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골프커뮤니티 시설을 이용 중인 이용객을 대상으로 서비스스케이, 긍정적 감정 반응 및 이용 만족이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2023년 11월 9일 ~ 2024년 6월 17일까 지 242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커뮤니티 시설의 서비스스케이프는 긍정적 감정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스케이프의 공조환경, 공간배치가 이용 만족에 부분적으로 영 향을 미치며, 이는 제공되는 환경적 수준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특히 청결한 환경에서 이용하길 원하는 지금의 이용객 성격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긍정적 감정반응은 이용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시설을 이용하는 대부분에 이용객들은 일상, 즉 삶과 밀접한 장소를 선 호하며, 특히 생활권 내 시설 이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평가되는 만큼 시설에 대한 보수 정비 그리고 운 동환경에 대한 적절한 대비책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최근 일하는 여성의 증가로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 영유아가 기관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고 보육교사의 중요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보육교사는 부모를 대신하여 영유아의 전인적인 발달 을 돕고 발달 수준에 맞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유아는 무엇보다 안정적인 보육환경이 중요하며, 보육교사의 근무환 경은 영유아의 발달을 위해 우선되어야 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이론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긍정심리자본이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보육효능감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긍정심리자본이 보육효능 감을 향상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언한다. 첫째,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을 향상하기 위하여 인력지원체계의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함께 보육효능감을 향상할 수 있 는 환경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감성지능을 향상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긍정심리자본이 보육효능감 과에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감정 노동과 긍정심리자본이 보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긍정 심리자본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표면적행위, 내면적행위)은 직무소진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감정노동(표면적행위, 내면적행위)은 긍정심리자본(자기효능감, 희망, 회복력, 낙관주의)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자기효능감, 희망, 회 복력, 낙관주의)은 직무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의 표면적행위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력, 낙관주의)은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소진을 줄일 수 있는 방 법을 모색하고 해결을 위한 긍정심리자본을 높여야 한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은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립산림치유원에서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1박 2일형 ‘행복학교 에듀힐링 캠프’에 참가한 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해소와 긍정・부정감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산림치유프 로그램 참가 전과 후의 스트레스 반응 지수, 긍정・부정감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그 차이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가한 교사들의 스트레스반응 지수와 하위 영역인 신체 증상, 우울 증상, 분노 증상이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교사 직책별(비담임교사, 담임교사, 부장교사, 교장, 교감) 스트레스 감소효과에서도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숲에서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저감과 부정감정 해소에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스트레스 위험에 노출된 교사들을 위하여 적극적인 산림치유 활동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 비디오 플랫폼 환경에서 동영상 기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와 타인 들 간의 관계가 사용자의 긍정적 감정과 사회적 소속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해당 연구에서는 사 회 충격 이론(Social Impact Theory)과 자기 점검 이론(Self-Monitoring Theory)이라는 심리학 이론을 토대로 동영상 기반의 새로운 상호작용 수단을 활용한 대안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동영상 기반의 소셜 비디오 플랫폼 환경을 구축 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ANOVA 분석 결과, 동영상을 보는 환경에서 타인의 모습이 실시간으로 보일 때, 또는 나 자신의 얼굴이 화면에 함께 제시될 때, 그렇지 않을 때 보다 사용자는 긍정적인 감정과 사회적 소속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의 두 조건이 동시에 제공될 때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사용자들이 느끼는 긍정적 감정의 증가 폭이 더 컸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궁극적으로 새로운 소셜 비디오 플랫폼의 형태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ustomer perception o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influences positive emotion on internet shopping and relationship formation.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from February 20th to March 3th in 2012 to 362 adults who have purchased the products from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The analysis explores the effect of internet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on positive shopping emotion and relationship quality. It also tests th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shopping emotion for the influence of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on relationship qua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had positive effects on relationship quality. Second, the perceived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had positively effects on positive shopping emotion. Third, the effect of positive shopping emotion had positive effects on relationship quality. Fourth, the effect of perceived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on relationship quality, mediated by positive shopping emotion, was shown to be n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service failure magnitude on perceived justice, positive emotion, and revisit intention at restaurants between a collectivist culture(Korea) and an individualistic culture(United Stat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a customer`s perception of service failure magnitude, the lower the perceived recovery justices in both cultures. The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s had a favorable effect on positive emotions in both cultures. Other findings revealed that interactional justice was the best predictor of revisit intention in Korea, while distributive justice was the best determinant of revisit intention in the United Stat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global restaurant managers need to understand how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s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failures in order to develop a highly targeted and effective service recovery.
Purpose - The study aims to provid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ocial servicescape and customer’s emotion and voluntary behavior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social servicescape was largely divided into service employee’s image and other customers (in customer’s similarity, physical appearance and suitable behavior).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employee’s image and customer’s positive emotion was investigated as a specific purpose of study. Secondly,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customers (in customer’s similarity, physical appearance and suitable behavior) and customer’s positive emotion.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positive emotion and customer’s voluntary behavior dimension (intention to cooperat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nd loyalty) was examined.
Research design, data, & methodology – In order to prove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the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d family restaurants during the last two months were targeted for a survey. A total number of 300 survey papers were distributed and as a result, 248 papers could be used for analysis, except the papers with insincere answers. After the analysis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major variable,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e method by using Amos 20.0.
Results - First,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rvicescape and customer’s positive emotion showed service employee image gives a positively meaningful impact on customer’s positive emotion. Secondly, the resul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customers and customer’s positive emotion indicated that the customer’s similarity and physical appearance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s emotion while customer’s suitable behavior has not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ustomer’s positive emotion Lastly, customer’s positive emotion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s voluntary behavior dimension, that is, intention to cooperat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nd loyalty.
Conclusions - This study aims to focus on and emphasize the social servicescape and its importan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have been focused largely on physical servicescape. Such results in this study indicated the social servicescape (service employee’s image and other customers) a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customer’s positive emotion and voluntary behavior.
Purpose - Present study investigates character identification and emotional response to character that may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the character-attached products. And this study explores whether symbolic relevance and object relevance affect the character identification, and whether character attractiveness and character salience affect the emotional response to charact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SNS characters, animated characters, game characters, and traditional characters were used as experimental characters. And stationery as experimental product was used. 25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mpirical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hypotheses. Results - First, the character identification and emotional response to characters affected the intention to purchase the products positively, and the emotional response to characters also positively affected character identification; second, symbolic relevance had no positive impact upon character identification, while object relevance had positive influence on character identification; and third, character attractiveness and sa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response. Conclusions - Present study contributes to the progress of character theories. Marketers should find ways to increase consumers’ object relevance to characters and the level of characters' attractiveness and salience in order to promote the intent to purchase the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