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1.
        202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우즈베키스탄과 농업협력강화를 위한 유망분야로 제시된 체리산업은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제조업 육성 정책과 연계되는 사업으로 고용창출 및 경제개발 지원 효과 등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지원이 가능한 분야임. 2. 최근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주스 원액 제조 등 가공 산업의 개발을 통해 제조업 육성 정책 마련하고, 수출 기업들에게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GAP의 인증 취득을 독려하고 있어 향후 수출 증대를 통한 농산업 발전이 기대됨. 3. 우즈베키스탄의 체리 산업은 현지 진출한 기업의 관심 분야이나, 체리 수출시 우리나라 검역관이 파견되어 상주하는 비용 등을 우즈베키스탄 생산자가 부담해야 하는 등의 이유로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 4. 향후 대 우즈베키스탄과의 농산물 교역 확대를 위해서는 기술지원 뿐 아니라 생산, 유통, 검역, 수출 등 가치사슬 전반을 고려하여 양국 협력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해야함.
        4,200원
        6.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산업의 성장이 국내 농산물에 대한 원료 수요 확대로 직접적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요인은 국 산 농산물을 원료로 사용하기에는 높은 가격이나 안정적인 조달의 어려움과 같은 제약조건이 존재하기 때문 이다. 식품산업과 국산 농산물 간의 연결고리가 이와 같이 약하다는 것은 사실상 국산 농산물을 식품으로 가 공하여 전적으로 수요를 확대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성 있는 품목을 발굴하는 것이 우선적 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간 정부에서는 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여왔다. 이 과정에서 지역단위의 농업조직이나 지역농업클러스터는 원료조달과 공급이라는 일차적인 연계를 넘어서 인프라 등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연계의 또 다른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농업과 식품기업의 연계에 는 정부의 지역단위 농업활성화를 위한 각종 지원 정책 이외에도 국산 농산물을 원료로 사용하는 식품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안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8.
        200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적을 활용한 안전농산물의 생산량 증대는 그동안 잔류농약의 문제로 수출이 중단되곤 했던 파프리카를 비롯한 딸기 등 여러 종류의 농산물 수출에 있어서 잔류농약의 문제를 해결해 주어 수출경 쟁력을 높이기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천적을 활용한 생물학적방제의 산업화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종전의 화학농약과는 달리 천적을 활용한 수출농산물의 잔류농약 문제는 해결되었으나 천적을 활용하여 방제한 농산물에서 종종 천적이 묻어 나가는 경우와 일부 해충이 묻어 나가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의 국립식물검역원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산물 수입국과 한국의 천적을 활용한 농산물 수출에 있어서 간혹 천적 및 해충이 묻어 나가는 경우에 대하여 사용된 천적과 수입국에도 분포하고 있는 일부 해충들에 대하여 수입국의 검역기관과 양허체결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문제가 발생된 후에 양허체결이 처리되는 사례가 있어서 일부 수출농산물이 반송 또는 훈증 처리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곤 하였다. 천적을 생산하는 산업체와 검역 기관에서는 천적을 활용한 농산물의 수출에 있어서 위와 같은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상호공조 및 역할분담을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이후에는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5,400원
        10.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With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usiness models of agricultural sector are changing rapidly toward convergence and high value-added business models due to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al. Our goals is to examine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then to apply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future agriculture, and then linking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produc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s the methodology, case studies and empirical analyzes were conducted as well as literature studies. The case analyses included tomatoes, pig breeding farms,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HP analysis by experts of the 6th industrialization. In addition, using 124 survey data,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item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for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the strengthening of export competitiveness. Results - Results showed that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elped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the strengthening of export competitiveness" using two successful cases. The AHP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and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technolog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uld contribute to the future industrialization as well as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First of all, we looked many conditions were important and urgent. Among th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bile, big data were important. Moreover, it was recognized that linkage and convergence related efforts would greatly contribute to strengthening export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e such as price and quality competitiveness. Conclusions –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hyper-connectivity, hyper-intelligence and hyper-predictability contribute greatly to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agricultural sector by using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based on analyses of the diamond model, the "demand condition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activation of the 6th Industrialization, and then "related and supporting fields", "factor conditions" and "business context" were followed in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policy, practical and academic sectors.
        11.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농촌 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현상, 도농소득격차의 심화로 농촌의 부정적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농업부가가치 및 농 가 소득이 정체되는 것을 타파하기 위해 농업 6차산업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농업 6차산업의 활성화를 추진하고 이에 대한 발전전략 연구를 위해서 농업 6차 산업의 개념과 의미를 정의하고 농촌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농 촌산업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일본의 성공적인 6차 산업의 현황과 포장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한 후 농촌산업의 활성 화를 위한 6차산업 발전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농업 6차산업의 기대효과는 농업의 고부가가치화, 농가소득 증대, 농촌경 제 활성화를 위한 6차산업화와 농촌산업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농산물 생산뿐만 아니라 가공, 제조, 체험, 관광, 숙박, 농가레스토랑, 판매 등 모든 분야가 융.복합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상품판매를 위한 포장디자인은 농산물 소비량 증대와 농촌경제를 성장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한 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12.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농촌 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현상, 도농소득격차의 심화로 농촌의 부정적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농업 부가가치 및 농가 소득이 정체되는 것을 타파하기 위해 농업 6차 산업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농업 6차 산업의 활성화를 추진하고 이에 대한 발전전략 연구를 위해서 농업 6차 산업의 개념과 의미를 정의하고 농촌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농촌산업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일본의 성공적인 6차 산업의 현황과 포장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한 후 농촌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6차 산업 발전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농업 6차 산업의 기대효과는 농업의 고부가가치화, 농가소득 증대,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한 6차 산업화와 농촌산업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농산물 생산뿐만 아니라 가공, 제조, 체험, 관광, 숙박, 농가레스토랑, 판매 등 모든 분야가 융.복합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상품판매를 위한 포장디자인은 농산물 소비량 증대와 농촌경제를 성장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한 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1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easible policy direction of the 6th industrialization in agriculture based on the current agricultural and rural environment in Korea. To do so, this study employes a heckman selection model to correct a probable selection bias, utilizing the Korean agricultural census in 2010 and the agricultural statistics of farm enterprises in 2011.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of the farm and off-farm income determinants, according to conjoint types of the 6th industrialization such as Type 1 (primary+secondary+tertiary) vs. Type 2 (primary+secondary or primary+tertiary). The empirical results show Type 2 has much higher possibilities to earn farm and off-farm income in Korea, especially for farm enterprises. This study concludes with providing some policy implications reflecting rural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in Korea.
        1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sidents' and village leaders' complementary demand for the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and 6th industrialization in the rural. Based on the field expert'(the head of the village or the chairmen of the farming association) interview,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study, 42 villages where selected to consider as 6th industry. Cross table were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of demand and consideration for between the type of 6th industries. This article further improve the rural environment for 6th industrialization, improve the policy measures in that rural can plan the basis for an effective strategy can be.
        1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산재의 낙진에 의한 농업산업의 피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화산재에 대한 시설물 및 원예작물의 취약도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 낙진에 대해 원예특작시설물의 구조적 취약도와 원예작물의 생산성 취약도를 평가하였다.<br> 원예특작시설물에 대한 화산재 취약도는 FOSM(First Order Second Moment) 방법을 기초로 한 해석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이 FOSM 방법은 화산재 하중의 확률분포와 구초실험 및 분석을 통해 얻은 시설물의 저장성능 확률분포를 비교하여 취약도가 평가되었다. 원예작물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판단과 경험적 접근방법이 조합된 혼합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화산재 취약도가 평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평가한 모든 취약도를 GEV(Generalized Extreme Value) 분포의 변수들을 이용하여 최적화하였다.본 연구에서 평가하고 구축한 화산재에 대한 원예특작시설물과 원예작물의 취약도는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백두산 화산분화 시나리오에 대한 농업산업의 피해예측을 위해서 사용될 것이다.
        16.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자 수확 후 버려지는 산업용 대마를 이용한 목질 펠릿제조 가능성과 제조된 펠릿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산업용 대마의 성분 분석 결과 활엽수와 비슷한 리그닌 함량과 당구성을 보였으며, 회분 분석 결과 무기물 함량이 0.5% 정도이어서 연료로 사용할 경우 재의 생산량은 크지 않을 것이다. 원소 분석 결과 대기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질소와 황 함량을 분석한 결과, 황 성분은 전혀 포함하지 않고 있으며, 약간의 질소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현사시나무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고위발열량 측정 결과 대마 목부는 현사시나무보다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바이오매스 생산량이 큰 대마 목부를 이용하여 제조한 펠릿은 활엽수로 제조한 펠릿과 비슷한 화학적 성질과 발열 특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어 고체연료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17.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is the nutrient cycles of agricultural by-products. The region, in which agricultural by-products are circulated for use within the agroecosystem for minimizing the input of artificial nutrients as well as generation of wastes, and where ecologically industrial diversity is formed, was defined as the regional agriculture focused on eco-industrial approach. Plan in stages for promoting ahead with the regional agriculture focused on eco-industrial approach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onsultation Body for Circulating & Using By-products" should be formed. Secondly, usage of agricultural by-products is identified to select the facilities of recycling and its location including the type and amount. Thirdly, the facilities for recycling of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are installed. Finally, the facilities for recycling and resource circulation system within the area are efficiently managed.
        18.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estimated the economic impacts of Korea-EU FTA on the agricultural sector in GyeongGi-Do. In particular, we estimated the economic impacts of agricultural production decrease resulting from Korea-EU FTA for 31 sub-regions in GyeongGi-Do by 15 industrial sectors. We employ a regional economic impact model combining a regional input-output model with a spatial allocation model. We found that the size of inter-industrial impacts are quite different across regions. Our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agricultural and industrial policy considering the impacts of industrial sectors at the region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