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

        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는 국토의 70%가 산지로 이루어진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시공기술의 발전을 토대로 환경훼손 최소화, 통행시간 절감, 주행 쾌적성 향상을 위한 터널과 교량 등 구조물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연장 또한 장대화되어 가고 있다. 2016년 12월 개통한 상주영덕고속도로는 전체 연장의 48%, 2017년 6월 개통하는 동홍천양양고속도로는 약 73%가 터널 및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경찰청(2012)의“교통노면표시 설치관리 매뉴얼”에 의해 터널 및 교량에서 차선을 실선으로 운용하여 차로변경을 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국외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터널 및 교량에서 차로변경을 허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일반구간뿐만 아니라 구조물 구간에서도 차선은 점선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기존 연구 및 본 연구의 조사분석에서 차선유형에 대한 운전자들의 준수수준이 일반부와 구조물 구간에서 큰 차이가 없으며, 터널 내 차로변경 허용 유무와 교통사고와의 상관성도 낮은 실정이다. 차로변경 금지는 허용시보다 고속도로의 소통과 안전성 측면에서 불리하다. 차로변경이 불가함에 따라 동일차로내 일정구간에서 각기 속도성능이 다른 차량들이 혼재하게 되어 불안정한 교통류가 발생되고 이로 인한 추돌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구조물의 증가를 고려하고 도로의 이동성 및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터널 내 차로변경 허용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고속도로의 터널에서 차로변경 허용에 대한 전문가 설문에서는 점선 운용 필요(30%), 시설조건 충족 시 점선 운용(35%) 등 조건부를 포함하여 65%의 전문가가 차로변경 허용을 찬성하였다. 2016년 12월 개통한 상주영덕고속도로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시설조건을 만족하는 일부 구간(10.8km)에서 점선차선을 시범운영한 결과, 터널내 차로변경은 대부분 저속 선행차 및 선행차의 감속으로 발생하였으며, 실선 및 점선구간별로 차로변경 횟수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또한 터널 내 차선유형에 대한 인지수준 자체가 매우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운전자들이 점선운용에 대하여 반대하였는데, 이는 터널 내 차로변경이 위험하다는 고정관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 40년간 터널에서 차로변경을 금지하여 왔으므로 급격한 변화에 대한 신중론을 고려하여 단기적으로는 일정 수준의 시설조건을 갖춘 고속도로 터널부터 차로변경을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후에 국외 사례와 같이 모든 터널에서 차로변경 허용(점선 운용)을 원칙으로 하되, 공학적 판단에 의해 예외적으로 차로변경을 금지(실선 운용)하는 방향으로 개선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터널에서의 차로변경 허용은 단순히 차선운용방법의 변경이 아니라 일관성 있는 통행방법을 제시하여, 주행환경을 개선 할뿐만 아니라 운전자들의 법질서 준수를 높이고 나아가 운전문화를 바꾸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bridge section of the expressway has a worse driving environment than the general section. However, traffic safety countermeasures are focused only on the bridge section. Traffic safety countermeasures on the section before entry to the bridge and the section after exit from the bridge are applied only when the bridge has a long-span section. Accordingly, this study will verify the necessity of extending the application of traffic safety countermeasures to areas that are affected by the bridge. METHODS: This study determines the areas that are affected by the bridge as well as the areas that are affected by locations with frequent traffic accidents and suggests the risk factors by affected areas through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For the analysis, traffic accident data for 3 years, which occurred on bridge sections in six major expressway lines, were used. RESULTS: The numbers of traffic accidents were 469 before the bridge, 281 on the bridge, and 468 after the bridge. The variables that have impact on the seriousness of accidents are as follows: speeding, excess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wheel, and failure to secure safety distance for accidents that occurred before the bridge section; speeding, excess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wheel, and dozing off for accidents that occurred on the bridge; and speeding and failure to secure safety distance for accidents that occurred after the bridge section. CONCLUSIONS : Areas affected by the bridge show higher accident rates than the bridge section; therefore, imposing traffic safety countermeasures on the integrated section of the bridge and the affected areas is required.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suggested in this study could be effectively used in the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by imposing custom-made safety countermeasures for each section.
        4,000원
        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고속도로의 교량은 2000년 이후 집중된 선형개량 및 신규 노선 증가 사업으로 10년 전과 비교하여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유지관리 비용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고속도로 유지관리 예산 비중이 가장 높은 항목은 아스팔트 교면 교량의 콘크리트 바닥판 열화에 의한 보강 부분이다. 2011년 고속도로 관리교량은 약 7,800여개에 도달한 시점에서 현재 방법으로는 향후 어느 정도 바닥판 보강 예산이 필요한지 어느 시기에 증액을 하여야되는지 명확하게 추정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분석 방법인 와이불 분포에 의한 생존 수명 예측 기법을 적용하여 현재 고속도로 아스팔트 계열의 교면 교량의 평균 수명을 추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향후 예상 보강 비용을 추정하였다.
        4,000원
        5.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3년도부터 2007년도까지의 고속도로 포장관리시스템 운영에 의한 포장상태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고속도로 교량부 평탄성 불량 구간과 그 원인을 조사 분석하여 도로교량 구간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관리체계를 개선하고 교량평탄성 불량구간이 효과적으로 유지보수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고속도로 포장유지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분석과 이에 대한 현장 검증 결과, 교량구간의 평탄성이 토공부에 비해 상당히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원인과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면, 교량구간의 평탄성 불량 원인은 교면포장(접속부 포함)의 조기손상뿐만 아니라 뒷채움부 침하에 의한 접속부 포장의 단차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교량구간은 현재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조사장비에 의한 포장상태 측정과 병행하여 뒷채움부 침하가 원인인 단차를 측정하여 교량구간의 평탄성 불량지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조사 및 평가체계를 수립하였다.
        4,000원
        6.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전 논문에서 미 중부 및 동남부 지역의 전형적인 다경간 단순효와 다경간 강거더 연속교의 지진 응답을 연구하였으며, 이런 교량에서 덱 사이의 충돌과 큰 연성이 요구되는 기둥은 취약하여 손상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더구나, 고정 및 가동 교조장치는 강한 지진운동에 쉽게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몇 개의 개선된 고무 베어링, 납-고무 베어링 그리고 제지선을 사용하여 전형적인 다경간 단순교와 다경간 강거더 연속교의 지진 응답을 평가하였다. 납-고무 베어링은 지진에 취약한 전형적인 교량의 응답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고무 베어링은 기둥의 요구량을 줄이지만, 다경간 단순교 강거더 교량에서 덱 사이의 강한 충돌을 유발시킨다. 제지선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다경간 단순교와 다경간 연속교의 지진에 대한 손상을 절감하는데 중간정도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4,200원
        7.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due to record breaking temperature and other factors, bridge expansion joint closing, damage of shoe, narrow distance between abutment and deck is occurred frequently. Therefore, traffic flow was interrupted and vehicle damage was occurred because of expansion joint stick out. In this study, in order to reduce damage of expansion joint and other bridge facilities and to ensure safety of infrastructure, field survey and consulting works are performed for 91 bridges that distance between expansion joint is closed. Based on this study, cause of expansion joint closing are analyzed and maintenance strategy is suggested.
        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has been in operation for 50 years. Bridges have increas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expressways. As the use of bridges continued to become obsolete, the organization and budget increased accordingly. Inspection techniques have also been upgraded. In this paper, the changes in the maintenance of expressway bridges are summarized in terms of the status, organization, budget, inspection technique,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and history management system.
        9.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important to operate appropriate measurement system of cable bridges for the efficien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he main results of study on the optimal construction detail method of measurement for individual cable bridge are described. In this paper, the basic guidelines for the cable bridges measurement system is presented such as sensor classification, installation location and performance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optimal measurement system of cable bridges on expressways.
        10.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important to operate appropriate measurement system of cable bridges for the efficien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he main results of study on the optimal construction detail method of measurement for individual cable bridge are described. In this paper, the basic guidelines for the cable bridges measurement system is presented such as sensor classification, installation location and performance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optimal measurement system of cable bridges on expressways.
        11.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re has been frequent shortage of expansion joint in expressway bridges. When that happens, maintenance budgets will be overloaded and not effective, so it is not easy to come up with a solution.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bridge inspection system that combines laser image sensing technology and automatic control technology, which have been recently applied in various fields. And this system was developed to measure bridge extension joints while traveling more than 80km/h.
        1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tenance costs will be increased due to the aging of the bridge. Most of maintenance activity is generally known for preventing and repairing the deterioration by de-icing salt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minimizing strategy of maintenance costs for the deterioration by de-icing slats of highway bridges.
        13.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차량충돌은 가장 빈도가 높은 교량 붕괴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재해에 대하여 대책 수립 및 관리의 필요성이 공익 안전을 위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 충돌로 인한 교량 피해에 대하여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험도 분석 단계는 세 단계로 구 분하였고, 예비위험분석 단계에서는 충돌의 발생가능성을 확인하며, 기본위험분석 단계에서는 발생가능성, 취약성, 중요도에 대한 위험도 점 수평가를 통한 위험도 등급을 산정하였다. 마지막 상세위험분석 단계에서는 위험도가 높은 등급에 대하여 상세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 는 예비위험분석과 기본위험 단계에 집중하여 위험도 등급 구분을 위한 네 가지의 급간분류법을 적용하였다. 충돌 사례와 분석 결과를 비교하 여 적절한 급간분류법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위험도 분석법은 유사한 재난에 대한 대책수립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14.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arried out an investigation about damage characteristic of substructure such as pier and abutment of highway bridge. The applied methodology was the average damage analysis according to service life. By using above methodology, damage characteristic of substructure penetrated water included de-icing salt was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area where was under heavy snow exhibited higher amount of average damage than that of the area where was under much less snow.
        15.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tenance costs will be increased due to the aging of the bridge. Thus, the maintenance strategy considering the damage characteristic of elements is needed for the efficient maintenance of the bridg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minimizing strategy of maintenance costs for highway bridges.
        16.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fe expectancy of bridges may be reduced mainly due to leakage, freeze-and-thaw, de-icing chemicals, and traffic volumes, which results in early deteriorations. This study suggests the bridge management strategies to extend the service life.
        17.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ridges have been collapsed due to disaster, and this has required much of expenses. Vehicle collision cause critical damage on Bridges. This paper focus on vehicle collision risk level for highway bridges. In this study use 4 classification, Natural Break based Interval, Equal Interval, Standard Deviation based Interval and Reliability based Interval.
        18.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valuates the load carrying capacity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bridge considering the strengthening effect.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bridge asset management plan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of load carrying capacity of highway bridges.
        19.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oal of research is that budget of maintenance were estimated in network-level bridges. We determined the life cycle of exchangeable bridge element with HBMS(Highway Bridge Management System) data and In-depth Inspection Results by the survival analysis probability model. We developed the method that predicted cost of maintenance in all of the highway bridge in korea considering a characteristics of failures.
        20.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uggest the preliminary data for effective maintenance of bridge structures, the damage patterns of expressway bridges are quantitatively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The defects are the primary damage, and the deterioration occurred around the joint.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