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산은 특색있는 경관으로 매년 많은 관광객이 찾는 진안군 대표 명소지만 마이산 북부 관광단지는 최근 트랜드에 부합하는 체험시설 부족으로 관광객의 외면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테마공원 을 체험·거점 공간으로 선정하고 상위계획, 기존시설 및 공간이용현황 등을 검토 및 분석해 개선방안을 바탕으로 한 기본계획안을 제시했다. 기본방향은 첫째 일상에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비일상의 경관’ 을 연출했고, 둘째 계절과 시간에 따라 다양한 행태가 이루어지는 ‘비움과 채움의 공간’을 조성했으며, 셋째 경험을 나누기 위한 ‘나를 찾는 행복존’을 만들었다. 세 가지 기본방향에 따른 디자인컨셉은 ‘낮과 밤, 다른 경험이 펼쳐지는 별 헤는 공원’이며, 이를 바탕으로 8개의 주요 공간을 계획했다. 본 연구는 공 간을 정해진 시설물로 채우고 선택받길 기다리지 않고, 적절히 비우는 작업을 통해 관광객이 스스로 찾아와 경험으로 채울 수 있는 공간 조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최근 관광 트랜드를 분석하고 신규 관광객의 경향을 연구했으며, 공간 계획에 체험 콘텐츠를 접목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도로 볼 수 있다. 계획공모형 지역경제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자체 개발 콘텐츠가 결실을 봐서 공원 리모델링 완 료 후 마이산 북부 관광단지의 활성화는 물론 지역 경제에도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이 연구는 완주군의 농촌체험휴양마을 10개를 대상으로 상대적인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농촌체험 휴양마을은 마을이 갖고 있는 자연환경, 전통자원 등을 활용하여 농촌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농촌체험휴양마을의 상대적인 효율성의 분석은 DEA를 이용하였고, 투입과 산출변수는 직원 수, 체험프로그램 수, 체험시설 면적, 총 방문객, 매출액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DEA 모형 중 투입지 향의 CCR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평균 효율성은 0.7891이며, 10개 농촌체험휴양마을 중 비율적이 60%, 효율적이 40%로 나타났다. 또한 투입 과다분과 투영점을 고려할 때 투입 과다분이 발생하여 향후 농촌체험마을의 특성이나 직원수, 체험프로그램 수, 체험시설 면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직원역량강화, 프로그램과 시설의 효율적 관리와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남해군을 대상으로 방문자의 관광지 속성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를 평가하고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문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배경, 인식, 행태, 경험, 속성 만족도, 재방문 의도를 분석하였다. 속성 만족도는 관광자원, 체험프로그램, 접근성, 시설, 숙소, 위생·청결, 홍보·정보, 친절, 가격·서비스로 구분하였고, 재방문 의도는 재방문 의도, 홍보 의도, 추천 의도로 구분하였다. 방문동기는 자연경관 감상(36.9%), 가족/친구와 시간 보내기(34.8%), 회복(13.9%) 등이었다. 목적지 이미지는 바다, 독일마을, 마늘, 갯벌체험이 주요하였고, 금산 및 보리암, 상주해수욕장, 독일마을이 남해군 속성을 나타내는 주요한 매력적인 목적지였다. 주요한 정보원은 인터넷과 주변 사람들이고, 동반자는 가족 또는 친구/연인이며, 재방문율은 57.8%이고(평균 5.4회), 남해군이 직접적이고 중요한 목적지였다. 체류기간은 2~3일이고, 여행경비는 평균 400,100원이었다. 전반적으로 관광자원, 체험프로그램에서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았고, 가격·서비스, 접근성, 시설에서 낮게 나타났다. 재방문 의도, 홍보 의도, 추천 의도 모두는 모든 속성 만족도와 매우 유의성 있는 양(+)의 상관(p<.01)을 나타냈다. 속성 만족도 모두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단계입력 방식으로 다중회귀분석한 결과에서 재방문 의도는 위생·청결, 숙소, 가격·서비스, 접근성에 의해서, 홍보 의도는 관광자원, 가격·서비스, 위생·청결에 의해서, 추천 의도는 관광자원, 시설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추정되었고, 각각에서 열거된 순서대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영향력을 가졌다. 남해군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해서, 관광자원, 숙소, 편의시설에서 위생·청결, 가격·서비스의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제안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의 브랜드 자산이 장소애착 및 친환경 행동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농촌관광마을의 브랜드자산은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로 분류되었으며, 장소애착은 장소의존성, 장소정체성, 사회적 유대감으로 구분되었다. 친환경 행동의도는 단일차원으로 도출되었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농촌관광마을의 브랜드자산인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가 장소의존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장소정체성은 친환경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장소의존성 또한 친환경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관광마을의 브랜드자산 중 브랜드이미지와 지각된 가치가 친환경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90년대 후반 이후 농촌관광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농촌관광과 연관된 연구가 다방면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이 가운데 농촌관광자원의 유형을 구분하는 연구도 늘어나게 되었다.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대상 자체의 유형을 구분하는연구는 해당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초석을 만드는데 크게 기여해왔다. 농촌관광자원의 유형을 구분하는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왔지만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채 전문가적 관점이나 통계적 유사성에 의거하여분류되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실제 관광자원을 이용하는 이용자 중심의 시각에서 체험 중심의 농촌관광자원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하여 농촌어메니티자원 DB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마을별 관광자원을 수집하고카드 분류법(card sorting test)을 실시하였다. 카드 분류법의 피조사자는 농촌관광의 경험이 있는 대학생 32명을 선정하여진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농촌자원유형 분류를 검증하였다. 조사 결과 상위 항목에서는 ‘체험하기’,‘지역향토음식 먹기/만들기’, ‘숙박하기’, ‘주변관광/경관감상’, ‘레져 즐기기’, ‘예술활동하기’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하위항목에서는 상위항목의 ‘체험하기’에서만 분리되는 특징을 보였으며 ‘지역자원활용체험’, ‘자연체험’, ‘전통체험’, ‘수확/채집체험’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을 하는 관광자들의 만족도 제고와 관광자원에 대한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농촌관광자원 유형 분류는 농촌관광자원 및 지역자원을소개하기 위한 홍보자료 및 웹, 앱 메뉴 설정 등에 이용되는 등 향후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rban residents' preference on rural tourism.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25 urban residents in Jeonju and Iksan city. The results show that 13.8% of urban resident have experienced rural tourism. Even though urban residents are low experienced of rural tourism, people who intend to experience rural tourism. They are willing to pay about 29,700won for lodging 77,401won for food , 43,900won for agri-products and 18,100won for experiencing progra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lot of potential demand for rural tourism. These results that there is a lot of potential demand for rural tourism
농촌진흥 전략, 농촌발전 전략, 농민의 자체적 발전, 풍부한 농촌의 음식자원과 방대한 관광객 시장, 다양한 농촌관광 수요 등의 요인의 작용 하에 중국 농촌 음식관광은 점차 발전하면서 관광촌, 특색마을, 음식축제 등 세 가지 발전의 모델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중국 농촌 음식관광의 발전은 정책 및 관리, 관광객 시장, 문화적 함의의 결여, 부족한 브랜드 의식 등의 문제에 의한 제약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국 농촌 음식관광의 발전은 시장의 수요 및 농촌관광 발전 추세에 부응한다는 전제 하에 계획적 지도와 부처 간 협력,정책적 지원과 제도 개선,건전한 농촌 음식관광 관련 법체계 구축,음식관광 관련 인재 육성 강화,지역 간 연동과 차별화된 발전,관광객 시장 개척과 브랜드 구축,문화와의 융합을 통한 내부 소양의 발전,요리 교육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농촌 관광 이해관계자의 요구에 대한 관심과 그들의 이익에 대한 중시는 그들과 타 이해관계자 간의 잠재적 충돌 해소에 도움을 주면서 농촌 관광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게 한다. 농촌 관광의 발전 과정은 현지 정부, 주민, 관광 기업, 관광객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과 연관되어 있다. 본고는 현재 중국의 농촌 관광 발전 과정에서 이해관계자 간 갈등의 원인과 모순의 구체적 내용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진행했고, 이해관계자 간 갈등의 해소를 위해 이익의 표현, 획득, 분배, 보장 등 네 가지 측면에서 구체적인 이해관계자 간 관계 조율 조치를 제시했다. 또한 원가촌의 사례를 통해 해당 관계 조율 조치의 실행 가능성을 검증했다.
개혁개방 이후 일반 국민들의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면서 사람들의 생활 방식에도 큰 변화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정신생활과 심리 수요에 대한 증가로 전통적인 관광 모델은 이미 사람들의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게 되었다. 그에 따라 자연과 시골로의 회귀를 주제로 하는 농촌관광이 형성되었으며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기 시작하였다. 농촌관광의 발달에 따라 농촌여성들은 중요한 참여 자로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시에 농촌관광의 발전은 농촌여성들의 각 측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주로 농촌관광이 농촌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촌관광에 대한 참여 과정에서 농촌여성의 정신건강이 향상되었다. 한 측면에서 농촌관광은 여성의 발전과 진보에 양호한 환경과 조건을 제공했으며, 여성은 농촌관광에 대한 참여 과정에서 혈연과 지연 관계를 심화하는 동시에 사회 교류 대상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교류 공간이 확대되면서 농촌여성의 자존감 역시 크게 강화되었다. 다른 한 측면에서 취업 여성의 교육관, 소비관, 경쟁의식 및 소셜 참여 의식에 모두 적극적인 변화가 발생하였다.
In this study, we typified the project for revitalizing the rural area through text analysis using news data, and analyzed the main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emphasized among the issues related to the revitalization of rural areas, we used news data related to 'tourism' and 'livelihood', which are the main keyword of the project to promote rural areas. In the analysis, text mining techniques were used. Topic modeling was conducted on LDA techniques for major projects in 'tourism' and 'livelihood' keyword. Based on this, this study typified the projects that are carried out for the activation of rural areas by topi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t that the topics included in the project were distributed in 11 sub-types(Tourism Promotion, Regional Specialization, Local Festival, Development of Regional Scale, Urban and Rural Exchange, Agricultural Support, Community Forest Management, Improve the Settlement Environment, General Welfare Service, Low Class Support, Oth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revitalization projects were examined, and it was confirmed that domestic projects were carried out by tourism-oriented projects. To summarize, the government is making projects to revitalize rural areas through related ministries. Within the structure where the project is spreading to the region, a lot of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It is understood that the tourism and welfare oriented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in the revitalization project of the domestic rural area.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rural revitalization,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effective to carry out a balanced project to improve the settlement environment of the residents.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pose urban park utilization and master plan in rural areas. Urban parks designed for the rural area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 themed type for rural tourism, a community type for hub regenerations and a waterfront type for using agricultural reservoirs. To use the them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ness, these types are required a multi-layered spatial structure. And ecological, cultural and economic networks of local tourism resources have to be integrated by utilizing agricultural reservoirs. Therefore, urban parks in rural areas can be defined as a part of the public benefit project aiming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lso, urban parks are necessary to use attractions and amenities in rural area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this study proposed two sustainable master plans as the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project for Baelyeonje, Gulye-gun. For ecological and cultural sustainability, this study proposed the environment restoration plan which reinforces the scenic resource of Nogodan in Mt. Jiri by developing the underdevelopment plan with consideration of the lo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For economic sustainability, building the Mt. Jiri tourism complex and economic communities are needed to promote investments for securing mutual economic benefits. To achieve the sustainability, further studies related to the social equity and investment of private capital in rural areas a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rural tourism network products that are linked with local resources, and propose the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uch products. The focus is on helping rural tourism network products acquire competencies that will help them evolve their business and differentiate themselves. To reach these objectives, a survey was designed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on the motive of rural tourism and on agritourism networks.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visitors to rural communities that produce rural tourism network products from November, 2015, to January, 2016 using 165 copies of a questionnaire after distributing 175 copies. The first quadrant continue and sustain‘, an area of high importance and high performance, included trial program components, stress reduction, getting away from daily routines, gaining new experiences, comfort, experiencing rural culture, travel expenses, and making memories with family. The second quadrant ‘requires intensive improvement’, an area of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included having diverse trial programs, refreshment, experiencing agriculture, and education of children. Therefore, continuous interest is required for the area of ‘maintenance’ just as it is for activating educational farms in rural communities and a more fundamental improvement in the operation should be made for the area of ‘intensive management’.
This study began to learn wether or not satisfaction factor of rural tourism is effective to visit for the ordinary foreign people. Research method was parallel-site investigation literature, questionnaire. The analytical data of the study, literature 40 reviews, questionnaire 179 survey in 200 of the subject was using. Measurement and scale was set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Transportation · Infrastructure', 'Festival · Experience Program', 'Place', 'Room and Food', 'Local People', and 'Buying the Local Product'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and preliminary survey. In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showed 'Place' and 'Local People' have an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the 'Festival · ExperienceProgram', had a major impact also 'Intention of Revisit'. Finally for rural tourism fascination, the contents such as the distinctive local attraction, human resources,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nvenient use is more important than the format and scale.
Tourism is often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industries to promote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in small South Pacific islands countries. In Fiji, this was recognized in the 1960s, and resulted in large-scale resort based tourism development in coastal areas. While tourism has obvious advantages to the economy, a lot of problems such as exclusive foreign control of the main hotels and resorts, considerable overseas leakage of earnings, the limited participation by indigenous resource owners, and localized environmental damages to reefs and mangroves are emerging.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it is needed to set growth objectives and targets for tourism in terms of benefits to Fiji, and to concentrate support on ‘Rural Tourism’ such as community-based tourism that have lower leakage and put more into local economies. Through case study in this paper, to develop rural tourism at the local level, several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1) to introduce various rural tourism programs such as experiencing Fiji’s traditional culture, participating in activities, picking fruits and harvesting agro-products, 2) to enhance aggressive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3) to build the capacity of local communit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ourism services, and 4) to provide the infrastructure for tourism business such as road accessing, water supply and disaster 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village project for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of rural tourism village. So, in this study, the current rural tourism village and storytelling planning are examined and the village project presented in village planning is also examined. And this study propose the storytelling implementation of the village project through the case study related with the Susanri in Jeju.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is important that each village projects are storytelling for tourism resource and improve rural tourism villag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fine story range, action planning, and management agency of village projects. Thirdly, it is desirable that the village projects should be carried out as reviving the local community. Comparing to the storytelling tourism plan, there are few rural tourism plans so far, so, it is difficult to applicate the system of the village project, but, continuous studies in this line can help the rural tourism plan to ensure practicality.
The role of rural towns as a leisure space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with changes in the consumption trends in domestic tourism. Based on the tourists visiting the town of Sunheul-ri, Jocheon-eup, a rural Village in Jeju Island, this study categorized the market according to the images formed by the tourists of rural towns, and analyzed the preferred mode of participation in rural field activities for each categor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images of rural tourism formed by the tourists, extracted three factors for cluster analysis, and then formed three groups: “Group of Rural Experience Activity” “Group of Rural Environment and Service” and “Group of Rest in the Rural” After analyzing the preferred activity in each image-category group,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ordinary activities such as viewing the scenery, experiencing and learning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ulinary experienc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regarding participation in experiential tour programs with the purpose of active tourism. The “Group of Rural Experience Activity” sought to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y programs, whereas the “Group of Rest in the Rural” comparatively had a weaker preference for such active programs. We thus learnt that tourists’ preferred activiti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images formed by the tourists visiting rural towns. Therefor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rural tourist destinations of Jeju Isl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activity program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rural regions of Jeju and to accord with the expectations associated with each market segment category by positioning the progra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s held by the tourists.
As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working on the various project about rural experience tourism village in these days, many rural villages are planned and developed, and try to come up to visitor’s demand. Not only quantitative growth by village development but also importance of programs operated by the rural villages are emphasized, therefore it need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tivity programs about rural experience tourism village in rural community building business by season, characteristics of villages, and overall. Moreover, it has to try to suggest a basic direction of improvement about rural community building business. The site of researches are 15 villages that include 5 green rural tourism villages, 5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and 5 unique villages that are recent project. The result of research is that similar projects are operated and hard to find characteristic of seasonal programs in existing management business. On the other hand, the programs of recent management business operates not only the former program but also big and activity program using the village’s resources and characteristic.