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교와 특수학교의 학교 환경에 따른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배포된 설문지는 통합학교 20부, 특수학교 20부 총 40부였으며 이 중 18부(45%)가 회수 되었다. 무응답 또는 다중 응답 문항이 있는 설문지 2부를 제외한 총 16부, 통합교육 대상자 총 4명, 특수교육 대상자 총 12명의 결과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대상 학생을 4개월 이상 관찰한 교사가 본 연구의 평가도구인 적응행동검사(Korea Adaptive Behavior Scale; K-ABS)와 학교기능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결과 : 통합교육 환경과 특수교육 환경에 따라 SFA와 K-ABS를 비교한 결과, K-ABS의 사회적 적응요인에서 통합교육 집단에서 특수교육 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5). 각 학교 환경에 따른 집단내 SFA와 K-ABS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특수교육 환경에서 SFA와 K-ABS의 하위항목 간 상관관계를 이루는 항목이 더 많았다. 결론 : 연구를 통하여 통합교육 환경이 장애학생의 전반적인 적응능력과 학교생활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작업치료사로서 학교작업치료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장애학생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수행은 교육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작업치료사는 장애학생의 교육의 질과 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할 것이다.
        4,200원
        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초등 특수학급 아동과 특수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장애아동의 적응행동을 검사하는 적응행동검사(Korea Adaptive Behavior Scale; K-ABS)와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학교기능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를 적용하여 장애유형별 특징을 알아보고 두 평가도구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 장애유형은 지적장애, 뇌병변 장애, 발달장애였으며, 아동을 6개월 이상 지도한 선생님을 통하여 설문지 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67부로 이를 가지고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 전체 장애아동에 대한 K-ABS와 SFA의 Pearson 상관관계는 .93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장애유형에 따른 K-ABS 총점과 SFA 총점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K-ABS와 SFA의 상관관계가 입증되었으며, 이후에는 보다 구체적인 장애분류를 통해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후 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000원
        3.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FES가 낙상 경험을 예측하는 선별 기준값을 구하고 FE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낙상 경험의 예측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발병 후 낙상을 경험한 횟수를 기록하고 낙상 효능감 척도(Falls Efficacy Scale; FES)를 이용하여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인지 평가는 한국판 간이정신 상태 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MMSE-K), 우울증은 한국판 노인 우울증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version; GDS), 일상생활동작 수행 능력은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하지 근력 측정은 앉아서 일어서기 검사(Sit to Stand test; STS), 상·하지 마비측 운동 기능은 퓨글마이어 상·하지 운동 기능 평가(Fugl Meyer-Upper, Lower/Extremity; FM-U/E, L/E), 동적 균형 능력은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 기능적 이동성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 Go test; TUG)를 이용하였다. 낙상 예측의 FES 선별 기준값(cutoff value)을 결정하기 위해 수용자 작업특성곡선(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ROC curve)을 이용하였고 FES와 낙상 경험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과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전진 wald)을 실시하였다. 결과 : 낙상 경험을 예측하는 FES의 선별 기준값이 14.5점 이상이면 낙상의 위험요소를 가졌음을 예측할 수 있는 기준점이 되며, 14.5점 미만이면 비다발성 낙상자로 할 수 있다. FE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TUG, 낙상 경험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FES가 낙상군과 비낙상군을 선별하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변수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 : FES는 낙상의 두려움에 대한 낙상 관련 자기 효능감을 평가하고 기능적 수행 능력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낙상 경험의 위험성을 예측하는데 신뢰할만한 평가 도구로 임상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추후 개개 환자들의 낙상위험요소를 포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신체 기능을 평가하는 정량적인 분석과 더불어 심리학적인 요소가 추가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600원
        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물조작능력 분류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를 이용한 뇌성마비 아동 사물조작능력과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를 이용한 기능적 능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 16개의 장애인복지관에서 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하는 186명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사는 MACS를 통하여 아동을 분류하였으며, 부모들은 PEDI 설문지를 통하여 아동의 기능적 능력을 평가하였다. MACS와 PEDI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기위하여 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를 이용하였으며 MACS 각 단계별 기능적 점수의 차이는 ANOVA 분석과 Bonferroni의 사후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 186명의 아동 중 남자는 105명, 여자는 81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7세 5개월(4세~13세 7개월)이었다. MACS와 PEDI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MACS 단계별로 신변처리 영역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r=-.79),이동하기 영역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r=-.77). MACS 각 단계별 신변처리 능력의 차이를 보면, 1단계와 2단계를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동 능력은 모든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MACS에 의한 분류는 뇌성마비의 기능적 기술 중 신변처리와 이동하기 기능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MACS 단계를 통하여 뇌성마비아의 대략적인 기능적 기술을 설명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임상적으로 폭넓은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5.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s of the Trunk Control Test (TCT),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TC), and Trunk Impairment Scale (TIS) and to compare the TCT, PASS-TC, TIS and its subscales in relation to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after stroke. Sixty-two stroke patients attending a rehabilit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the study. Trunk control was measured with the use of TCT, PASS-TC, TIS balance (Berg Balance scale; BSS), gait ability (10 m walk test),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uned Up and Go Test TUG) and the mobility part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Fugl Meyer-Upper/Lower Extremity (FM-U․L/E). The scatter-plo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omposed for the total scores of the TCT, PASS-TC, and TI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trunk control on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wenty eight participants (45.2%) and twenty participants (32.3%) obtained the maximum score on the TCT and PASS-TC respectively; no subject reached the maximum score on the Trunk Impairment Scal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IS and TCT (r=.38, p<.01), PASS-TC (r=.30, p<.05), TCT and PASS-TC (r=.59, p<.01).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BBS score (β=.420~.862) had slightly more power in predicting trunk control than the . TIS-dynamic sitting balance, TUG and the MBI-mobility part. This study clearly indicates that trunk control is still impaired in stroke patients. Measures of trunk control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values of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he results imply that management of trunk rehabilitation after stroke should be emphasized.
        4,000원
        6.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a visual analysis scale and functional visual analysis scale regarding functional capacity. A total of 7 consecutive patients with the complaint of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who received this diagnosis from a sports medicine physician were recruited to assess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on Visual Analog Scale (VAS) and Functional Visual Analog Scale (FVAS), functional capacity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The exercise rehabilitation consisted of a complex training program requiring five treatments a week for eight weeks. The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four phases, and each lasted for two weeks. Statistical analyses were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S and FVAS during 8-weeks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p<.01).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 capacity during 8-weeks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p<.05). In conclusion, at the end of the eight weeks of this rehabilitation program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a significant reduction was found in VAS and FVA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capacity at the end of the treatment.
        4,000원
        7.
        202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작업기억에서의 인지적 능력에 따른 골프퍼팅의 정확성과 일관성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인지적 수 행능력과 실제수행능력 사이의 기능적 관련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방법: 이전에 골프퍼팅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남자대학생 20명과 여자대학생 10명, 총 30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구성된 프로그램(MCM; Movement Cognition Measurement)을 이용하여 참여자들의 골프퍼팅에 대한 작업기억에서의 인지적 수행능력을 먼 저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기준으로 인지적 수행능력이 높은 상위 15명과 상대적으로 낮은 하위 15명으로 집단 을 분류하였다. 모든 참여자들은 1m, 2m 그리고 3m의 거리에서 각각 10회씩, 총 30회의 퍼팅을 수행하였다. 측정 된 데이터는 퍼팅수행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분석하기위해 반경오차와 가변오차 값으로 변환되었다. 아울러, 인지적 수행의 정확성과 퍼팅수행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작업기억에서의 인지적 수행능력이 높은 집단이 낮 은 집단에 비해 실제 퍼팅수행의 정확성과 일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업기억에 서의 인지적 수행과 실제 퍼팅수행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기억에 서의 인지적 수행능력이 실제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인지적 수행능력이 좋아질수록 실제수행능 력도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종합해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기억에서의 인지적 능력과 실제 수행 이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기능수행의 향상에 인지적 능력이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