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역기하렌즈 착용 후 안광학 성분들의 변화에 대한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7세에서 15세 사이의 -1.00D에서 -6.50D 이하, 총 27명(54안)을 대상으로 역기하렌즈 착용 전, 3~6개월, 7~12개월, 13~24개월, 25~36개월 후의 나안시력, 동공직경, 각막두께, 전방깊이, 각막곡률반경, 굴절교정 값의 변화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과: 역기하렌즈를 착용하기 전의 나안시력은 0.33±0.19, 3~6개월 후에는 0.97±0.14로 0.63±0.22향상되었고, 7~12개월 후에는 0.95±0.17로 0.61±0.23만큼 향상되었으며, 13~24개월 후에는 0.91±0.22로 0.57±0.27만큼 향상되었고, 25~36개월 후에는 시력 0.86±0.27로 0.52±0.32만큼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5). 굴절교정 값의 변화는 12개월까지는 변화가 없었고, ㅓ 13~24개월은-0.19±0..50D로, 25~36개월은 -0.30±0.62D로 증가해 통계적으로 유의(PV0.05)한 변화를 보였다. 각막곡률반경은 3~6개월은 1.45±0.97mm로, 7~12개월은 1.40±1.12mm로, 13~24개월은 1.26±1.34mm, 25~36개월은 1.08±1.54 mm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5). 각막두께는 3~6개월은 2.21±10.70 Чm로, 7~12개월은 1.21±12.42 Чm로 감소했지만 유의하지 않았고. 13~24개월은0.79± 1..17± m로, 25~36개월은 1.93± 13.97 μm증가했지만 유의하지 않았다. 동공크기는 3~6개월은0.18±0.64mm로, 7~12개월은 0.20±0.64 mm, 13~24개월은 0.14±0.53 mm로, 25~36개월은 0.25±0.56mm 감소해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5). 전방깊이는 3~6개월은 0.66±0.08 mm, 7~12개월은0.03±0.99mm 로 유의하게 감소했으며(P<0.05), 13~24개월은 0.03±0.13mm 감소했지만 통계적으로는유의(P=0.14)하지 않았고, 25~36개월은 0.05±0.14 mm 감소해 통계적으로 유의(P<0.05)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역기하렌즈를 착용하고 36개월 동안 나안시력이 향상되고, 굴절교정 값의 변화는 크지 않았으며, 각막곡률과 동공크기 및 전방깊이 등의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4,300원
      2.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조절마비제를 투여한 근시안 아동에서 나안시력의 변화에 따른 구면굴절이상과 난시량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안경착용경험이 없고 시력저하를 호소하여 내원한 초등학교 아동 34명(68안)에 대하여 나안시력, 교 정시력, 구면굴절력, 난시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조절마비제는 Midrin-p(phenylephrine 1%, tropicamide 1%), Homatropine(homatropine 1%)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5분간 3회 투여하였다. 구면굴절력 및 난시 량의 측정은 RK-5(Canon, Japan)를, 나안시력 및 교정시력의 측정은 한식시력표(한천석 3m용 시표)를 사용 하였고 통계프로그램은 Origin 8.0을 사용하여 P
      4,000원
      3.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농촌과 도시 거주 초등학생의 굴절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경상남도 소재 농촌 지역의 3개 초등학교와 도시지역의 1개 초등학교에 다니는 166명의 어린아이(저학년 36명, 고학년 47명)를 대상으로 자각식 굴절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나안시력은 농촌과 도시 학생에서 각각 0.75±0.34, 0.45±0.38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5.68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 학생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84±0.25와 0.54±0.37(t=4.088, p=0.000) 및 0.68±0.39와 0.39±0.38(t=3.989,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농촌학생(-0.52±1.02D)과 도시 학생(-1.60±1.80D)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4.86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 학생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14±0.48D와 -0.97±1.32D(t=5.048, p=0.000) 및 -0.81±1.21D와 -2.08±1.98D(t=5.051,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설문조사에 의한 시력 관리와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시력 검사 주기는 농촌 학생은 74.7%가 `6개월~1년`, 도시 학생은 66.3%가 `6개월`이었으며, 시력검사 장소는 농촌 학생은 `학교`, 도시 학생은 `안과`가 가장 많았다. 평일 TV 시청 시간과 공부 시간, 전기스탠드의 사용 여부는 지역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 거주 환경에 따라 시력 관리 실태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영양제 복용, 컴퓨터 사용 시간, 전기스탠드의 위치, 공부 자세 책과의 거리, TV와의 거리 등은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도시 지역이 농촌 지역보다,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시력과 관련된 환경적 요인에 따른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환경에 맞는 효율적인 시력관리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200원
      4.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thokeratology는 RGP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각막에 물리적인 압박을 가해서 근시도를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자는 동안 렌즈를 착 용했을 때 시력과 근시도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한다. 21 명의 근시자(평균 나이 11.3 ::t 2 .1세)를 대상으로 역기하학 디자인의 RGP 콘택트렌즈를 잠잘 때에만 착용시키고 1 개월 동안 추적관찰하였다. 렌즈를 처음 착용하고 1 일째, 3 일째, 7 일째, 14 일째, 21 일 째 및 30열째 나안시력과 자각삭 굴절검사 및 세극등검사를 실시하였다. 렌즈를 착용 하기 전과 비교하여 1 개월 동안 렌즈를 착용했플 때 나안시력과 자각식굴절검사값은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나안시력의 평균 변화도 0.66 ::t 0.24, 자각식굴절검사값의 평균 변화도 2.30 ::t 1.18 Dl. 이상의 결과로부터 overnight orthokeratology 는 일시적으로 관시도를 감소사키고 근시진행을 조절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측정실 조도 150 lux, 시표면 조도 400 lux 인 상태에서 시표투영기 ACP-7올 사용 하여 나안시력올 측정하였고, 0.1 시력에 미치지 못하는 사람은 거리이동법으로 시력 올 측정하였다. 그리고 해당하는 시표의 반수 이상올 바르게 용답했올 때의 시력율 나안시력으로 기록했다. 조절마비제률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RK-3으로 타각적 굴 절이상올 측정하였으며 vision tester를 이용해서 타각적 굴절이상 측정결과에 +3.00 의 구변렌즈를 부가하여 20분 동안 조절해제시간올 부여한 후 0.25D씩 구면렌즈를 감소시켜 0.50시력에서 방사선시표를 이용해서 난시축과 도수를 검출했으며, 둥가교 차원주렌즈로 난시축과 도수를 세밀하게 조정했다. 완전교정도수는 적록테스트를 이 용하여 적색바탕의 혹륜과 녹색바탕의 혹륜의 선명도가 동일했올 때의 도수로 결정 했다. 상관분석올 실시한 결과, 완전 교정된 상태에서 나안시력과 구면도수와는 0.74(P< 0.001), 원주렌즈도수와는 0.34(P<0.05), 둥가구면도수와는 0.79(P < 0.001) 의 상관성올 보여 구면렌즈의 굴절력이 원주렌즈의 굴절력보다 나안시력에 더 많은 영향올 미침 을 알았다. 회귀분석을 한 결과 나안시력 = (0.01 x 원주렌즈 굴절력)+(O.13X 구연렌즈 굴절력) +0.72( 전체 설명력 0.59, P<0.15) 의 1 차 회귀식을 얻올 수 있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