토 각석문에는 수토관(搜討官)뿐만 아니라 수토사에 참여하였던 다양한 사람들의 직명(職名)과 이름이 새겨져 있다. 각석문에 남아있는 직명 등은 문헌 자료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수토사의 규모나 구성 등을 파악하게 해 줄 것이다. 각석문은 조선시대 울릉도 수토와 독도 수호 노력의 직접적 증거이므로 이에 대한 추가 조사 및 종합적 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17.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eel water gate can be vulnerable to corrosion problem, since it is generally contacted with water or maintained with relatively high humidity condition.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level of corrosion damage of water gate, corrosion exposure test was conducted using monitoring steel plate and monitoring sensor in actual steel water gate. From exposure test results, corrosion rate and corrosion environment were examined depending on the height or the structural type of water gate.
        1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ructural behavior of blast-resistant door composed with steel plate and inner con’c core was analyzed according to composite and non-composite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aximum and permanent deflection decrease in the case of composite condition. And as the impact on blast-resistant door increases and radical deformation occurs,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the deflection of the door.
        19.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design sensitivity of blast-resistant door composed with steel plate and inner RC core was analyzed according to increased steel ratio of plate and rebar. The results showed that compressive failure of inner concrete decreased rapidly in the case of specific steel ratio, and that the overall structural performance such as deflection did not changed substantially.
        20.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許愈(1833~1904)는 朝鮮말기의 嶺南主理學派를 대표할 대학자이다. 字는 退 而, 號는 后山또는 南黎이다. 이름이 唐나라 韓愈와 같고, 한유의 字가 退之, 號가 昌黎인 것이 허유와 비슷한 것에서 한유를 닮고자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집인 后山集 19권 10책이 간행되었다. 朝鮮王朝말기에 이르러 列强의 세력이 한반도에 손을 대고, 더욱이 日本이 조 선을 노리고 있었다. 그리하여 조선의 知識人은 국가와 민족을 멸망에서 구할 길 을 강구하는 것을 急務로 생각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許愈의 학문 방법은 아래의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판단을 중시하고 邪說을 물리쳐 儒學의 宗旨를 탐구하는 것을 자신의 임 무로 삼았다. 그는 詩를 통하여, 자신은 道를 걱정하지 가난을 걱정하지 않는 마 음과, 어두움을 물리치고 광명을 찾으며, 힘써 구하는 것은 오직 ‘眞儒’의 本義에 있다는 뜻을 분명하게 나타내었다. 둘째, ‘우리 道는 한 가지 이치로 꿰뚫는다(吾道一以貫之)’는 治學도리를 견지 하였다. 許愈는 李寒洲의 ‘主理’의 학문을 엄수하며, 가장 충실하게 ‘우리 도는 한 가지로 꿰뚫는다’는 학문 도리를 체현하였다. 그의 많은 말과 글을 한 마디로 개괄하면 ‘主理’를 立論과 立身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셋째, 위로 韓愈를 이어 學術上에 있어 斥佛을 자신의 소임으로 삼았다. 許愈 가 지은 이름은 바로 韓愈를 본받는다는 원대한 지향을 함축하여 전하고 있다. 許 愈지식의 구조 및 그의 學術경향을 고찰하여 韓愈의 進學解등의 글과 대조 해본다면 許愈는 文風ㆍ도량이 韓愈를 닮았을 뿐만 아니라 儒學의 道統을 수호 하는데 韓愈와 거의 똑같을 것이다. 동아시아 각국이 격렬하게 동요하는 때에, 許 愈는 의연하게 孟子ㆍ韓愈의 횃불을 이어받아 전하였다. 韓愈는 ‘文은 八代의 쇠약함을 일으키고‘, ‘道’와 ‘文’이 결코 상호 대립적 관계 에 있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는 文學史上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許愈도 또한 글을 짓는데 많은 심혈을 기우렸다. 더욱이 詩를 짓는데 많은 힘을 들여 사람들이 주목할 만한 성취를 이루었다. 許愈는 李退溪를 존숭하는 외에도 고향의 先賢인 南冥曺植선생에 대해 깊이 敬意를 표시하였다. 南冥學派는 儒學觀에 있어 實踐을 중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南冥先生은 詩의 창작에도 성취가 매우 높은데, 이것은 타고난 性情과 興 趣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그 학문 수양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詩人으로서 의 許愈는 더욱 南冥선생에게 가깝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데, 詩學에 있어 더 욱 많이 南冥先生및 그 學派의 영향을 받았다. 허유는 ‘主理論’을 견지했기 때문에 그의 詩가운데는 털끝만큼도 쇠미한 기운 을 읽을 수 없고, 기개 있는 君子의 흉금과 시대를 걱정하고 세상을 슬퍼하는 仁 者의 심사를 느끼게 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