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코로나19로 인해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한국 교회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 것인가를 선교적 차원에서 논의한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코로나 시대에 선교적 교회의 교회론적 변화와 선교적 대응의 중요성을 고찰한다. 교회는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선교적 목적을 위해 세상으로 파송한 선교 공동체이다. 교회의 선교적 사명은 깨어진 세계 를 치유하고 인류와 화목하기 위한 하나님의 선교적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보냄 받았다. 한국 교회는 코로나19의 팬데믹 상황 속에서 제도화 된 선교적 관행이 아니라 선교의 본질을 성찰하고 새롭게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변화하는 세상에서 살아 숨 쉬는 소망을 간직한 공동체로서 교회 스스로 회심과 갱신, 변혁의 주체가 되어야 하고, 타자와 함께 하는 교회로 나아가야 함을 주장한다. 코로나 시대에 상생을 위한 교회론적 ‘뉴 노멀’ 패러다임을 모색하고, 연대와 책임을 통해 생명을 나누고, 시대적 변화를 읽고 적용하며, 선교 사명을 감당하 는 하나님의 선교 주체가 되어야 함을 강조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선교적 교회론 태동에 있어서 에큐메니칼과 복음주의 선교신학 안에 나타난 교회와 선교에 대한 선교신학 논쟁에 관한 연구이다. 두 진영이 갖고 있는 신학적인 입장과 차이들은 교회와 선교에 대한 서로 다른 진술들을 내놓았을 뿐만 아니라 선교에서의 교회 위치와 삶의 자리를 각각 달리 해석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선교에 대한 교회 역할에 있어 에큐메니칼 입장은 사회 참여와 변혁적 삶에 보다 치중하는 신학을 강조했다면, 복음주의 입장은 복음 전도와 영혼구원, 교회 개척에 보다 치중하는 신학을 강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진영의 인식론적 변화들은 화해를 모색하는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다. 선교에 있어서 교회의 삶의 자리는 복음 전도와 사회 참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임을 새롭게 인식했다. 무엇보다 두 진영의 지속적인 협력 모색은 통전적 선교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또한 상호간의 선교신학 보완을 위해 화해를 모색하게 되었다.
선교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본질적 활동이며 교회는 하나님 선교의 결실이라는 것과 지속적인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기 위해 존재하는 공동체이다. 또한 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통치를 선포하며 증언하기 위해 지상에 존재하는 가시적인 하나님의 백성이다. 그 가시적 백성인 교회가 하나님의 선교를 일차적으로 증언하고 선포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교회 안의 예전이며 목회 행정이다. 성찬을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이 선포되고, 세례를 통해 하나님의 선교적 백성들을 세상으로 파송하고, 예배와 설교를 통해 회중들에게 세상에서 선교적 삶을 살아가도록 도전하는 일이야 말로 선교적 교회의 가장 중요한 사역 중에 하나이다. 또한 목회 조직들을 선교적으로 재구성함으로 교회가 무엇인가를 새롭게 인식하고 세상에서 하나님의 선교를 실현하고 하나님의 통치를 선포하도록 도전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문화와 사회의 변화 환경의 주된 원인이 무엇이며, 이러한 변화에 따른 적절한 교회의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 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선교적 교회의 목회는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문화적 흐름과 변화에 앞으로 교회는 어떻게 대처하며, 선교적 시각에서 목회 갱신을 어떻게 이루어야 되는지를 논의하였다. 선교적 미래교회는 양적성장을 넘어서 질적인 변화와 성숙을 이루며, 크기보다는 건강한 교회를 추구하며, 활동보다는 의미를 중요시 하고, 지역사회와 관계적인 네트워크를 만들며, 소셜 네트워크와 미디어를 활용하여 소통해야 한다. 그리고 지역사회와 이웃으로부터 신뢰환경을 형성하는 교회로 변화 되어야 한다. 그리고 선교적 교회 목회 패러다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 끊임없는 교회 갱신과 질적 성숙을 위한 교육과 지역사회를 섬기는 봉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선교적 미래교회는 끊임없는 목회 갱신과 선교를 통하여 다음세대를 양육하고 성장시키며, 지역사회와 함께 나가는 것이 중요한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다.
It could be said that the Korean Church has improved through continuous diverse debates and division in its history. The debate in Korean Church history has begun after missionaries who came in early Korean Church history, so that it became different denominations. It my theses, I will study the diverse debate form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For this, I will divide the Korean Church history in several periods according to the most important events. The first period is the 1910's in this period the Korean Church was established. The second period is 1930's, where there was theological debate between conservative theologies and liberal theologies. The third period is 1950's, whe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began to divide. The fourth period is 1970's: in this period there was a lot of debate over indigenization and 'Minjung' theology and also the conservative theology which made the churches grow. The final period is 1990's, in this period, conservative theologians and church leaders made super-size churches expel two liberal theologians who tried to establish the Korean theology in a Korean context. In my thesis, I will study the debate forms of each period and transitional phases in Korean Church history. It would not be possible, of course, to study all the denominations of the Korean Church. Therefore, I will research the Korean Methodist Church and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as the Korean Methodist Church has been in existence since the arrival of early missionaries who first came to Korea and also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which has been most divided of the different denominations in Korean Church history. It could be helpful to find the new way of mission for unity and forgiveness in Korean church history.
Since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in Korea, there has been a remarkable growth in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despite its short history in the country. Subsequently, numerous churches have been and still are being founded in Korea, most of them being relatively new. Nevertheless, theological research conducted on the issue of ‘Church Planting’ has been not very fruitful. However, Peter Wagner began teaching about ‘Church Planting’ at the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the USA from the end of the 1970s, which influenced Korean scholars in Korea. Due to his influence, many Korean scholars also started to study the topic of ‘Church Planting’ in Korea since the 1990s. Fortunately, since then, many Korean scholars have studied ‘Church Planting‘ in varieties of diverse ways in order to make the Korean Church stronger. When I look at context of the Korean Church nowadays, I get the impression that the foundation of new churches will carry on continuously. Moreover, ‘Church Planting’ has to occur throughout time, for the completion of the mission which was given to us by Jesus Christ. Therefore, it is my hope that theological research on ‘Church Planting‘ would continue to grow and become more successful in the future. In my study, I will research the relationship of the development of churches throughout time, from when they were first set up. My research will give good directions in order to create a strong church heading, thus be useful to show how to set up a strong, new church in Korea. First of all, in my study, I studie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Church Planting’ in the Korean Church in Chapter II, followed by the introduction in Chapter I. I divided the form of ‘Church Planting’ in the Korean Church from the subject of church planting in Chapter III. In chapter IV, I subdivided the four forms of ‘Church Planting’ through each of the times, and I looked at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Church Planting’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and apply to the Great Revival Movement of Pyugyang 1907 by using the revitalization movement model of Anthony Wallace with the complement of the innovation model of Homer Barnet. Socio-cultural change is the result of any transformation of customs, values, and ways of thinks or behaviors in a society. The religious meaning of this change is the worldview change in a society as a form of religious conversion. Wallace defines revitalization movement as “a deliberate, organized, conscious effort by members of a society to construct a more satisfying culture.” In the process of revitalization there are three factors presented: (1) the perception of the culture as a system; (2) dissatisfaction with that system; and (3) an organized effort to change that system. The process of revitalization movement shares a common structure, consisting of the following five stages: (1) steady state; (2) period of increased individual stress; (3) period of cultural distortion; (4) period of revitalization(in this period there are six functions: formulation of a code, communication, organization, adaptation, cultural transformation, and routinization); and (5) new steady state. Anthony Wallace’s anthropological model of revitalization movement, in combination with Homer G. Barnet’s model of innovation can provide a useful framework for examining and understanding of the Great Revival Movement of Pyengyang 1907. He defines an innovation as “any thought, behavior, or thing that is new because it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existing forms.” The emphasis in this model is on the reorganization of ideas rather than on quantitative variation. Culture change takes place not when there is just more or less of the same thing, but when idea, a behavior pattern or a material object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existing forms. He has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change as he suggested the theory focusing on the innovator’s behavior pattern. As an outsider the role of the missionary is important, but the change agent is the indigenous leadership, the one who mainly influences on the decision on the reception of the socio-cultural change. The change by the outsider(or missionaries) may be destructive so that the cross-cultural witness should attempt to contextualize the gospel through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local culture, because they are the persons who use to bring sociocultural changes as well as individual change. In the end of the Chosen Dynasty, people had experienced a religious vacuum. The reasons were because Korean traditional religions, Buddhism and Confucianism, has lost their ability to provide people mental framework. This religious vacuum caused people to desire for fervently seeking a new religion. Also the Tonghak revolution and Chinese-Russian war and following the assassination of the queen Min drove people into fear and frustration. The year 1884 was one of the darkest eras in the Chosen history because there was no sign to resolve the current situation. Endemic disease spread all around the country accelerated the crisis and fear felt by the people. So people were trying to seek some solution to resolve the crisis. The stress level of people became increased, in fact, facing the crisis the colonial Japan began to occupy the country with power. In this circumstances there was a candle ignited for a revival by American Methodist missionary Hardie from Wonsan in 1903 August. In his confession we can find a transforming code for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and desperate situation, which was radical and super cultural. The revival movement started from Wonsan became spread to Kangwon province, Seoul, Gaesung, Pyugyang, and all around the country. Finally this movement exploded at Changdaehyun church in 1907 January. At that time, there were around 1,000 men for bible studying meeting and missionaries gathered for noon prayer meeting. Then how can the code as a spiritual awakening be interpreted and communicated by the Korean believers? The revival movement as a renovative code was interpreted and communicated as means of salvation, and it was diffused to beyond Pyungyang. The leaders of the movement included Korean church leaders such as Kil Sunju, Chun Kyeeun, and Chung Chuhsoo as well as foreign missionaries. They had lead revival meetings with a clear motivation to breakthrough the desperate situation in faith, which were combined with the prayer meetings of the missionaries. In fact, the Korean church leaders were involved in the revival movement with a strong desire to find a clue of overcoming the crisis, while the missionaries started the revivals with repentance and reflect of their mission works. But these two different motives were directly connected to the Great Revival, and they were finding a new code and goal culture. The Great Revival movement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to rapidly grow churches and to encourage evangelism among Korean churches through making young people to commit their lives for ministry, and to develop church structure. A turning point made by the Great Revival movement was the organization of the church structure, the unity of denominations, and missionary endeavor such as working together for medical and educational mission works. The Great Revival was really successful, and it had influenced on the development of the church structure, theology, and church growth. It can be evaluated that not only did it include repentance and awakening in a spiritual dimension, but it was closely related to socio-cultural transformation. So it is a crucial factor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and political dimensions of the Great Revival movement. From a missiological perspective, socio-cultural change must include a transforming factor of the gospel. Any socio-cultural change in Christianity is not merely the change of individual's mind and behavior, but should be extended to social and cultural movements. During socio-cultural changes, the role of the church is to provide a valid biblical framework in order for people to change their worldview to biblical one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theological agenda for a relevant contextual theology to overcome the gospel reductionism and syncretism. To some extent, critical evaluation to the Great Revival movement might be something that it had done in an American form of Christian faith. In this reason, from the beginning the Korean Christianity had difficulties to indigenize and contextualize the gospel, difficulty that it was to transplant the gospel message into the Korean soil. In this respect it is suggested a problem that the movement has hardly contributed to the contextualize the gospel for the Korean church. Though there a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o the Great Revival movement, it must be the crucial event that the Korean church today reexamines and rediscovers as the event that has a huge contribution for the formation of Korean believers’ faith pattern in the critical time when the country lost her national right and identity. The challenge the Korean church are facing is that the church has to attempt to discover a new code and ideal culture that can inspire in believers’ mind and diagnose the today’s crisis through the Bible and the church history.
이 논문은 WCC를 중심으로 20세기 세계에큐메니칼 운동의 역사와 방향을 평가하고 21세기의 시대의 징조와 신학적 변화를 고찰하고 한국교회의 에큐메니칼 운동의 방향을 찾는데 기여하려는 목적이 있다. 20세기 현대 에큐메니칼 운동은 선교, 봉사, 신학의 일치에서 WCC의 창립으로 이어 졌고, 그후 현대 에큐메니칼 운동은 교회일치, 정의와 평화, 생명보전의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21세기는 세계기독교의 중심이 남반구로 이동하였고, 경제적 양극화와 다원주의, 문명충돌과 같은 문명전환 현상들이 나타나면서 서구 기독교가 세운 에큐메니칼 질서가 전반적으로 해체되는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그 결과 세계 에큐메니칼 신학은 생명과 창조, 화해와 치유, 다양성 속에서 문화적 정체성, 삼위일체론적 보편주의를 강조하게 되었다. 과연 세계 교회와 에큐메니칼 운동은 자본이 지배하는 이 질서 속에서 성령의 역사를 의지하고 예언자적 특성, 신학적 지성, 지도자들의 도덕성을 회복해 갈 수 있을까? 그리고 에큐메니칼 운동은 유럽기독교와 비유럽 기독교의 갈등을 해소하고 미래를 열어갈 수 있을까? 제10차 WCC 부산총회 이후 세계교회는 한국교회가 신학적으로 재정적으로 유럽 교회와 비유럽 교회들 사이에 다리를 놓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한국교회는 여러 측면에서 쇠락의 징후를 보이고 있어서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는 일이 쉽지 않다. 향후 10년 동안 한국교회의 영적 에너지를 어떤 곳에 투자하느냐에 따라 한국교회의 미래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변혁기마다 여성들은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누구보다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가장 앞장서서 창조적인 사역의 길을 개척하고 여성공동체를 형성하여 교회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성장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교회가 안정화되면, 여성들만의 특수성을 가졌던 여성공동체는 전체공동체에 흡수 혹은 통합됨으로써 여성들이 다시 소외되는 역사를 반복하였다.
본 글은 여성공동체가 ‘창의적 사역 개척 – 여성공동체 형성 – 통합위원회로 변화 – 여성의 특수성 약화’라는 역사의 순환을 반복했기 때문에 교회 안에서 여성의 참여가 안정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이 현상은 오늘날 교회에서 여성, 청년, 장애인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세계교회협의회 역시 마찬가지였다. 20세기 초 교회론의 변화에 따라 여성의 입지가 약화 되는 상황에서, 여성 에큐메니칼 선구자들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공동의 성찰과 에큐메니칼 대화를 통해 여성운동과 에큐메니칼 운동을 동시에 전개 하면서 세계교회협의회의 형성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 결과, 교회에서 여성의 활동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평신도 신학을 정립하여 20세 교회론의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 대표적인 지도자는 사라 차코, 캐슬린 블리스, 마들렌 바롯, 그리고 수잔 드 디트리히가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평가는 미미하다. 그 이유는 이들 역시 여성위원회를 평신도분과로 변경하여 남성과 여성이 함께 하는 통합공동체를 기대했으나, 다시 부서가 남성 위주의 조직으로 변경되어 오히려 여성의 입지가 축소되고, 여성 사역의 토대마저 다시 잃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성의 권위가 신장된 공동체라고 하더라도 여성위원회의 존립은 매우 중요하다. 본 글은 세계교회협의회 임시위원회(1938)부터 에반스톤 중앙위원회 (1955)에 이르기까지 여성위원회의 활동에 대한 에큐메니컬 운동을 연대순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에는 세계교회협의회 집행위원회 또는 중앙위원회의 회의록, 세계교회협의회 문서보관소 및 세계 YWCA 문서보관소에 있는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글의 결론으로 교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완전하고 동등한 참여를 위해서는, 여성공동체는 전체 공동체의 일치를 보호하고, 전체공동체는 여성 공동체의 특수성을 배려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성숙한 관계 형성과 여성과 남성의 동등한 사역 참여는 진정한 교회 개혁의 가시적인 표현이며 다가오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새로운 기독교 문화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장로교회 동사목사의 기원과 제도적 확립 및 확장과정, 폐지에 이르는 역사적인 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동사목사라는 직제는 미국장로교회의 영향으로 1909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제3회 노회에서 8명의 한국인 목사를 선교사와 함께 일하는 동사목사로 임명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이 직제는 제도적 확립과 확장 과정을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확대 시행되어 1914년 제3회 총회에서 목사를 위임목사, 임시목사, 위임동사목사, 임시동사목사로 구분했으며, 1917년 제6회 총회에서는 목사를 칭호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하고, 1929년 제18회 총회에서 헌법 중 정치 제4장 4조에 목사칭호 조항을 추가함으로서 동사목사의 제도적 확립을 완결했다. 목회 현장에서는 선교사와 한국인 동사목사 뿐만 아니라 1920년대를 전후해서는 한국인 위임목사와 한국인 동사목사가 함께 목회하는 형태로 발전했다. 이후에는 한국인 위임목사와 위임동사목사, 한국인 위임목사와 임시동사목사가 목회하는 형태로 세분화 되었다.
동사목사 직제는 한국장로교회 안에서 공동목회를 통한 협동적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했는데, 이와 같은 직제가 해방 이후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면서 지속된 것을 보여주는 사례가 영락교회에서 한경직과 강신명이 위임목사와 동사목사로 공동목회를 한 경우다.
그러나 동사목사 직제는 1955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제40회 총회에서 부목사 직제를 신설하면서 폐지되었다. 이런 결정은 동사목사 직제의 역사적 공헌을 간과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결국 동사목사의 폐지와 부목사의 신설은 공동목회를 통한 협동적 지도력 대신에 위임목사 중심의 단일지도체제로의 변화를 가속화시키는 전환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